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리더-멤버교환관계, 심리적 임 파워먼트 및 팀 학습행동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대기업 근로자의 혁신행동과 리더-멤버교환관계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영향관계를 구명하였고, 둘째, 대기업 근로자의 리더-멤버교환관 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고, 셋째, 대기업 근로자의 리더-멤버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 의 매개효과에 대한 팀 학습행동의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에서 일하는 대기업 근로자 전체이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대기업 근로자에 해당하는 모집단의 표본프레임의 선정이 불가 능하다고 판단하여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비확률표집의 경우 일반 화를 위해 더 큰 표본이 필요하다는 정도의 지침이 제시되고 있지만, 통계적인 규칙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다만 사회과학에서는 300명 이상이면 신뢰할만한 표본 집단으로 보고 있다. 또한 신뢰도가 95%일 때 모집단의 규모가 25만명이 넘을 경우 384명의 표집 수가 필요하다는 기준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대기업 근로자 400명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였 다.

조사도구는 혁신행동, 심리적 임파워먼트, 리더-멤버교환관계, 팀 학습행동, 일반적 특성 변인 다섯 가지로 구성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혁신행동은 9문항,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12문항, 리더-멤버교환관계는 12문항, 팀 학습행동은 7문 항으로 총 40문항이고 5점 리커트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 특성 변인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10문항으로 설문지의 총 문항수는 5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용된 질문지는 산업교육 박사학위 소지자 2인을 대상으로 내용타 당도를 검증받았으며 대기업 근로자 3인으로부터 안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

한 예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여 수거한 56부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 도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6년 10월 14일부터 2016년 12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 시스템 및 우편을 통해 이루어졌고 총 359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본인이 팀장이거나 답변이 불성실한 경우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는 291부를 사 용되었으며, 유효자료율은 72.8%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분석방법은 대상자의 변인에 대한 인식과 일반적 특 성을 구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 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매 개효과와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ayes(2013)이 개발하 고 배포한 PROCESS 매크로를 사용하였다. 추리통계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회귀분석에서 리더-멤버교환관계(     )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    )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두 독립변인을 모두 투입한 회귀분석에서 리더-멤버교환관계 (     )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    ) 모두 혁신행동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리더-멤버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매개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자승경로분석에 의한 매개분석 결과 10,000개의 부트 스트랩 표본에 입각한 간접효과(  )의 편의수정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 ∼)은 0보다 크게 나타나 유의하였다. 또한 직접효과(′  )의 편 의 수정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 또한 0보다 크게 나타나 유의하였 다.

셋째, 팀 학습행동은 리더-멤버교환관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

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00개의 부트스트랩 표본 에 입각한 최소자승경로분석에 의한 매개 및 조절 통합모형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종속변인으로 한 리더-멤버교환관계 및 팀 학습행동의 상호작용항( )의 편의수정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 ∼)은 0보다 크게 나타나 유의하였고, 혁신행동을 종속변인으로 한 리더-멤버교환관계 및 팀 학습행동의 상호작용항(′ )의 편의수정 부트 스트랩 신뢰구간( ∼)은 0보다 크게 나타나 유의하였다. 혁신행동을 종 속변인으로 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팀 학습행동의 상호작용항()의 편의수정 부트스트랩 신뢰구간(  ∼)은 0을 포함하고 있어 유의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