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운영 및 이용실태

Ⅲ.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현황 및 실태

2.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운영 및 이용실태

본 절에서는 최근에 전국단위로 조사된 이미화, 최윤경, 이정원 등(2016)의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와 양미선, 배윤진 등(2015)의 ‘어 린이집‧유치원 맞춤형 돌봄서비스 내실화 방안’의 주요내용을 발췌하였다.

구분

휴일

어린이집 수1) 휴일

보육교사수2) 휴일 이용

아동수(현원)3) 전체 정원 대비 휴일 이용 아동 현원 비율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휴일 계 269 294 305 209 239 210 489 477 470 2.4 2.2 2.2

국공립 117 120 125 42 44 30 69 39 50 0.7 0.4 0.5

사회복지법인 43 45 46 50 54 51 136 97 98 3.0 2.2 2.2 법인‧단체 등 15 16 16 32 27 29 91 81 68 6.8 5.8 4.9

민간 59 66 71 59 70 71 124 175 177 4.0 4.9 4.6

가정 27 37 38 5 7 6 28 27 32 5.7 4.0 4.6

부모협동 - - - - - - - - - - -

직장 8 10 9 21 37 23 41 58 45 5.1 5.6 4.9

전체 대비

휴일 비율 0.6 0.7 0.7 - - - 0.03 0.03 0.03 - -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현황 및 실태 47

가. 전체 어린이집

<표 Ⅲ-2-1>은 어린이집의 평일 및 토요일 운영 시간 및 현황을 나타낸다. 어 린이집의 평일 운영시간을 어린이집의 문 여는 시간과 문 닫는 시간으로 정의 했을 때,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의 어린이집 조사대상 전체 평균은 문여는 시각 오전 7시 39분, 문 닫는 시각 오후 7시 34분경으로 나타나, 운영시간은 하루 평 균 11시간 55분으로 2012년과 유사하였다(이미화 외, 2016: 111). 설립유형별로는 국공립 및 직장 어린이집 운영시간이 각각 평균 12시간 34분, 12시간 27분으로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일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집 비율은 2009년 84.4%, 2012년 57.8%, 2015년 30.3%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주5일제 근무의 전사회적 확산 과 정착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설립유형별로는 국공립 어린이집이 가장 높 았고(59.7%), 법인, 민간, 가정, 직장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이미화 외, 2016:

112).

또한 토요일보육의 경우 규모가 클수록 운영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어린이집 이용 아동이 많을수록 그 수요가 많음을 짐작케 하며 토요일 보육을 운영하는 1,240개 어린이집의 툐요일보육 평균 운영일수는 월 3.51회로 이는 2012년 월 3.44회에 비해 조금 증가하였다(이미화 외, 2016: 112).

〈표 Ⅲ-2-1〉평일 및 토요일 운영 시간 및 현황

단위: 시간/분, (개소), %, 일

구분

평일 토요일

문 여는

시각 문 닫는

시각 평일

운영시간 (사례수) 운영비율 (사례수)

운영시 월평균 운영 횟수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사례수)

전체 7시 39분 19시 34분 11시간 55분 (4,046) 30.3 (4,046) 3.51 (1,240)

설립유형      

국공립 7시 33분 20시 7분 12시간 34분 ( 506) 59.7 ( 506) 3.49 ( 294) 사회복지법인 7시 34분 19시 31분 11시간 57분 ( 377) 44.0 ( 377) 3.72 ( 169) 법인‧단체 7시 39분 19시 26분 11시간 47분 ( 283) 41.2 ( 283) 3.59 ( 120) 민간 7시 41분 19시 26분 11시간 45분 (1,134) 31.3 (1,134) 3.53 ( 360) 가정 7시 42분 19시 26분 11시간 44분 (1,480) 16.8 (1,480) 3.33 ( 259) 직장 7시 34분 20시 1분 12시간 27분 ( 266) 13.6 ( 266) 3.57 ( 38) F 9.7*** 37.4*** 34.8*** 425.4(5)***  3.7**   

(표 Ⅲ-2-1 계속)

자료: 이미화 외(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 구소. pp. 112-113.의 내용 일부 재구성; 유희정‧이미화‧민현주 외(2009). 2009년 전국보 육실태조사: 보육시설조사 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p.96.

** p < .01, *** p < .001

<표 Ⅲ-2-2>는 어린이집의 토요일 보육참여 교직원 실태를 나타낸다. 토요일 보육을 실시하는 어린이집의 경우 보육참여 보육교직원 수는 평균 1.39명의 보 육교사와 0.32명의 기타 보육교직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미화 외, 2016: 113-114). 토요일 근무 보육교사의 경우 설립유형별로는 직장과 사회복지 법인 어린이집의 경우 각각 1.89명, 1.72명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약간 많았고, 지역규모별로는 읍‧면지역과 중소도시의 경우 각각 평균 1.52명, 1.42명으로 대 도시보다 약간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규모별로는 규 모가 80명 이상인 경우 토요일 근무 교사수가 그 이하 규모에 비해 많은 것으 로 나타났고, 기타 보육교직원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보육교 사가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교사가 아닌 원장이 담당하는 경우가 반영된 결과 로 보인다(이미화 외, 2016: 114).

구분

평일 토요일

문 여는

시각 문 닫는

시각 평일

운영시간 (사례수) 운영비율 (사례수)

운영시 월평균 운영 횟수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사례수)

지역규모      

대도시 7시 36분 19시 41분 12시간 05분 (1,464) 33.6 (1,464) 3.56 ( 491) 중소도시 7시 41분 19시 33분 11시간 51분 (1,631) 26.1 (1,631) 3.39 ( 422) 읍‧면 7시 40분 19시 25분 11시간 44분 ( 951) 32.0 ( 951) 3.61 ( 327) F 11.4*** 15.5*** 17.5*** 22.1(2)***  4.7**   

규모      

20명 이하 7시 42분 19시 26분 11시간 44분 (1,520) 17.1 (1,520) 3.36 ( 269) 21~39명 7시 43분 19시 24분 11시간 41분 ( 625) 28.5 ( 625) 3.51 ( 183) 40~79명 7시 36분 19시 41분 12시간 05분 ( 992) 36.7 ( 992) 3.45 ( 364) 80명 이상 7시 34분 19시 47분 12시간 13분 ( 909) 46.7 ( 909) 3.66 ( 424) F 15.5*** 24.3*** 29.3*** 261.4(3)*** 5.5***

2012년 조사 7시 43분 19시 39분 11시간 56분 (4,000) 57.8 (3,985) 3.44 (2,349)

2009년 조사 84.4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현황 및 실태 49

〈표 Ⅲ-2-2〉토요일 보육참여 교직원 실태

단위: %, 명(개소)

출처: 이미화 외(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 연구소. p. 114.

* p < .05, ** p < .01, *** p < .001

<표 Ⅲ-2-3>은 토요일 보육 운영 어린이집 및 이용 영유아 비율을 나타낸다.

토요일 보육 서비스를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조사 어린이집의 15.9%였다. 설립유 형별로는 국공립과 법인 어린이집의 비율이 2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 대적으로 토요일에 보육을 하는 어린이집의 비율이 높았다. 토요보육 운영 어린 이집 비율은 2012년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36.8%→15.9%), 서비스를 이용하는 영유아 비율도 2012년 4.5%에서 1.9%로 감소하였다(이미화 외, 2016: 257).

토요일 운영을 하고 있는 시설은 약 30.3%로 나타나나(표 Ⅲ-2-1 참조) 여기 서는 실제 토요보육을 이용하는 아동이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로 토요일 운영을 하여도 이용 영유아가 없는 경우가 존재함을 짐작케 하는 결과

구분

보육교사 기타 보육교직원

없음 1명 2명 3명 계(수)

이상 평균 없음 1명 2명 3명

이상 평균

전체 3.2 75.5 15.4 6.0 1.39 74.1 23.4 1.8 0.7 0.32 100.0(1,263)

설립유형      

국공립 1.1 82.5 13.8 2.7 1.26 68.6 29.6 0.9 0.9 0.37 100.0( 303) 사회복지법인 2.1 56.5 33.0 8.5 1.72 66.3 28.4 4.4 0.9 0.41 100.0( 172) 법인‧단체 0.4 78.0 13.8 7.9 1.47 72.9 23.1 3.6 0.3 0.33 100.0( 122) 민간 3.9 76.0 13.5 6.7 1.33 78.9 19.4 1.2 0.4 0.23 100.0( 363) 가정 7.2 80.1 7.3 5.4 1.36 83.6 15.3 - 1.1 0.26 100.0( 265) 직장 - 52.1 33.1 14.8 1.89 46.9 44.0 9.1 - 0.62 100.0( 38)

x

2(df)/F 103.7(15)*** 1.9 60.6(15)*** 3.0*  

지역규모      

대도시 2.4 78.9 13.6 5.1 1.29 77.2 21.8 0.5 0.6 0.26 100.0( 499) 중소도시 3.7 74.4 15.8 6.1 1.43 71.8 25.0 2.1 1.0 0.37 100.0( 431) 읍‧면 3.7 71.2 17.8 7.3 1.52 72.1 23.9 3.5 0.6 0.34 100.0( 333)

x

2(df)/F 6.9(6) 1.5 12.8(6)* 2.2  

규모      

20명 이하 7.1 79.3 8.0 5.7 1.36 82.1 16.4 0.5 1.1 0.28 100.0( 276) 21~39명 2.1 80.5 9.9 7.5 1.34 76.2 22.2 1.6 - 0.25 100.0( 184) 40~79명 1.7 79.2 14.8 4.3 1.37 79.7 19.2 0.8 0.4 0.24 100.0( 371) 80명 이상 2.5 67.7 22.8 7.0 1.46 63.3 32.1 3.5 1.1 0.44 100.0( 432)

x

2(df)/F 50.8(9)*** 0.3 47.9(9)*** 5.2**  

2012년 조사 4.4 64.9 21.7 9.0 1.47 71.7 25.6 2.2 0.5 0.32 100.0(2,353)

라 할 수 있다(이미화 외, 2016: 257-258).

〈표 Ⅲ-2-3〉토요보육 이용 영유아 재원 시설 및 영유아 비율

단위: %(개소), %(명)

출처: 이미화 외(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 구소. p. 258.

나. 시간연장어린이집

<표 Ⅲ-2-4>는 전국보육실태 조사자료에서 나타난 시간연장어린이집 및 이용 영유아 비율을 나타낸다. 조사대상 중 시간연장 이용 영아가 있는 어린이집, 유 아가 있는 어린이집, 영유아가 모두 있는 어린이집은 각각 18.4%, 12.9%, 21.5%

였다. 설립유형별로는 국공립과 직장이 30% 내외의 높은 시간연장 서비스 비율 을 보였다.

조사대상 영유아수 대비 시간연장보육 영유아수 비율을 보면, 영아는 3.0%, 유아는 1.3%로 그 크기는 미미하였다. 영아의 경우 가정/직장 어린이집의 시간 연장보육비율이 높았으며, 유아의 경우에는 국공립/직장 어린이집에서 시간연장 보육 비율이 민간이나 가정보다 높았다.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야근 등 경제활동 으로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이용률이 영아와 유아 모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구분 어린이집 기관 비율 영유아 비율

영아 유아 영유아 (수) 영아 유아 (수)

전체 12.9 10.5 15.9 (4,046) 1.2 0.7 (172,307)

설립유형      

국공립 21.2 24.8 29.7 ( 506) 1.0 1.2 ( 32,258) 사회복지법인 21.4 21.1 25.3 ( 377) 1.2 1.2 ( 26,436) 법인‧단체 17.2 18.8 22.3 ( 283) 0.8 1.5 ( 16,162) 민간 13.7 12.3 17.5 (1,134) 0.9 0.9 ( 58,230) 가정 7.3 0.6 7.4 (1,480) 1.5 0.1 ( 23,004) 직장 9.0 6.8 10.0 ( 266) 1.9 0.6 ( 16,217)

지역규모      

대도시 13.1 11.0 16.1 (1,464) 1.2 0.6 ( 66,367) 중소도시 11.1 8.5 14.3 (1,631) 1.4 0.6 ( 59,267) 읍․면 15.8 13.0 18.3 ( 951) 1.1 0.8 ( 46,673)

규모      

20명 이하 7.4 0.6 7.5 (1,520) 1.7 0.1 ( 23,591) 21~39명 11.5 6.4 13.6 ( 625) 1.3 0.7 ( 16,133) 40~79명 14.1 14.7 18.7 ( 992) 0.9 1.2 ( 47,083) 80명 이상 22.0 25.3 28.6 ( 909) 0.8 1.1 ( 85,500) 2012년 조사 30.9 20.3 36.8 (4,000) 2.4(4,181) 2.1(3,713) (175,873)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현황 및 실태 51 2012년 조사 21.0 13.5 24.6 (4,000) 2.1 1.7 (175,873)

구분 월급여 지원

(표 Ⅲ-2-5 계속)

출처: 양미선‧배윤진 외(2015). 어린이집‧유치원 맞춤형 돌봄서비스 내실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p. 74.

<표 Ⅲ-2-6>에 의하면 주간 보육교사가 연장근무로 시간연장보육을 담당하는 경우, 주간 보육교사 중 1명이 전담하여 근무하는 경우가 76.7%로 다수이고, 주 간 보육교사가 순환근무하는 경우는 23.3%이었다. 기관유형별로 민간개인과 가 정,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은 주간 보육교사 중 1명이 전담하여 근무하는 경우 가 많았다. 지역규모별로는 중소도시에서 전담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다(양미선‧

배윤진 외, 2015: 75).

〈표 Ⅲ-2-6〉시간연장보육시 주간 보육교사 연장 근무형태

단위: %(개소)

출처: 양미선‧배윤진 외(2015). 어린이집‧유치원 맞춤형 돌봄서비스 내실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p. 75.

다. 24시간 어린이집

<표 Ⅲ-2-7>은 야간 및 24시간 보육서비스를 운영하는 어린이집 현황을 나타 구분 주간보육교사 중 전담근무 주간보육교사 순환근무 계(수) χ2(df)

전체 76.7 23.3 100.0(202)

설립유형

국공립 31.6 68.4 100.0( 19)

사회복지법인 62.5 37.5 100.0( 8)

법인‧단체 37.5 62.5 100.0( 8)

민간개인 73.8 26.2 100.0( 61)

가정 91.4 8.6 100.0(105)

직장 - 100.0 100.0( 1)

지역규모

대도시 71.4 28.6 100.0( 77)

중소도시 82.2 17.8 100.0( 73) 2.4(2)

읍․면 76.9 23.1 100.0( 552)

구분 월급여 지원

시간연장반 교사 근무수당 지원

시간연장반 교사 주간보육교사

초과근무 단시간

보육교사 (수)

민간개인 1.2 0.5 1.2 0.1 184

가정 0.8 0.5 1.0 0.1 241

직장 1.5 0.1 1.0 - 12

지역규모

대도시 1.1 0.4 1.1 0.1 282

중소도시 1.0 0.4 1.0 0.1 221

읍․면 0.9 0.7 1.3 0.1 118

어린이집 이용시간 유형별 현황 및 실태 53

낸다. 표에 의하면 야간 및 24시간 어린어집은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 집의 0.4% 수준이었다. 설립유형별로는 국공립의 운영비율이 가장 높았고(0.8%), 민간 어린이집이 가장 낮았다(0.2%). 야간 및 24시간보육 서비스 운영 어린이집 비율은 2012년 대비 감소하였으나(10.%→0.4%) 서비스 이용하는 영유아 비율은 0.1% 수준으로 2012년 조사와 같았으며, 조사대상 어린이집 중 직장 어린이집을 제외하고는 모두 영아만 이용하고 있었다.

〈표 Ⅲ-2-7〉야간·24시간보육 이용 영유아가 있는 어린이집 및 이용 영유아 비율 단위: %(개소), %(명)

자료: 이미화 외(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 구소. p. 255.

라. 휴일 어린이집

<표 Ⅲ-2-8>은 휴일보육 서비스를 운영하는 어린이집 현황을 나타낸다. 표에 의하면 휴일보육 어린이집은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의 3.2% 수준이 었다. 설립유형별로는 직장 및 국공립의 운영비율이 각각 5.2%, 4.3%로 높았으 며, 가정 어린이집이 2.3%로 가장 낮았다.

구분 어린이집 기관 비율 영유아 비율

영아 유아 영유아 (수) 영아 유아 (수)

전체 0.4 0.2 0.4 (4,046) 0.1 - (172,307)

설립유형      

국공립 0.8 0.8 0.8 ( 506) - - ( 32,258) 사회복지법인 0.7 0.3 0.7 ( 377) 0.1 - ( 26,436)

법인‧단체 - - - ( 283) - - ( 16,162)

민간 - 0.2 0.2 (1,134) - - ( 58,230)

가정 0.5 0.1 0.5 (1,480) 0.2 - ( 23,004) 직장 0.3 0.3 0.3 ( 266) 0.1 0.1 ( 16,217)

지역규모      

대도시 0.5 0.4 0.5 (1,464) 0.1 - ( 66,367) 중소도시 0.5 0.2 0.5 (1,631) 0.1 - ( 59,267) 읍․면 - 0.1 0.1 ( 951) - - ( 46,673)

규모      

20명 이하 0.5 0.1 0.5 (1,520) 0.1 - ( 23,591)

21~39명 - - - ( 625) - - ( 16,133)

40~79명 0.3 0.3 0.4 ( 992) - - ( 47,083) 80명 이상 0.5 0.6 0.6 ( 909) - - ( 85,500) 2012년 조사 0.8 0.7 1.0 (4,000) 0.1 0.1 (175,873)

휴일보육 서비스 운영 어린이집 비율은 2012년 대비 증가하였으며(2.5%→

3.2%), 서비스 이용하는 영유아 비율은 0.6% 수준으로 2012년 조사(0.4%)보다 다소 증가하였다. 특히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휴일보육 이용 영유아 비율일 1.8%

로 평균 이용률보다 훨씬 상회하는 비율을 보였다.

〈표 Ⅲ-2-8〉휴일보육 이용 영유아가 있는 어린이집 및 이용 영유아 비율 단위: %(개소), %(명)

자료: 이미화 외(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 구소. p. 256.

자료: 이미화 외(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 구소. p.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