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어머니의 취업과 일-양육 갈등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문서에서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 (페이지 135-160)

Ⅴ. 가정생활 변화와 아동의 학교 적응

3. 어머니의 취업과 일-양육 갈등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본 절에서는 어머니의 취업과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 후 학교 적응과의 관계 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단순히 교 육과정의 변화뿐만 아니라 아동의 가정 및 학교 생활 변화까지 수반된다. 이러

한 과정에서 부모의 학교준비도와 학습준비도는 아동에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김창복·이신영, 2013).

하지만 어머니의 취업은 이러한 아동의 지원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을 부족하게 만든다. 이러한 절대적인 시간 부족으로 인해 학교 적응에 지 원활동과 관심이 적어지게 되고 이것이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앞 절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살펴보았듯이 어머니들은 아동의 초등학교 진학 으로 인한 교육지원 및 돌봄으로 인해 노동시간을 줄이기까지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초등학교에 대한 적응과 돌봄에 지원을 해야 한 다는 압박감과 우려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어머 니가 실제 취업한 상태에서 직장에 다니는 것, 취업한 상태에서 일-양육갈등을 느끼는 수준이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가. 분석 방법 및 변수

분석은 초등학교 입학 후 한국아동패널 8차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분석은 어머니의 직장재직여부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였 다. 한국아동패널 전체 응답 중 무응답 표본을 제외한 1,031 가구의 자료를 대 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어머니의 직장 재직 여부였으며, ‘0’, ‘1’

로 더미 코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정도(1문항, 교사 응답), 부모의 학업관심도(1문항, 교사 응답), 모-자녀 상호작용(11문항, 어머니 응답)46)을 어머니의 직장 재직여부와 아동의 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할 가능성이 있는 변수로 산정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 변수인 아동의 학교 적응은 지성애·정대현(2006)이 개발한 척도로 35개 문항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크게 학교생활적응(11문항), 학업수행 적응(11문항), 또래적응(8문항), 교사적응(5문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하위 종속변수 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분석은 무응답 표본을 제외한 맞벌이 가구(n=381)를 대상으로 분석

46)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Kindergarten Cohort(ECLS-K)의 Home Environment, Activities, And Cognitive Stimulation(HEQ)중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질문하는 일부 문항을 번역하여 재구성한 문항임

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분석 주제는 일-양육갈등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였다. 독립변수는 Marshall과 Barnett(1993)이 개발한 일-가정양립시 이점과 갈등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응답한 일-양육갈등(6문항)만 독립 변수로 투입하였다. 두 번째의 분석 역시, 부모의 학교 생활 관심정도, 부모의 학업관심도, 모-자녀상호작용을 매개변수도 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아버지의 일-양육 갈등이 독립변수에 추가되어 부-자녀 상호작용(11문항)을 매개 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 역시 지성애·정대현(2006)이 개발한 학교 적응이었다.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 제안한 방식을 활용하였다.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 관계의 유의성, 매개변수 와 종속변수 관계의 유의성,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와의 관계의 유의 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매개변수를 통제한 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 계가 유의하면 부분매개, 유의하지 않으면 완전매개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분석에는 아동 성별,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는 통제 변인으 로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나. 어머니의 직장 재직 여부가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어머니의 직장 재직여부가 학교 생활 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에 미 치는 효과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직장 재직이 학교 생활 관심(= -.148, p < .001)과 모-자녀 상호작용(= -.056, p < .05)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3-1〉어머니의 직장 재직 여부가 학교 생활 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 생활 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1단계

아동성별 0.035 0.031 .055 .056 -0.000 -0.000 가구소득 0.021 0.052 .039 .036 0.036 0.049 형제자매 수 -0.171*** -0.176*** -.039 -.038 -0.116*** -0.118 2단계

모 재직 여부 -0.148***   .012   -0.056*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성별,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를 통제 한 후 학교 생활 적응을 예측하 는 회귀모델에서 모 재직여부를 투입한 결과, 어머니가 직장에 재직 중일 경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79, p < .05). 또한, 학 교생활관심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48, p < .001). 또한 매개변수인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을 투입하였을 때 모 재직여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나( = -.043, p > .05) 모의 재직여부는 학교생활관심에 매개하여 학 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3-2〉모 재직 여부 및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생활적응

  모형1 모형2 모형3

1단계

아동성별 .245*** .242*** .237***

가구소득 .024 .040 .029

형제자매 수 .044 .041 .080

2단계

모 재직 여부   -.079* -.043

3단계

학교생활관심     .248***

학업관심도     -.025

모 자녀 상호작용     -.019

*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성별,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를 통제 한 후 아동의 학업수행 적응을 예측하는 회귀모델에서 모 재직여부를 투입한 결과, 어머니가 직장에 재직 중일 경우 학업수행적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093, p < .01). 또한, 학교 생활관심이 높을수록 학업수행 적응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0.327, p < .001). 또한 매개변수인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 을 투입하였을 때 모 재직여부가 학업수행 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나( = -.041, p > .05) 모의 재직여부는 학교생활관심에 매개하 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3-3〉모 재직 여부 및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성별,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를 통제 한 후 아동의 학업수행 적응을 예측하는 회귀모델에서 모 재직여부를 투입한 결과, 어머니의 재직여부는 교사 에 대한 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001, p > .05). 하 지만 학교생활관심이 높을수록 교사에 대한 적응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 .154, p < .001).

〈표 Ⅴ-3-5〉모 재직 여부 및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교사 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교사 적응

  모형1 모형2 모형3

1단계

아동성별 .022 .022 .018

가구소득 .072* .072* .063*

형제자매 수 -.030 -.030 .003

2단계

모 재직 여부 .001 .028

3단계

학교생활관심 .154**

학업관심도 -.012

모 자녀 상호작용 .054

* p < .05, ** p < .01., *** p < .001

분석결과에 대한 요약을 [그림 Ⅴ-3-1]에 제시하였다. 제시된 것과 같이 어머 니의 직장 재직은 자녀에 대한 학교 생활에 대한 관심저하로 이어지고 이것이 학교 생활 적응, 학업수행 적응, 또래 관계 적응 등 아동의 학교 적응의 전반적 인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연구진이 도식화함.

〔그림 Ⅴ-3-1〕어머니의 직장 재직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로

다. 일-양육갈등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분석 결과

부모의 일-양육 갈등이 학교 생활 관심, 학업관심도,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 치는 효과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일-양육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생활관심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47, p < .01). 이러한 결과는 부 의 일-양육갈등이 학교 생활 관심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 -.071, p

> .05)과 대비된다. 하지만 어머니의 일-양육갈등은 모-자녀 상호작용(= -.140, p < .01)에, 아버지의 일-양육갈등은 부-자녀상호작용(= -.124, p < .05)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3-6〉부모의 일-양육 갈등이 학교 생활 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 생활 관심 학업관심도 모-자녀

상호작용

부-자녀 상호작용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1단계

아동성별 .114* .119* .048 .047 .060 .065 .044 .050 가구소득 -.001 -.013 .048 .049 .000 -.012 .036 .025 형제자매 수 -.154** -.161*** -.086 -.089 -.150** -.157** -.009 -.013 2단계

모 일-양육갈등 -.147** -.082 -.140** -.062

부 일-양육갈등 -.071 .063 -.084 -.124*

*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성별,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를 통제 한 후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회귀모델에서 부모의 일-양육갈등을 투입한 결과, 어머니의 일-양육갈 등만 학교생활적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0.102, p < .05). 또한, 학 교생활관심이 높을수록 학교 생활 적응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52, p < .001). 또한 매개변수인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부모-자녀 상호작용 을 투입하였을 때 모 재직여부가 학업수행 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나( = -.060, p > .05) 어머니의 일-양육갈등은 학교 생활 관심 을 매개하여 학교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3-7〉부모의 일-양육 갈등 및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모(부)-자녀

아동의 성별,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를 통제 한 후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회귀모델에서 부모의 일-양육갈등을 투입한 결과, 어머니의 일-양육갈 등만 또래관계 적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0.096, p < .06). 또한, 학교생활관심이 높을수록 학교 생활 적응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16, p < .001). 매개변수인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 .316, p < .001). 매개변수인 학교생활관심, 학업관심도,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문서에서 초등자녀 양육지원 방안 (페이지 135-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