•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응답자 특성 및 북한 영유아 관련 인지

Ⅳ. 남북 육아지원분야 통합에 대한 의견조사 분석

1. 응답자 특성 및 북한 영유아 관련 인지

가.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본 연구 설문조사의 응답자는 총 81사례이며, 이중 남한 전문가가 44사례, 북 한 출신 전문가가 37사례 표집되었다. 성별에 있어서는 남성이 44.4%, 여성이 56.6%를 차지하였고, 현재 정부출연연구기관 소속이 29.6%로 가장 많았다. 전공 별로는 기타를 제외하고는 북한학이 19.8%로 가장 많았고 교육학 16.0%, 사회 학과 경제·경영이 12.3%로 뒤를 이었다. 유아교육·아동학은 8.6%를 차지하였 다.28) 기타로 분류되는 경우는 대부분 북한이탈주민의 사례로서 전공의 경우, 기타로는 한의학, 국문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전공이 나왔다.

〈표 Ⅳ-1-1〉응답자 특성

단위: %(명)

28) 남북한 출신별 전공을 세분적으로 살펴보면, 남한은 교육학 전공 18.2%로 가장 많고, 북한학 15.9%, 경제·경영학 15.9%, 기타 15.9%, 유아교육·아동학 11.4% 순으로 나왔다. 북한출신 전문 가의 전공은 기타가 29.7%로 가장 많고 북한학 24.3%, 사회학 16.2%, 교육학 13.5% 순이며 유 아교육 전공은 5.4%(2명)이다.

(표 Ⅳ-1-1 계속)

구분 계(수) 구분 계(수)

대학 25.9(21) 북한학 19.8(16)

NGO 단체 16.0(13) 행정학 2.5( 2)

기타 28.4(23) 경제·경영학 12.3(10)

전문가 집단 기타 22.2(18)

북한 출신 45.7(37) 남한 출신 54.3(44) 자료: 본 연구의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임.

나. 북한 방문 여부

남한출신 전문가 중 72.7%(32명)가 북한을 방문한 경험이 있었으며(그림 Ⅳ -1-1 참조), 방문 횟수는 1~4회가 46.9%로 가장 많았다(그림 Ⅳ-1-2 참조).

〔그림 Ⅳ-1-1〕북한 방문 여부(N=44)

〔그림 Ⅳ-1-2〕북한 방문횟수(N=32)

북한의 육아지원기관인 탁아소 및 유치원 방문 여부와 관련해서는 34.4%가 방문 경험이 있었다(그림 Ⅳ-1-3 참조). 방문한 탁아소 및 유치원의 현황에 대해 서는 ‘예상보다 열악한 상태였다’와 ‘기관마다 지역마다 운영상태가 달랐다’고 응답한 비율이 모두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그림 Ⅳ-1-4 참조). 북한의 전 반적인 육아지원기관이 열악한 상태라고 일반화하기에는 유념해야 할 대목이다.

〔그림 Ⅳ-1-3〕북한 탁아소 또는 유치원 방문 여부(N=32)

〔그림 Ⅳ-1-4〕방문한 북한 탁아소 또는 유치원 운영상태(N=11)

북한의 어린이병동이나 산원의 방문 여부와 관련해서는 25.0%가 방문 경험이 있었으며(그림 Ⅳ-1-5 참조), 방문한 어린이병동이나 산원의 현황에 대해서는 ‘기 관마다 지역마다 운영상태가 달랐다’고 응답한 비율이 50.0%로 가장 높게 나타

났다(그림 Ⅳ-1-6 참조). 탁아소와 유치원과 마찬가지로 어린이병동이나 산원도 지역마다 운영상태가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림 Ⅳ-1-5〕북한 어린이병원 또는 산원 방문여부(N=32)

〔그림 Ⅳ-1-6〕방문한 북한 어린이병원 또는 산원 운영상태(N=8)

다. 북한 육아지원기관 및 영유아의 건강 수준에 대한 인지 정도

남한출신 전문가 대상으로 북한의 육아지원기관인 탁아소나 유치원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를 질문한 결과, 43.2%가 ‘조금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18.2%

가 ‘매우 잘 알고 있다’에 응답하였으며, 15.9%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여 전체 중 77.3%가 북한의 탁아소나 유치원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림 Ⅳ-1-7〕북한 탁아소 또는 유치원에 대한 인지정도(N=44)

남북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북한 영유아의 건강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북한 출신 전문가 집단은 ‘매우 나쁨’(51.4%)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인 반면, 남한 전문가 집단은 ‘나쁨’(54.5%)에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남북한 전문가 집단 대다수는 북한 영유아의 건강 수준이 좋지 않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었다.

〔그림 Ⅳ-1-8〕북한 영유아 건강수준에 대한 인지정도(N=81)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