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어린이집 이용 과정 실태

1. 어린이집 이용 기간 및 중간에 그만둔 경험

어린이집 이용자에게 현재 이용하는 어린이집 이용 기간을 물어보았 다. 응답자의 평균 이용 기간은 19.3개월로 나타났다. 국공립어린이집 이 용 기간이 23.7개월로 가장 높았고, 민간어린이집 이용 기간이 20.3개 월, 가정어린이집 이용 기간은 13.8개월로 나타났다.

자녀가 많을수록, 유아반이 영아반에 비해 어린이집 이용 기간이 길었 다. 수도권 거주자(19.5개월)가 비수도권 거주자(18.9개월)에 비해, 맞벌 이 가구(20.3개월)가 비맞벌이 가구(16.8개월)에 비해 어린이집 이용 기 간이 길었다.

국공립어린이집 이용자는 맞벌이 가구일 때,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 수록, 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어린이집 이용 기간이 길었다. 민간어 린이집이나 가정어린이집 이용 기간은 맞벌이 가구가 비맞벌이 가구에 비해 길었다. 그러나 민간 및 가정어린이집 이용자는 월평균 가구 소득 이 낮을수록, 모의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어린이집 이용 기간이 긴 것으 로 나타났다.

아이가 전에 다니던 어린이집을 중간에 그만둔 적이 있는지 물어본 결 과, 어린이집 이용자의 19.9%가 그만둔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 중단이 27.8%로 가장 높았고, 민간어린이집 20.8%, 가정 어린이집 11.2% 순으로 나타났다.

아이가 2명일 때 어린이집 중단 비율이 23.9%로 가장 높았으며, 3명 일 때는 23.3%, 1명일 때는 15.1%로 나타났다. 유아반이 영아반에 비해 어린이집 중단 경험이 많았고, 사적 지원이 있을 때, 수도권 거주자일

때, 월평균 소득이 낮을 때 어린이집 중단 경험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어린이집 3개 유형 모두에서 자녀가 2명일 때 3명이나 1명 가구에 비 해, 유아반이 영아반에 비해 어린이집 중단 경험이 많았다. 반면, 수도권 거주자는 국공립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 이용 중단의 비율이 비수도 권에 비해 높았으나, 가정어린이집은 비수도권 거주자의 어린이집 이용 중단의 비율(15.6%)이 수도권(7.4%)에 비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 했을 때, 국공립어린이집 이용자의 중단 비율이 높은 것은 국공립 이용자 는 유아반인 경우가 많고(57%), 다자녀의 비율이 높기 때문(〈표 4-1-1〉

참조)으로 추측된다.

(단위: 개월)

(단위: %)

2. 어린이집 등하원 이용 시간 및 추가 비용

현재 어린이집 보육 운영 시간은 맞벌이의 경우, 오전 7시 30분부터 오 후 7시 30분까지 이용할 수 있는 종일반 운영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 까지의 맞춤반으로 운영하도록 되어 있으나 많은 수의 어린이집이 이러 저러한 이유로 등하원 시간을 맞춤반(오전 9시〜오후 4시) 수준으로만 운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맞춤형 보육’을 폐지하 고 2020년 3월부터는 연장보육 신청이 가능하도록 보육지원체계 개편을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평상시 아이의 어린이집 등원 시간을 물 어본 결과(어린이집 도착 시간 기준), 평균 9시 8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 다. 국공립어린이집이나 민간어린이집, 그리고 가정어린이집 모두 아이 가 어린이집에 도착하는 시간은 9시 5~10분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제적으로 아이의 연령이나 가족 사정을 고려할 때 적당한 어린이집 등원 시간이 언제인지 물어본 결과 8시 45~52분으로 실제 등 원 시간보다 20~30분 빨리 등원하기를 원했다. 희망하는 평균 등원 시간 은 8시 48분으로 국공립어린이집 이용자의 희망 등원 시간은 8시 48분, 민간어린이집 이용자는 8시 51분, 가정어린이집 이용자는 8시 45분이었 다. 더불어 평상시에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하원하는 시간(어린이집을 출 발하는 시간)은 평균 오후 4시 17분으로 민간어린이집의 평균 하원 시간 은 오후 4시 5분이었고, 가정어린이집의 평균 하원 시간은 오후 4시 28 분, 국공립어린이집 평균 하원 시간은 오후 4시 17분이었다. 자녀의 연령 이나 가족 사정을 고려할 때 실제로 원하는 어린이집 하원 시간은 평균적 으로 오후 5시 10분이라고 응답하였다. 어린이집 유형별로 살펴보면 국 공립어린이집 이용자의 희망 하원 시간은 오후 5시 6분, 민간어린이집은 오후 4시 49분, 가정어린이집은 오후 5시 24분으로 나타났다.

(단위: 시 : 분)

구 분 전체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어린이집 실제 등원 시간 9:8.2 9:6.6 9:10.6 9:7.6 어린이집 희망 등원 시간 8:48.6 8:48.3 8:51.7 8:45.7 어린이집 실제 하원 시간 16:17.2 16:17.3 16:5.3 16:28.9 어린이집 희망 하원 시간 17:10.1 17:6.6 16:59.2 17:24.4

〈표 4-3-3〉 어린이집 실제 및 희망 등원 시간 및 하원 시간

또한 어린이집 등원에 걸리는 시간을 물어본 결과 평균 10.5분인 것으 로 나타났다. 국공립어린이집 등원에 걸리는 시간이 12.2분으로 가장 길 었으며, 민간어린이집이 10.9분, 가정어린이집은 8.5분이었다.

(단위: 분)

구 분 전체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전 체 10.5 12.2 10.9 8.5

〈표 4-3-4〉 어린이집 등원 소요 시간

어린이집 등원 방법을 물어본 결과, ‘보호자(도우미)와 동반하여 걸어 서 등원’이 49.5%로 가장 많았고, ‘기관 통학차량 이용’ 24.0%, ‘가족의 자가용 차량 이용’ 23.7%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자는 등원의 방 법이 ‘보호자(도우미)와 동반하여 걸어서 등원’, ‘가족의 자가용 차량 이 용’, ‘기관 통학차량 이용’ 순으로 나타난 반면, 비수도권 거주자는 ‘보호 자(도우미)와 동반하여 걸어서 등원’, ‘기관 통학차량 이용’, ‘가족의 자가 용 차량 이용’ 순으로 나타나 비수도권의 ‘기관 통학차량 이용’ 비율이 수

도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엄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보 호자(도우미)와 동반하여 걸어서 등원’하는 비율과 ‘가족의 자가용 차량 으로’ 등원하는 비율이 높고, ‘기관 통학차량 이용’의 비율은 낮았다.

어린이집 유형별로 등원 방법을 살펴보면 전체 응답과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민간어린이집은 전체 응답 경향과 마찬가지로 ‘보호자(도 우미)와 동반하여 걸어서 등원’, ‘기관 통학차량 이용’, ‘가족의 자가용 차 량 이용’ 순으로 높은 반면, 국공립과 가정어린이집은 ‘보호자(도우미)와 동반하여 걸어서 등원’, ‘가족의 자가용 차량 이용’, ‘기관 통학차량 이용’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어린이집의 경우에는 ‘기관 통학차량 이용’이 매우 낮았다(〈표 4-3-5〉 참조). 어린이집 하원 방법도 등원 방법과 거의 같은 응답 경향성을 나타냈다(〈표 4-3-6〉 참조).

(단위: %)

전체국공립어린이간어린이집정어린이집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24.023.749.525.231.240.237.420.940.29.518.968.0 거주 지역             수도18.323.455.220.430.446.831.419.447.23.718.073.1 비수도권31.424.142.135.032.726.643.022.333.616.120.062.2 가구 특성             맞벌이 가22.828.045.727.033.935.135.227.235.97.322.765.7 비맞벌이 가구27.011.760.319.119.860.341.89.447.814.87.976.3 한부모 등24.943.920.824.553.813.425.717.145.624.751.110.1 평균 가구 소득             200만29.925.539.227.826.530.715.542.142.445.88.645.6 200만~400만27.516.751.926.925.941.340.514.342.914.011.470.8 400만60024.022.850.322.731.043.937.320.540.910.616.367.8 600만21.429.547.226.734.736.035.626.536.74.326.966.9 모의 교육 수준             고졸 이하28.822.445.024.926.043.148.217.331.76.426.064.5 대졸 이하24.323.749.426.330.440.235.422.141.211.018.167.5 대학원 이17.724.654.015.142.038.242.314.341.52.819.773.4 : 1위로 응답한 비율이은 3개 항목치만 제시.

〈표 4-3-5어린이집 등원 방법

(단: %)

전체국공립어린이간어린이집정어린이집 기관통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기관통학 차량 이용

가족 자가 차량으

보호 (도) 반하여 걸어 24.422.948.928.226.840.137.720.440.17.421.766.4 거주 지역 수도권19.721.055.223.225.046.933.416.349.02.720.171.4 비수도30.625.540.838.530.526.241.724.231.812.823.560.8 가구 특성             맞벌이 가구22.827.645.130.828.535.234.127.536.24.126.763.5 비맞벌이 가29.49.459.521.716.558.644.87.346.916.46.476.3 한부모9.759.025.06.472.021.725.717.145.60.075.910.1 월평균 가구 소             200만24.634.636.411.530.745.642.142.115.922.631.845.6 200만~400만25.418.951.926.729.039.940.114.742.38.514.872.9 400만~600만24.922.248.727.925.942.035.421.541.99.919.163.6 600만23.226.247.330.126.238.138.323.336.63.828.565.4 모의 교육 수준             고졸 이하29.520.245.024.524.240.550.112.333.26.427.364.5 대졸 이하24.722.749.029.326.240.335.722.040.88.619.766.5 대학원 이상17.927.251.420.934.038.240.416.041.70.830.167.0 주: 1순위로 응답한율이 높은 3개 항목 수치만 제시.

〈표 4-3-6어린이집 하원 방법

어린이집 특별활동비, 행사비, 현장 실습비, 급식·간식비, 차량 운행비, 교재비 등의 명목으로 추가 지출하는 비용은 월평균 7만 3000원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보다 유아반이 추가 비용이 많았고, 어린이집 이 용 기간이 길수록 추가 비용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비수도권보다 수 도권 거주자가, 그리고 소득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에 추가로 내는 비용이 많았다.

어린이집 유형별 추가 비용은 국공립어린이집이 6만 7000원, 민간어 린이집이 9만 7000원, 가정어린이집이 5만 6000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 났다. 가정어린이집은 영아반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현장 실습비나 교재 비 등 추가 비용이 유아반보다 적은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수도권은 국 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모두의 추가 비용이 비수도 권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엄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민간어린이집 이나 가정어린이집 이용자의 추가 비용이 높았으나, 국공립어린이집은 엄마의 교육 수준이 높으면 추가 비용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단위: 원)

구 분 전체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전 체 73,285.6 67,399.1 96,795.0 55,662.8

자녀의 수        

1명 67,902.9 61,786.2 95,146.4 51,573.0 2명 77,669.4 68,032.8 98,812.6 61,583.1 3명 이상 76,924.8 76,684.9 93,379.0 56,278.7

연령별 반        

영아반 65,814.1 63,777.3 86,405.7 55,109.3 유아반 85,935.0 70,131.3 108,324.0 63,017.1

어린이집 이용 기간        

8개월 미만 59,074.7 57,788.9 82,524.0 44,176.6 8~18개월 미만 69,841.2 67,056.8 90,950.1 56,021.1 18~30개월 미만 79,445.6 67,319.8 102,928.2 66,386.4 30개월 이상 86,544.5 73,320.3 108,731.6 72,877.5

거주 지역        

수도권 78,888.3 69,038.9 107,632.4 65,272.8 비수도권 66,096.8 64,008.7 86,710.7 44,826.0

가구 특성        

맞벌이 가구 73,089.9 70,630.4 96,680.9 54,508.3 비맞벌이 가구 74,171.3 59,149.7 95,441.4 59,624.7 한부모 등 65,976.2 43,557.5 143,243.9 31,801.3

월평균 가구 소득        

200만 원 미만 56,173.4 17,949.2 84,465.7 71,804.6 200만~400만 원 미만 70,174.4 67,682.4 90,808.0 50,040.3 400만~600만 원 미만 73,371.0 67,006.0 96,685.4 54,340.2 600만 원 이상 76,008.9 69,373.3 102,699.7 60,279.8

모의 교육 수준        

고졸 이하 65,689.5 66,824.7 79,464.6 46,439.1 대졸 이하 74,055.2 68,093.1 98,716.9 55,268.9 대학원 이상 73,798.0 61,367.8 101,106.2 63,954.7

〈표 4-3-7〉 매월 추가 보육료 지출액

3. 어린이집 특별활동 프로그램

현재 어린이집에서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물어본 결 과,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전체의 75.7%로 나타났

현재 어린이집에서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물어본 결 과, 특별활동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전체의 75.7%로 나타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