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주제는 다음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첫 번째 주제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제 형성, 정책 형성, 정책 집행, 정 책 평가의 정책 단계별 국내 근거를 분석하는 것이다. 정책의제 형성의 근거로는 국내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 연구를 Meta analysis, Systematic Review, Scoping Review를 실시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 한 건강 영향 규모(사망과 질환의 위험도 등)를 종합했다. 정책 형성, 집 행, 평가 단계의 근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여 최근의 주 요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고찰했다.

두 번째 연구 주제는 정책 수요자 측면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에 대한 수요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의 건강영향과 대응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과 국가 정책에 대한 요구에 대해 전화 설문을 실 시했다.

마지막 주제는 정책 제공자 측면에서 기후변화 정책과 사업의 제공 실 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보건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영역 과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법, 조직, 중앙정부와 지 방정부의 계획을 검토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그림 1-3).

본 연구는 다음의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우리 나라 보건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영역을 설정한다는 점이 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기후변화 관련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사망, 질 병 발생의 규모와 변화를 분석하는 데 집중해 왔으나, 본 연구는 이러한 근거를 기반으로 보건 분야의 대응 방향을 설정했다. 또한 국제기구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기후변화와 건강과의 관련성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기후변화 양상과 보건의료체계에 부합하는 우선적인 대응 영역을 체계화 했다.

〔그림 1-3〕 연구의 틀

둘째, 국내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의 근거를 종합적으로 제시했 다. 기후변화의 크기와 그로 인한 영향은 국가가 처한 다양한 환경(사회·

경제적, 인구학적, 기후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고 유한 상황(기후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문화적 특성, 적응대책 등)에 서 개별적으로 수행된 기후변화-건강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 로 제시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수행된 기후변화-건강 관련 연구 결 과를 종합함으로써 기후변화에 특별히 취약한 집단을 확인하고, 어느 집 단에서, 어떤 질환으로, 얼마만큼의 영향을 받는지 파악할 때 필요한 추 가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셋째,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과 대응에 대한 국민의 인식 및 요구를 파악했다. 기존의 인식도 조사 연구는 기후변화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인식 을 평가한 것으로서,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인식과 국가 지원 에 대한 요구가 충분히 파악되지 못했다. 특히 2016년 폭염과 강도 높은 대기오염 수준에 따라 국민의 인식과 요구가 향상되고 있음을 파악하여 이를 정책에 반영하도록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국내 기후변화 정책 및 사업 제공 실태를 파악하여 적응 전략의 개선점을 도출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현재의 기후변화 대응의 정책과 사업의 유형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중앙 의 전략이 국내 요구에 부합하는가, 지역사회 적응 전략은 중앙의 전략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미 있는 사업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가를 파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