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 이론적 배경

2. 리더-멤버교환관계

의 행동들은 멤버들로 하여금 긍정적이고 이로운 행동으로 리더에게 보답해야

Schriesheim, Castro, Cogliser(1999)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리더-멤 충성심(loyalty), 공헌의욕(contribution), 존경심(professional respect)을 제 시하고 있다. Graen과 Uhl-Bien(1995)도 리더-멤버교환관계가 다차원적 특

째 단계(role-making)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리더가 멤버에 대해 확신이 어 느 정도 가지면 멤버가 자신의 역할을 스스로 창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세 번째 단계(role-routinization)에서 멤버가 스스로 창안한 역할을 리더가 올 바르다고 인식하면 리더는 이를 지속하도록 격려와 지원을 보낸다는 것이다.

Deborah와 Robert(1999)는 Graen과 Scandura(1987)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역할발전(role developing)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단계인 획득(role-taking)단 계에서 리더와 멤버는 서로 틀을 넘어서지 않는 선에서 서로를 탐색하며, 멤버 가 직무수행을 위한 자격이 갖추어졌다고 리더가 판단할 때 두 번째 단계인 형 성(role making)단계로 넘어간다. 이때 두 번째 단계에서는 멤버는 첫 번째 단 계에서 맡았던 것보다 더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는데, 이 일종의 시험과정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면 최종단계인 역할 발전단계로 넘어간다. 역할 발전단 계는 신뢰 및 존중의 교환이 일어나는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나. 리더-멤버교환관계의 측정

리더-멤버교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Graen과 Uhl-Bien(1995) 그리고 Liden과 Maslyn(1998)의 도구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Graen과 Uhl-Bien(1995)의 척도인 LMX-7은 7개로 구성된 단일차원의 측정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리더-멤버교환관계를 의무감((obligation), 존경심 (respect), 신뢰(trust)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으나, 요인분석을 통해 하 나의 단일 요인으로 축소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선 험적인 도구였으나 이후 많은 연구들에서 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실 증적으로 검증되었다(김성혁, 황수영, 양현교, 2009; 장현아, 최애경, 2007; 정 대용, 조철호, 2010; Gerstner & Day, 1997).

Scandura와 Graen(1984)이 개발한 리더-멤버교환관계의 측정도구는 단일 차원이며 4점 리커트 척도의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Tordera, Gonzalez-Roma

& Peiso, 2008). Tordora et al.(2008)의 공중보건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문항의 내적일치도 계수가 .88로 나타났으나, 1995년 이전의 선행 연구, 즉 Graen과 Uhl-Bien(1995)그리고 Liden과 Maslyn(1998)의 도구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많이 활용되 고 있지 않다(Kinicki & Vecchio, 1994; Major, Kozlowski, Chao &

Gardner, 1995),

Liden과 Maslyn(1998)은 리더-멤버 교환관계가 다차원적 특성을 지니고 있 어, 측정도구 또한 하위 차원으로 구분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정서적 애착 (affect), 충성심(loyalty), 공헌의욕(contribution) 그리고 존경심(professional respect)의 4영역 12문항을 절대 동의하지 않음(Strongly Disagree:1)에서 절 대 동의함(Strongly Agree:7)까지 7점 리커트 척도로 개발하였다. 이를 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와 근무경험이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문항의 내적 일치도 계수가 정서적 애착이 .90, 충성심이 .74, 공헌의욕이 .74, 존경심이 .89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냈다. Liden과 Maslyn(1998)이 개 발한 도구는 이후 리더-멤버교환관계를 다차원으로 이해한 선행연구들에서 많 이 사용되고 있다(김미형, 2009; Bauer, Erdogan, Liden & Wayne, 2006;

Kamdar & Van Dyne,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