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 영역별 차이

Ⅳ. 결과 및 논의

4.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 영역별 차이

도시와 농촌 중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영역별 만 족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1)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자신감 영역의 만족도 차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자신감 영역의 만족도 차이 결과는

<표 13>와 같다.

표 13. 여가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자심감 영역의 만족도 차이

구 분 SS df MS F p

716.318 1 716.318 3098.157 .000

주효과

활동 유형(A) .066 2 .303 1.310 .271

참여 동기(B) .381 3 .127 .548 .650

상호작용 (A×B) 2.645 6 .441 1.904 .078

잔 차 127.097 549 .232

전 체 6112.470 561

<표 13>에 의하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자신감 영역의 만족도 차이는 상호작용효과(A×B)가 나타나지 않았다(F=1.904, p>.05). 따라서 주효과 검증을 검증한 결과, 활동유형(F=1.310, p>.05)과 참여동기(F= .548, p>.05)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가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자신감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규 열(1998)의 서울시 중학생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한 조사에서 참여 동기에 따른 자신 감 영역의 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 다. 이는 여가활동유형과 참여 동기는 개인이 가지는 만족도 경향이 다른 것으로 사료 된다.

2)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조절력 영역의 만족도 차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조절력 영역의 만족도 차이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여가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조절력 영역의 만족도 차이

구 분 SS df MS F p

578.994 1 578.994 2148.402 .000 주효과 활동 유형(A) 1.066 2 .533 1.977 .139 참여 동기(B) 1.683 3 .561 2.082 .102 상호작용 (A×B) 5.333 6 .889 3.298 .003

잔 차 147.955 549 .269

전 체 5404.460 561

<표 14>에 의하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조절력 영역의 만족도 차이는 상호작용효과(A×B)가 나타났다(F=3.298, p<.01). 이것은 중학생의 여가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가 상호 작용하여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조절력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2]와 같 다. 아래의 [그림 2]에 의하면, 여가활동 유형 중 정신적 활동에서 조절력 만족도는 신 체단련과 교우관계를 가진 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봉사활동의 참여동 기를 가진 학생이 가장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신체적 활동에서 조절력 만족도는 신 체단련 참여동기를 가진 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으며, 봉사활동의 참여동기 를 가진 학생이 가장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사회적 활동에서 조절력 만족도는 봉사 활동의 참여동기를 가진 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으며, 교우관계를 가진 학생 이 가장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정규열(1998)의 연구에서는 조절력의 만족도는 봉사 활동의 참여 동기를 갖고 있는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신체단련의 참여 동기를 갖고 있는 학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학생의 지역에 따라 여가활동유형 및 참여 동기에 따라 조절력 영역의 만 족도는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2] 여가활동 유형 및 참여동기에 따른 조절력 영역의 상호작용

3)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필요성 영역의 만족도 차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필요성 영역의 만족도 차이 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5. 여가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필요성 영역의 만족도 차이

구 분 SS df MS F p

586.222 1 586.222 1394.359 .000 주효과 활동 유형(A) 1.311 2 .656 1.560 .211 참여 동기(B) 2.272 3 .757 1.802 .146 상호작용 (A×B) 4.573 6 .762 1.813 .094

잔 차 230.813 549 .420

전 체 5638.980 561

<표 15>에 의하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필요성 영역의 만족도 차이는 상호작용효과(A×B)가 나타나지 않았다(F=1.813, p>.05). 따라서 주효과 검증을 검증한 결과, 활동유형(F= .211, p>.05)과 참여동기(F= .146, p>.05)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가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필요성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김경 태(1996), 박정희(1999)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 조사에서 필요성 영역의 만족도 차이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4)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심취도 영역의 만족도 차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심취도 영역의 만족도 차이 결과는 <

표 16>와 같다.

표 16. 여가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심취도 영역의 만족도 차이

구 분 SS df MS F p

661.323 1 661.323 1352.619 .000 주효과 활동 유형(A) 1.740 2 .870 1.780 .170 참여 동기(B) 6.523 3 2.174 4.447 .004 상호작용 (A×B) 11.953 6 1.992 4.074 .001

잔 차 268.417 549 .489

전 체 6612.670 561

<표 16>에 의하면,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에 따른 심취도 영역의 만족도 차이는 상호작용효과(A×B)가 나타났다(F=4.074, p<.001). 이것은 중학생의 여 가활동 유형과 참여동기가 상호 작용하여 여가활동 기능영역 중 심취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그림 3]과 같 다. 아래의 [그림 3]에 의하면, 여가활동 유형 중 정신적 활동에서 심취도 만족도는 교 우관계를 가진 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봉사활동의 참여동기를 가진 학 생이 가장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신체적 활동에서 심취도 만족도는 신체단련 참여동 기를 가진 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교우관계의 참여동기를 가진 학생이 가장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사회적 활동에서 심취도 만족도는 신체단련의 참여동기 를 가진 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교우관계를 가진 학생이 가장 낮은 만 족도가 나타났다. 강정수(1993), 박현순(2000)은 여가활동 유형중 정신적 활동의

심취도 만족도는 교우관계를 가진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 일 치하고 있으며 중학생의 경우 교우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정규열(1998)은 여가활동 유형중 정신적 활동의 심취도 만족도는 신체단련의 참여 동기 를 가진 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그림 3] 여가활동 유형 및 참여동기에 따른 심취도 영역의 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