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노동시간이 긴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 60 시간 이상 노동을 하는 노동자의 비율이 OECD 국가 중 2위로 나타날 정 도로 장시간 노동이 일상화되고 있다(OECD, 2017a). 60시간 이상 노동 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터키로 23.3%이고, 한국은 22.6%로 나타났 는데, OECD 평균이 5.6%인 점을 감안하면 한국은 OECD 평균보다 약 4배 많은 셈이다(OECD, 2017a).

[그림 1-1] OECD 국가의 60시간 이상 노동자 비율

(단위, %)

자료: Forbes. (2018. 2. 2.). The Countries Where The Most Workers Are Putting In 60 Ho urs A Week. Forbes, https://www.forbes.com/sites/niallmccarthy/2018/02/02/the-cou ntries-where-workers-are-putting-in-a-shift-of-more-than-60-hours-infographic에 서 2018. 10. 2.에 인출

서 론 <<

1

이러한 장시간 노동은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 어, 하루 전체 시간을 노동, 육아·가사, 여가시간으로 분류한다고 하였을 때, 노동시간의 증가는 다른 시간의 감소를 가져오는 시간 간의 상충 (tradeoff) 관계가 있다. 따라서 노동시간의 증가가 다른 육아·가사, 여가 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시간은 누구에게나 24시간밖에 주어지지 않 기 때문에, 노동시간의 증가는 반드시 다른 시간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 다. 특히, 이러한 노동시간의 증가가 여가시간의 감소를 가져온다면 삶의 질 측면에서 악화될 것이라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최근 정부는 삶의 질 측면에서 일·생활의 균형을 실천하는 것을 기조로 삼고 있으며, 이는 장시간 노동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데 초 점이 두어진다. 그러나 맞벌이 부부 아내의 육아·가사 시간이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조성호, 2016),1) 남편의 장시간 노동 완화로 인한 노 동시간 감소가 육아·가사 시간으로 이전되는 것이 진정한 일·생활 균형 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2. 연구의 목적

우리나라 부부의 시간 배분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임금이 시간 배분 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본인의 시간 및 배우자의 시간이 시간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 이다. 임금이 시간 배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을 임금의 기회비용으로 가 정하고, 시간의 기회비용이 다른 시간 배분(여가시간 등)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임금이 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

1) 조성호(2016)에서는 맞벌이 부부 아내가 남편에 비하여 육아시간이 약 3.5배, 가사시간 이 약 9.2배 길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음.

은 보통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로 나누어지고 노동시간의 증감은 두 효과 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즉, 대체효과는 임금이 증가하면 증가한 임금 만큼 더 많이 노동으로 대체되는 효과를 말하고, 소득효과는 어느 정도 소득이 되면 노동시간보다 여가시간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여가시간으 로 이전되는 효과를 말하며, 이 두 효과가 결합되어 노동시간의 증감 효 과를 알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효과는 실제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따라서 임금이 시간 배분에 미치는 효과와 실제 노동시간이 그 외의 시간 배분에 미치는 효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간의 증감과 그 외의 시간 배분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려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임금이 시간 배분 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장시간 노동의 완화가 육아·가사, 여가시간 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일·생활 균형을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분 석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부를 분석의 기본 단위로 설정하고, 이들의 노동, 육아, 가사, 여가시간 배분 현황을 파악하여 노동 시간 변화에 따른 육아, 가사, 여가시간의 증감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려 한다. 또한 남편과 아내의 소득, 종사상 지위, 직종, 맞벌이 여부에 따른 육아, 가사, 여가시간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