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1. 영유아 돌봄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농촌, 특히 면 지역에 거주하는 5세 미만 아동의 수도 줄어들었다.

전체 인구에서 5세 미만 아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동 지역은 3.6%이지만 면 지역은 2.5%로 낮다. 면 지역에는 평균 94.9명의 유아가 거주하나 동 지역에는 736.3명의 5세 미만 아동이 거주하여 영유아 수가 절대적으로 적다.

면 지역에 거주하는 5세 미만 아동은 평균 100명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농촌에서도 도시 와 같은 보육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아동 보육 전달 체계 중 하나인 어린이집은 면 지역에 턱없이 부족하다. 동이나 읍 지역은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이 행정구역당 각각 15.3개와 15.9개가 있지만, 면 지역은 1.6개에 불과하다. 면 지역당 1.6개라는 지표는 면 지역 하나당 최소한 한 개의 어린이집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2019년 12월 기준으로 어린이집이 없는 면은 전체 면의 44.4%에 달한다. 즉, 전체 면의 절반 가까운 면에 어린이집 이 없는 것이 농촌 보육의 현실이다.

지역 구분 행정구역 수 국공립 어린이집 민간 등 어린이집 전체 어린이집

(비율) (비율) (비율)

도시(동) 2,079 3,686 (1.8) 28,192 (13.6) 31,878 (15.3)

농촌 1,404 665 (0.5) 4,829 (3.4) 5,494 (3.9)

230 341 (1.5) 3,306 (14.4) 3,647 (15.9)

1,174 324 (0.3) 1,523 (1.3) 1,847 (1.6)

합계 3,483 4,351 (1.0) 33,021 (7.7) 37,372 (8.8) 표 2-37 읍·면·동별 어린이집 현황

단위: 만 명, (%)

주: 2019년 12월 기준. 행정구역 수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현황 자료 기준이며 출장소는 제외함.

자료: 한국콘텐츠미디어. 『2020 전국 어린이집 주소록』;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민간 보육 기관이 부족하면 정부의 공적 전달 체계가 빈틈을 메꿔야 한다. 그러나 국공립 어린이집의 비율이 면 지역 하나당 0.3개에 불과하다. 면 지역에 있는 초등학교에 공립(병 설) 유치원이 일부 보육을 담당하지만, 보육 시설인 어린이집과 비교하면 운영시간이나 아

동 연령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면 지역 보육을 대체하기는 어렵다.

면 지역에 어린이집 평균 개소 수가 적다는 사실은 접근성이 취약하다는 것과 같은 의미 다. 인구 비율로는 면 지역이나 동 지역이 비슷할 수 있으나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에서는 보 육 시설까지 거리도 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충남 홍성군은 443.5㎢ 면적에 어린이집이 62개인데 면적이 29.57㎢인 관악구에는 홍성군 면적의 약 7%에 불과함에도 251개의 어린 이집이 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 있어도 새벽부터 일을 시작하는 농촌 특성을 고려하면 보육 시설과의 접근성 문제는 현 상태에서는 해결하기 어렵다.

보건복지부의 보육 시설 운영 지침도 농촌 보육 현실을 외면한다. 지침에 따르면 보육 시 설 원아 수가 10명 이하이면 보육 교사 채용 비용을 지원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 서 기존 어린이집 원생이 도시로 이동해서 원아 수가 5명이 된다면. 원아 수가 5명이므로 보 육 교사의 보수 절반을 학부모나 마을에서 부담하고 나머지 절반만을 보건복지부에서 부담 할 수 있다. 그러나 원아 수가 10명 이하면 보육 교사 보수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결국 어린 이집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보육사업지침이 농촌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는 등 지역 특수 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 많다.

농촌의 젊은 여성은 정부에서 보육이나 교육 시설 확대를 바란다. 2018년 여성농업인 실 태조사에 따르면, 젊은 층에서는 보육 및 교육 시설 확충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농촌 지 역 저출산 시대에 대응하고 여성의 사회참여를 촉진하려면 보육에 대한 지원은 필수라고 인 식한다. 전체 여성농업인 15.4%, 특히 30대 이하의 22%가 필요 과제로 ‘보육 및 교육 시설 확충’을 꼽았다. 22%라는 수치는 ‘복지 시설 확충 및 제도 확대’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 하여 젊은 농촌 여성의 보육 및 교육에 대한 정책 수요가 얼마나 많은지 보여준다.

구분 사례

인력 기준을 맞춘다고 한다면 필요한 인력을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도 생각해야 한다. 면 지역은 보건복지부나 교육부의 기준을 충족한 교사가 부족하다. 부족한 교사는 농촌 외 지 역에서 수혈해야 하는데 교사를 위한 정주 여건이 부족한 농촌에 교사를 유치하기는 어렵 다. 일부는 농촌 내 고령 여성을 대안으로 생각하지만, 보육 교사 자격을 갖추지 않는 한 보 건복지부의 지침을 만족하지 못한다.

공동체에서 보육이나 육아, 교육을 제공하는 사례는 많아 이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천안의 공동육아협동조합 ‘모여라어린이집’은 천안에 거주하는 부모가 모 여 농촌에 협동조합 형태의 어린이집을 만든 사례다. 논산시의 마을교육공동체 사회적 협동 조합 ‘벌개’는 지역사회 주민이 직접 학교 교육에 참여하는 공동체다. 해외에서는 이탈리아 북부 쥐트티롤(Südtirol)주에서 활동하는 ‘여성농업인과 함께하는 배움-성장-삶’ 사회적 협동조합(Sozialgenossenschaft Mit Bäuerinnen lernen-wachsen-leben)이 유사한 사례이다. ‘여성농업인과 함께하는 배움-성장-삶’ 협동조합은 지역 내 아동뿐만 아니라 노 인, 장애인, 재소자, 약물 중독자 등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방자치단체가 협 동조합 돌봄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민관협력 사례이다.

면 지역에는 보육 서비스가 과소공급되고 젊은 부모가 농촌을 떠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 한다. 적절한 보육 서비스를 농촌 부모와 아동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젊은 부모가 농촌을 떠 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마을 주민이나 농촌에 거주하는 부모가 모여 공동체를 조직하고 협동조합 제도를 활용하여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현시점에서 가장 실현 가 능한 방안이지만,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5.2. 청소년 돌봄

농촌 지역의 고령화·과소화 영향 때문에 면 지역에는 청소년 수도 적다. 청소년 인구 현황 을 살펴보면 전체 인구에서 5세 이상 20세 미만 아동과 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이 동 지역 은 14.4%이지만, 면 지역은 9.3%에 불과하다. 동 지역에 거주하는 5세 이상 20세 미만 아 동과 청소년 평균 인구는 2,923명이지만, 면 지역에는 평균 372명만 거주하여 아동과 청소 년 수가 절대적으로 적다.

지역 구분 전체 인구 5~9세 10~14세 15~19세 5~19세 도시(동) 2,079 193.0 (9.3) 191.7 (9.2) 223.0 (10.7) 626.2 (30.1) 농촌 1,404 39.2 (2.8) 38.3 (2.7) 43.0 (3.1) 144.5 (9.0)

구분 내용 보호 빈곤·방임 아동보호, 일상생활 지도, 급식제공, 위생지도 등

교육 학교생활 준비, 숙제지도, 예체능교육, 안전교육, 학습부진아 특별지도, 독서지도 등 문화 문화체험, 견학, 캠프, 공동체활동, 놀이활동 지원, 특기적성 등

복지 사례관리, 상담, 정서지원, 부모교육, 가정방문 등 지역사회 연계 지역 내 인적·물적 지원 연계, 결연후원, 지역복지활동 등 표 2-41 지역아동센터 기본 돌봄 서비스 주요 내용

자료: 아동권리보장원(2020).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소개』.

구분 내용

주말·공휴일 프로그램 평일 참여 불가자를 위한 프로그램과 주말에만 참여 가능한 체험학습 등을 제공

가족기능 강화 아동 양육기술 및 의사소통 증진, 부모집단 프로그램 및 자조모임, 가족성장교실, 좋은 부모교실, 지 역주민 멘토링

야간보호 방임 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귀가시간까지 지역아동센터에서 보호 청소년 1:1학습멘토, 동아리활동, 진로탐색 프로그램

표 2-42 지역아동센터 특화 돌봄 서비스 주요 내용

자료: 아동권리보장원(2020).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소개』.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는 2019년 12월 기준 280개소가 운영 중이다.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는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에게 건강한 성장과 자립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체험활동, 학습지원, 급식, 상담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60% 미만 가구의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중에서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과 중위소득 150% 미만 가구의 한부모·조손·다문화·장애·맞벌이 가구 청소년이다.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등이 제공하는 청소년 대상 돌봄은 농촌 청소년 의 돌봄 수요를 채우기에는 부족하다. 우선, 농촌 청소년이 이용하기에 시설 접근성이 떨어 진다. 저소득 청소년의 방과 후 활동을 돕는 지역아동센터는 2020년 11월 기준으로 전국에 4,331개소가 운영 중인데 도시에 3,658개소, 농촌에는 673개가 있다. 도시는 평균 1.8개 소의 지역아동센터가 운영되지만 면 지역에는 평균 0.3개만 운영된다. 청소년 방과 후 아카 데미도 면 지역에는 19개소만 있어 면 지역 거주 청소년이 이용할 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지역 구분 행정구역 수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지자체당 시설 수) (지자체당 시설 수)

도시(동) 2,079 3,658 1.8 208 0.1

농촌 1,404 673 0.5 98 0.1

230 331 1.4 79 0.3

1,174 342 0.3 19 0.0

합계 3,483 4,331 0.9 306 0.1

표 2-43 읍·면·동별 지역아동센터 및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분포 현황

단위: 개소

주: 행정구역 수는 2019년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 기준이며 출장소는 제외함.

자료: 아동권리보장원(https://www.icareinfo.go.kr/info/localCenter/localCenterMap1.do?menuNo=2001100);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http://www.youth.go.kr/yaca/index.do#);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

농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돌봄 프로그램도 문제다. 지역아동센터는 청소년 돌봄에 중 요한 역할을 하지만 주로 주간에만 운영한다. 농업은 일반 노동과 달리 정해진 시간에만 일 하지 않고 작물에 따라 주말이나 공휴일, 야간에도 노동을 투입한다. 그러나 2018년 12월 을 기준으로 매주 토요일에 운영하는 지역아동센터는 전체 지역아동센터의 26.9%다. 격주 로 운영하는 센터도 전체의 1.9%에 불과하다. 공휴일에 운영하는 센터는 전국의 약 1% 정

농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돌봄 프로그램도 문제다. 지역아동센터는 청소년 돌봄에 중 요한 역할을 하지만 주로 주간에만 운영한다. 농업은 일반 노동과 달리 정해진 시간에만 일 하지 않고 작물에 따라 주말이나 공휴일, 야간에도 노동을 투입한다. 그러나 2018년 12월 을 기준으로 매주 토요일에 운영하는 지역아동센터는 전체 지역아동센터의 26.9%다. 격주 로 운영하는 센터도 전체의 1.9%에 불과하다. 공휴일에 운영하는 센터는 전국의 약 1%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