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예비조사 분석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임상 질 지표(안)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치료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는 2012년 6월 18일~7월 2일까지 예 비조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알코올전문병원으로 지정된 6개 병원과 알코올 사용장애 입원환자 진료량이 많은 2개 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건강 보험진료비청구자료에서 2011년 1월~6월 주진단명이 알코올사용장애인 환자를 우선적으로 추출하고, 각 병원당 120건씩 표본추출하여 예비조사 전에 병원 담당자에게 조사대상 입원 건을 송부하였다. 총 조사대상 960건 중에서 의무 기록부가 없거나, 누락된 13건을 제외한 947건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다(표 32).

조사건 %

총 947 (100)

A병원 116 (12.3)

B병원 120 (12.7)

C병원 118 (12.5)

D병원 120 (12.7)

E병원 117 (12.4)

F병원 119 (12.6)

G병원 117 (12.4)

H병원 120 (12.7)

<표 32> 조사대상 의료기관 및 조사완료 건 수

59) 배성범, 이병욱, 김영기, 박상진.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단주 프로그램 수행과 재입원.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08;12(2):71-75

가. 분석대상

조사가 완료된 947명 중에서, (1) 주진단명이 알코올사용장애가 아니거나, (2) 2011년 1월 이전에 입원한 환자, (3) 현재 입원 중인 환자, (4) 퇴원일자 가 기록되지 않은 환자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위 조건을 만족 하는 923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표 33).

제외기준 제외

건수 최종 대상

주진단명 입 ․ 퇴원 관련 사항

총 - - - 923건

A병원 - - 0건 116건

B병원 게임중독(1명) 현재 입원 중(1건),

퇴원일자 미기록(2건) 4건 116건

C병원 - 퇴원일자 미기록(6건) 6건 112건

D병원 - 현재 입원 중(2건) 2건 118건

E병원 정신분열증(1명) - 1건 116건

F병원 정신분열증(1명), 기질성뇌증후군(1명)

2011년 1월 이전 입원(1건) 현재 입원 중(1건) 퇴원일자 미기록(5건)

9건 110건

G병원 - 퇴원일자 미기록(1건) 1건 116건

H병원 - 퇴원일자 미기록(1건) 1건 119건

<표 33> 예비조사 최종 분석 대상

(단위: 건)

나. 일반적 특성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50.2세였고, 남성 비율은 86.2%였다. 26.4%는 의 료급여 환자였는데, 특히 F병원은 64.6%가 의료급여 환자였다(표 34). 동일병 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환자는 38.6%로, F병원은 48.2%, C병원은 47.3%로 약 절반이상의 환자가 동일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었다.

전체 A B C D E F G H

전체 A B C D E F G H

다. 후보 임상 질 지표 분석 결과

1) 알코올전문인력 구성 여부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알코올전문인력 현황을 조사하였다.

8개 병원 모두 정신과 전문의,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기 본적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일부 병원에서는 임상심리사가 근무하고 있었다.

2) 알코올전문인력 교육 참여율

지난 1년간 교육 참여 현황과 근무경력을 조사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전 문인력은 185명으로, 자격증 취득 후 평균 69.6개월 경력이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알코올전문인력 교육 참여율은 61.1%로, 학회 참여율은 34.1%, 자 체 교육 참여율은 29.2%였다.

알코올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한 전문치료기관 지정기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60)에 따르면, 전문인력의 교육은 매우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전문 적인 치료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료사례를 공유하고 습득하기 위 한 정기적인 교육 참여가 요구된다. 그러나, 교육 참여율을 지표화하기 위해 서는 교육 내용, 참여 대상 등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특히, 자체 교육은 교육 내용과 실제 참여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지표개발 그룹 회의를 통하여 교육 참여대상과 범위를 결정하였는데, 교육 참여대상은 정신과 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 병원에서 근무 하고 있는 알코올전문인력으로 정의하였다. 교육 내용은 전문성과 수준(quality)에 초점을 두었는데, 이는 교육 주최와 연계하여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은 한국중독정신의학회, 대한간호협회,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 대한신경정 신의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에서 주최하거나, 학회로부터 평점을 받는 교육 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해당 병원에서 6개월 미만 근무한 경우, 이전 병원 근무 시 참여한 교육은 지표산출 시 제외하였다. 위 기준에 따른 교육 참석 률은 31.2%로, E병원(68.8%)의 교육 참석률이 가장 높았다(표 39).

60) 이해국, 이계성, 조근호, 서정석, 정영철, 박선희 등. 알코올사용장애 전문치료기관 지정기준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2009 알코올사업기술지원단

전체 A B C D E F G H

전체 A B C D E F G H

3) 환자상태에 따른 병동 운영 여부

조사대상 병원에서는 환자상태에 따라 병동을 분리․운영하고 있었다.

4) 환자를 위한 별도의 재활시설 유무

8개 병원 중에서 1개 병원을 제외하고, 환자를 위한 체육시설, 음악감상 실, 산책로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 지표는 지표개발 전문가 그룹 회의를 거쳐, “휴식공간, 산책로, 운동시설 유무”로 수정하였다.

5) 개인력과 환자상태를 포함한 전반적인 환자 평가율

입원 시 개인력과 환자상태 평가를 통한 치료목표 및 치료계획 수립은 치료 결과 향상을 가져오나, 이에 대한 전반적인 기록 수준은 낮았다. 대부 분의 병원에서 금단증상, 알코올사용장애 치료경험, 기타 정신질환 입원경험, 가족력, 음주력, 동반된 신체적/정신적 질환, 현재 치료약물 등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정형화된 기록지를 사용하여 환자상태를 평가하기보 다는 의무기록부에 메모형식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기록지를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미작성된 항목이 많았다(그림 12, 그림 13).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금단증상 경험

이전 치료경험 알코올 입원경험 기타 정신질환 입원경험 가족력 평가 음주력 평가 동반질환 평가

환자평가항목

미기록률(%)

전체 A B

C D E

F G H

[그림 12] 환자 평가항목별 미기록률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 직업 종교 흡연상태 결혼상태 가족동거여부

개인력조사

미기록률(%)

전체 A B

C D E

F G H

[그림 13] 개인력 조사 미기록률

6) 환자상태 평가를 위한 검사시행률

85(9.2) 79(68.1) 0(0.0) 0(0.0) 0(0.0) 6(5.2) 0(0.0) 0(0.0) 0(0.0)

<표 41> 단계별 치료계획률

(단위: 명,%)

8) 퇴원 시 치료계획 수립률

9) 알코올 치료프로그램 운영여부

전체 A B C D E F G H

15) 퇴원 후 30일 내 재입원율

퇴원 후 30일 내 동일병원으로 재입원한 환자는 11.9%였고, F병원은 19.1%로 가장 높았다.

전체 A B C D E F G H

110 (11.9)

7 (6.0)

9 (7.8)

15 (13.4)

12 (10.2)

18 (15.5)

21 (19.1)

13 (11.2)

15 (12.6)

<표 46> 퇴원 후 30일 내 동일병원 재입원

(단위: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