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계(b=.15, p<.001)가 많을수록 운동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능요인들은 실제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와 운동을 함께 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를 용이하게 하므로 가능요인들이 긍정적일수록 실제 운 동 횟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욕구요인의 결과를 보면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만성질환 이 더 많은 노인들이 더 많이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08, p<.001). 이는 (비록 암과 같이 소수의 치명적 질환을 포함하고 있으나) 고 혈압이나 당뇨 등의 관리성 질병이 대부분을 이루는 만성질환 변수의 특징 을 고려할 때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건강관리 차원에서 더 많이 운동에 신 경을 쓰기 때문인 것의 결과로 이해된다. 반면 통증이 있는 노인이 없는 노인에 비해 운동 횟수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b=-.07, p<.001), 이는 통증이 운동을 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라. 우울증상 예측요인

투입된 모든 변수들은 우울증상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먼저 선행요인들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연령이 높은 노인들이 더 많은 우울증상을 나타내었고 (b=.08, p<.001), 남성이 여성보다가 (b=-.04, p<.001)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 보다가 (b=-.05, p<.001) 더 낮은 우울증상을 나타내었다.

가능요인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도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 로 소득이 높은 사람 (b=-.13, p<.001), 사적 사회적 관계가 많은 사람 (b=-.11, p<.001), 공적 사회적 관계가 많은 사람들이 (b=-.09, p<.001) 낮 은 수준의 우울증상을 보였다.

욕구요인은 모두 우울에 정적인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만성질환이 많은 노인 (b=.17, p<.001) 및 통증이 있는 노인들이 (b=.09, p<.001)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울증상 수준을 보여주었다.

위의 표에 정리된 것처럼, 모든 건강행위변수들이 우울과 유의미한 관계

75

Gender(male=1) -.04*** .00 -.04***

Education -.05*** -.02 -.07***

Income -.13*** -.00 -.13***

Informal soc. Rels -.11*** -.01 -.12***

Formal soc. Rels -.09*** -.01 -.10***

Chonic Hlt Conds .17*** .02 .19***

Pains(yes=1) .09*** .02 .11***

Inpatt.Ser.Use .09*** .00 .09***

Outpt.Ser.Use .04*** .00 .04***

Exercise -.07*** .00 -.07***

를 나타내었다. 입원 (b=.09, p<.001) 및 외래서비스(b=.04, p<.001)를 더

note: * <.05, ** <.01, ***<.001, ns>.05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 및 건강행위 변수가 우울증상 수준에 미

76

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의 의미는 이러한 변수들이 우 울에 미치는 영향의 일부분은 건강행위변수를 통해서 매개되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매개되는 부분은 그다지 크지 않다는 것을 의 미한다. 연령, 성별, 소득은 간접효과는 거의 없고 직접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우울예측요인에 대한 다중집단분석: 75세 미만과 75세 이상 비교

<표 4-4>는 연구문제 2인 “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 건강행위 요 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고령노인과 연소노인 간에 차이가 있는가?”

에 대답하기 위해서 구조모형을 연령에 따라 다중집단 분석한 결과를 정리 한 것이다. 다중집단분석의 결과는 이들 요인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75 세 미만의 연소노인 집단과 75세 이상의 고령노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 이가 있음을 보여 준다 (c2(35)=82.71, p<.00). 결과표에서는 표준화된 경 로계수 값이 제시되었다.

<표 4-4>에 나타난 것처럼 75세 미만 집단의 모형에서는 선행요인, 가 능요인, 욕구요인에 의해서 입원 의료서비스 이용 횟수 변량의 약 4%가 설명되었고 (R2=.036), 외래의료서비스 변량의 약 9.8% (R2=.098), 그리 고 운동횟수 변량의 약 13%(R2=.129)가 설명되었다. 또한 선행요인, 가능 요인, 욕구요인, 및 건강행위 변수들에 의해서 전체 우울변량의 약 19.5%(R2=.195)가 설명되었다. 75세 이상 집단의 모형에서는 입원 의료서 비스 이용 횟수 변량의 약 5%가 설명되었고 (R2=.047), 외래의료서비스 변량의 약 7.6% (R2=.076), 그리고 운동횟수 변량의 약 12%(R2=.115), 그리고 우울변량의 약 16.7%(R2=.167)가 설명되었다.

먼저 75세 미만 집단(LT75)과 75세 이상 집단(GE75)에 있어서 선행요 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5세 미만 집단에 서는 연령은 우울증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b=.01, ns). 하지만 남성은 여성보다 낮은 우울증상을 나타내었고 (b=-.04, p<.05),

77

4 A n d e r s o n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 보다가 낮은 수준의 우울증상을 나 타내었다 (b=-.07, p<.001). 반면 75세 이상의 노인집단에서는 나이가 많 은 노인일수록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을 나타내었지만 (b=.06, p<.05), 성별 이나 (b=-.04, ns) 교육수준(b=-.04, ns)은 우울증상 수준과 유의미한 관계 를 나타내지 않았다. 요약하면 연령은 고령노인에서만 우울과 관련되어 있 었고, 성별과 교육수준은 연소노인에서만 우울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우울치료나 예방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 대상영역을 연령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가능요인들과 욕구요인에 있어서는 거의 모든 변수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두 연령집단 간에 유사하게 나타나서 집단 간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건강행위 변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에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었다. 즉 입원서비스 이용 은 연소노인 (b=.07, p<.001)과 고령노인 (b=.08, p<.001) 두 집단 모두에 서 우울증상과 정적 관계를 나타내어 입원서비스 이용이 많은 노인들이 더 높은 우울증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외래서비스 이용의 경 우에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연소노인들에 있어서는 외래서비스 이 용을 많이 할수록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을 나타내었으나 (b=.08, p<.001), 고령노인에 있어서는 외래서비스 이용횟수는 우울증상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b=.01, ns). 정기적 운동 횟수는 연소노인과 (b=-.06, p<.001) 고령노인 (b=-.10, p<.001) 모두에서 우울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 타내었다. 즉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 우울증상 수준이 낮았다.

노인자살의 사회경제적정책적응방안78 Predictors

LT75GE75 Inpatient Ser Use R2 =.036

Outpatient Ser Use R2 =.098 exercise R2 =.129 Depressive Symptoms R2 =.195 Inpatient Ser Use R2 =.047 Outpatient Ser Use R2 =.076 exercise R2 =.115

Depressive Symptoms R2 =.167 Age.00 ns.01 ns-.04 ns.01 ns-.05*-.09***-.08***.06* Gender(male=1)-.00 ns-.05*.00 ns-.04* .07*0.3 ns.09**-.04 ns Education-.03 ns-.03 ns.25***-.07*** -.01 ns.01 ns.12***-.04 ns Income-.02 ns.03 ns.05**-.18***-.02 ns-.00 ns.03 ns-.16*** Informal soc. Rels-.05 ns.03 ns.05**-.18***-.06*.12***.04 ns-.15*** Formal soc. Rels.00 ns.09***.10***-.13***-.01 ns.03 ns.16***-.08** Chonic Hlt Conds.17**.22***.07***.18***.18***.14***.02 ns.16*** Pains(yes=1).02 ns.13***-.11***.07***.04 ns.15***-.12***.13*** Inpatt.Ser.Use---.07***---.08*** Outpt.Ser.Use---.08***---.01 ns Exercise----.06**----.10***

<표 4-4>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다중집단 분석 결과 note: 2(35)=82.71, P <.00 * P <.05, ** P <.01, *** P <.001, ns>.05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