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예방책

문서에서 일본의 농업소득안정정책 (페이지 64-68)

미국 정부는 BSE의 국내 유입경로를 파악하고, 예방적 관리조치를 이행 했다. 주요 유입경로는 BSE 원인체를 수입하는 경우로서 BSE 감염국에서 살아 있는 소, 가축조직, 가축부산물 및 가축용 사료 등과 같은 농축산물 을 수입하는 경우이다.

2.1.1. 생우, 가축조직, 가축부산물

1989년 이후 USDA의 동식물검역소(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APHIS)는 BSE 발생국가를 대상으로 살아 있는 반추가축(소, 양, 염소 등)에 대한 금수조치를 단행했으며, USDA의 허가를 받은 과학연구 목적 이외에 육골분사료(meat-and-bone meal), 골분사료(bone meal), 혈분사 료(blood meal)와 같은 동물성 부산물의 수입을 금지시켰다. 이런 제한조치 는 1989년에 최초로 영국을 대상으로 취해진 바 있으며, BSE가 감지된 인 접국가에 대해서도 즉각적으로 대응했다.

1997년 12월 APHIS는 BSE의 부적절한 관리나 확산에 대한 우려 때문에 유럽 지역의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이런 금수조치를 강화했다. 또한 2001 년 9월 APHIS는 일본에서 광우병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이 지역의 반추가 축이나 이의 부산물에 대한 금수조치를 단행했다.

적절한 감시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서, BSE에 전염되거나 발생 가능성 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류된 국가로는 벨기에, 룩셈부르크, 덴마크, 네덜란

미국 광우병 예방대책 강화 63

드, 프랑스, 오만, 독일, 포르투갈, 그리스, 스페인, 아일랜드, 스위스, 이탈 리아, 영국, 리히텐슈타인, 일본 등이다.

과거 영국이나 아일랜드(1989년 이전), 북미유럽대륙(1996-1997년), 일본 (1993-1999년) 등에서 소가 수입됨에 따라서, APHIS는 금수조치가 발효되 기 이전에 이미 이들 지역에서 수입한 소들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다.

1981-1989년 동안 영국에서 수입한 총 333마리의 소들 중에서 3마리가 2001년 11월 현재까지 생존해 있으며, APHIS는 3마리 모두 격리시켜 정밀 검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들 수입가축에 대한 BSE 징후가 발 견된 바는 없다.

기타 유럽 국가에서 수입된 가축들이 또한 추적 조사되고 있다.

1981-1989년 동안 아일랜드에서 수입한 총 162마리의 가축 가운데 지금까 지 살아 있는 가축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996-1997년 동안 북미 유럽대륙에서 수입한 총 46마리의 소 중에서, 추적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5마리가 아직까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PHIS는 엄격한 관 리하에 이들 가축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현재까지 이들 수입 가축에서 BSE의 징후가 탐지된 바는 없다. APHIS 는 연구용 가축에 대한 수입을 계속해서 허가할 예정이다. 1993년-1999년 동안 일본에서 수입한 총 242마리의 소 중에서 2001년 11월 현재까지 214 마리의 소재가 파악됐으며, 이 중에서 24마리는 죽거나, 도살되었으며, 40 마리는 수출되었다.

2.1.2. 사료 수입

전염병 관련 자료에 따르면, 오염된 육골분사료를 함유하고 있는 동물성 사료와 관련된 물질에 의해서 BSE가 발생하거나 확산되는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 주요 원인체는 비정상적 변형단백질인 프라이온(Prion)으로 추정 되며, 소가 이 프라이온이 함유된 동물의 육골분 및 골분사료를 섭취함으

로써 감염되어 3∼5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BSE 전염국가에서 육골분사료를 수입함으로써 BSE 원인체가 미국 국내 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FDA와 USDA는 전염 가능성이 있는 사료제품의 국내유입을 예방하기 위해서 반추가축 및 생산물, 이에 유래한 단백질 등 의 수입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조치를 시행해 왔다. 1989년 이후 APHIS는 BSE 발생국가를 상대로 반추가축 및 제품에 대한 금수조치를 시행했다.

1997년 12월에는 전 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이런 금수조치를 강화했으며, 2000년 12월에는 품목에 상관없이 BSE 발생국가를 상대로 모든 변형된 가 축단백질 제품에 대한 금수조치를 단행했다.

또한 2001년 1월 FDA는 검사관으로 하여금 BSE 발생국가나 모든 유럽 국가에서 수입하는 축산물, 가축사료 및 그 성분과 관련 제품의 운송을 유 보하도록 함으로써 수입경보를 발령했다.

오염된 반추가축 유래단백질을 사용함으로써 BSE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염 가능성이 있는 육골분사료의 소비로부터 미국 소 개체 군을 보호하기 위해서 FDA는 1997년 8월 반추가축 유래단백질의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또한 FDA는 사료제조업자들로 하여금 반추동물용 사료 에 금지된 물질을 함유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적절한 절차나 관리 시스템에 대한 규정을 강화했다.

FDA는 가축사료 규정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 사료관리 담 당자의 도움을 받아 1998년 1월부터 2001년 11월 동안 만개 이상의 사료 업체, 가축사육농가, 운송업자 등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결과 에 따르면 FDA 승인을 받은 사료공장 가운데 90%, FDA의 승인을 받지 못한 사료업체 가운데 84%, 금지된 물질을 처리하는 174개 정제업자 가운 데 93%가 이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보고됐다. 특히 이 가운데 국내 육골 분사료의 주요 공급처로써 정제업자의 준수 여부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미국 광우병 예방대책 강화 65

미국에서 BSE 예방을 위한 포괄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FDA는 초기검사 자료를 근거로 위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시설을 대상으로 추가 및 재검 사를 실시하고 있다. 추가 및 재검사 결과 상당수가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 다. 1998-2001년 동안 실시된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FDA는 사료규정을 100% 준수하도록 전략을 수정해 나아갈 것이다.

2.1.3. 육류 및 육류제품

가축 광우병과 사람의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콥병(variant Creutzfeldt-Jakob, vCJD)”이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BSE가 국내로 유입될 경우 BSE 원인체에 의해서 오염된 육류제품이 vCJD 확산의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적으로 BSE에 감염된 소 의 경우, BSE 원인체는 소의 뇌조직이나, 척추 및 망막에서 탐지되며, 근 육(muscle meat)이나 우유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USDA의 식품안전검사소(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FSIS)는 육류 로 정의되는 것을 대상으로 엄격한 규정을 수립하고 있다. 뼈에서 육질을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에서 일부 뼈 입자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런 공정을 통해서 생산된 제품들은 “기계적으로 분리된 육류”라는 표시를 해야 한다.

2.1.4. 의약품에서의 가축사용

FDA는 사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의약품에 가축성분 사용을 규제하 는 조치를 단행했다. 1991년 FDA는 소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이로부터 생 산된 의약품에 대한 검사를 강화했다. 또한 FDA는 제조업자들에게 BSE 발생지역의 제품 및 가축조직으로부터 만들어진 물질을 구매하지 말도록 권고했다.

1993년, 1996년 FDA는 의약품 및 의료기구 제조업자들에게 BSE 발생 지역에서 사육하고 도살된 소에서 유래한 물질을 사용하지 말도록 권고하

는 서한을 발송했다. 2000년에도 FDA는 백신이나 생화학 제조업자를 대상 으로 동일한 조치를 취했으며, 2001년 8월에는 수혈로부터의 vCJD의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관련기관에 지침서를 발송했다. 아직까지 수혈을 통 한 CJD나 vCJD의 발생 보고가 없었을지라도 FDA는 위험에 대한 경각심 을 알리기 위해서 이런 권고조치를 계속해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사전예 방적 권고조치는 헌혈기관에게 다음과 같은 사람의 수혈을 금지하라고 요 구하고 있다.

① vCJD 증후가 보이는 사람

② 1980-1996년 동안 3개월 이상 영국에서 거주한 사람 ③ 1980-2001년 동안 영국에서 헌혈을 받은 사람

④ 1980-2001년 동안 프랑스에서 5년 이상 거주한 사람

⑤ 1980-1996년 동안 미군을 포함해 유럽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한 사람 ⑥ 1980-2001년 동안 유럽에서 5년 이상 계속해서 거주한 사람

⑦ 1980년 이후 소에서 추출한 인슐린을 주입한 사람

문서에서 일본의 농업소득안정정책 (페이지 6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