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유치원과 어린이집 시설 환경 및 안전․건강

3. 안전 및 건강

가. 안전 점검 및 교육

1) 유치원

유치원이 행하고 있는 안전점검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99%가 넘는 모든 유치 원이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특히 문과 창 문의 안전상태 점검 비율이 가장 높았다.

〈표 Ⅲ-3-1〉유치원 안전점검 현황

단위: % 구분(n=524) 실시

비율

점검 횟수 점검 담당자

1-2회연 분기 1회 매월

1회 매주

1회 매일 교사 원장 그외 직원 기관 보호벽 및 주변 관리 99.2 5.4 7.5 51.9 15.4 19.8 40.3 15.1 44.6 문과 창문 안전상태 99.4 1.2 1.7 28.6 15.0 53.6 79.4 3.2 17.4 화장실, 계단, 교실 바닥 99.2 0.8 0.2 22.3 13.1 63.7 80.9 2.3 16.8 놀잇감이나 부품 안전 및 파손 99.2 0.8 0.2 17.7 19.2 62.1 90.0 1.3 8.7 전선 및 화기 점검 99.2 1.9 4.0 44.2 14.8 35.0 39.5 9.7 50.8 가스밸브, 중간밸브 잠금 확인 98.7 1.7 2.1 21.1 4.8 70.2 37.1 4.6 58.3 안전벨트 등 차량안전장비 78.1 1.0 1.5 14.7 7.8 75.1 46.3 3.9 49.8 놀이기구 고정 여부 점검 95.0 2.6 1.6 31.9 20.9 43.0 59.3 8.4 32.3 실내 공기 질 측정 91.0 64.6 17.2 9.2 2.7 6.3 24.0 13.2 62.8 : 원장 대상 조사결과임.

구분(n=524) 교육 받음

연간 횟수

형태

외부 강사 전달연수 자체교육 상업업체 외부 교육

교통안전교육 89.7 2.8 48.2 38.1 22.7 4.7 26.1

약물오남용교육 64.9 2.4 38.8 50.4 19.7 4.8 13.4

재난대비교육 79.4 2.7 37.8 51.1 23.7 7.5 14.5

성폭력 예방교육 94.8 2.2 70.7 30.9 15.7 8.3 9.6

학대 예방교육 81.1 1.9 56.2 37.6 17.9 7.6 12.9

실종․유괴 예방 교육 76.1 2.3 52.0 42.4 18.2 6.8 12.4 실내 공기 질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91%정도로 나타났다. 점검 항목에 따라 횟수는 차이가 있는데, 기관보호벽 및 주변관리는 매월 1회, 화장실/계단/

실내보육실 등은 매일, 차량내 안전장비 상태확인은 매일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 고 실내공기 질 측정은 64.6%가 연 1-2회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안전 점 검의 담당자는 교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실내공기질이나 가스 잠금, 전선 및 화기 점검은 교사외 직원이 전담하는 비율이 높았다(<표 Ⅲ-3-1> 참조).

교사들이 안전 관련 교육을 받고 있는 실태를 보면, 가장 많은 유치원 교사가 받고 있는 교육주제는 성폭력예방교육(94.8%)이었고 다음으로는 교통안전교육 (89.7%), 학대예방교육(81.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교육은 주제별로 연간 2-3회 정도 받고 있었고, 성폭력예방이나 학대예방교육은 외부 전문 강사를 초청하여 유치원 내에서 교육을 받는 비율이 높은 반면 재난재비교육은 상대적 으로 교사의 전달연수나 원장이 자체적으로 교육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안전교육 중 가장 교육 횟수가 높은 주제는 교통안전교육이었다(연 2.8회).

〈표 Ⅲ-3-2〉유치원 교사의 안전교육 이수 현황

단위: %, 회

: - 원장 대상 조사결과임.

- 복수응답임.

2) 어린이집

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안전점검 항목을 살펴보면, 실내공기질 측정이 61.3%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여 전체의 40% 정도가 공기질 측정을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자주 점검을 하는 항목으로는 가스밸브 잠금장치 확인, 차량 안전장비 상태확인 등 매일 하는 항목을 들 수 있고 기관보호벽 및 주변 관리나 전선 및 화기 점검은 비교적 매일 점검 비율이 낮은 편이었다. 특히 실내공기질 측정은 70% 가까이가 연 1-2회 하고 16%는 거의 매일 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항목 간, 어린이집 간에도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분(n=631) 실시

구분 운행함 운행하지 않음 계(사례수) χ²(df)

전체 72.3 27.7 100.0(524)

지역 규모

10.1(2)**

대도시 71.7 28.3 100.0(138)

중소도시 66.5 33.5 100.0(227)

읍면 81.1 18.9 100.0(159)

설립 유형

172.4(1)***

공립 46.8 53.2 100.0(263)

사립 98.1 1.9 100.0(261)

기관 규모

90.4(2)***

소규모 51.6 48.4 100.0(159)

중규모 67.0 33.0 100.0(191)

대규모 97.1 2.9 100.0(174)

3) 비교

안전 점검 현황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 실시비율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 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실내 공기 질 측정’ 비율에서 30% 정도의 차이가 있어 두 기관 간 가장 크게 다른 점이라 보겠다. 유치원이 1.5배 이상 실내 공기질 측정을 하는 곳이 많다고 하겠다. 또 한 가지 눈에 띄는 차이는 점검 담당자에 있어 어린이집은 원장의 비율이 높은데 유치원은 별도 직원이 담당을 맡고 있 다는 점이다. 어린이집에 인력 구성에서 그만큼 충분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교사가 받은 안전교육이라는 점에서는 평균적으로 더 많은 어린이집의 교사가 안전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교육내용에 대한 이수 횟수도 어린이 집이 대체로 높았다. 교육 형태에 있어서는 어린이집은 원장의 자체교육 비율이 어린이집보다 대체로 높고 유치원은 외부 강사 초청을 통한 교육비율이 대부분 높은 것으로 나와 교육의 방식과 질에 대한 구체적 검토도 필요해 보인다.

나. 차량 운행 실태 및 안전

1) 유치원

유치원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볼 때 차량을 운행하는 비율은 72.3%로 차량을 운행하는 유치원이 그렇지 않은 유치원보다 2.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3-5〉유치원 등·하원 차량운행 여부

단위: %, (개원)

**p< .01, ***p< .001 : 원장 대상 조사결과임.

구분 1대 2대 3대 4대

구분 원장 교사 운전기사 기타 계(사례수)

전체 42.5 34.9 18.4 4.2 100.0(717)

지역 규모

31.2(6)

대도시 41.5 33.2 23.3 2.1 100.0(193)

중소도시 38.4 40.6 18.7 2.3 100.0(310)

읍면 49.5 28.0 13.6 8.9 100.0(214)

설립 유형

45.9(3)

공립 36.0 32.3 18.3 13.4 100.0(164)

사립 44.5 35.6 18.4 1.4 100.0(553)

기관 규모

40.0(6)

소규모 44.5 21.8 20.0 13.6 100.0(110)

중규모 47.7 32.0 16.8 3.6 100.0(197)

대규모 39.5 39.8 18.8 2.0 100.0(410)

: 원장 대상 조사결과임.

구분 교사 전담인력 기타 동승안함

등원 하원 등원 하원 등원 하원 등원 하원 차량수

전체 71.1 67.3 28.0 29.5 3.2 4.1 0.7 0.8 717 지역 규모

대도시 87.0 84.5 15.0 15.5 0.5 0.5 0.5 0.5 193 중소도시 80.0 74.5 21.6 23.2 3.2 5.2 0.0 0.0 310 읍면 43.9 41.3 49.1 51.2 5.6 5.7 1.9 2.3 214 설립 유형

공립 1.2 1.2 90.9 90.2 5.5 5.5 3.0 3.7 164

사립 91.9 86.8 9.4 11.6 2.5 3.6 0.0 0.0 553 기관 규모

소규모 27.3 27.5 62.7 61.5 6.4 6.4 3.6 4.6 110 중규모 68.5 65.0 30.5 32.0 5.6 6.1 0.0 0.0 197 대규모 84.1 79.0 17.6 19.8 1.2 2.4 0.2 0.2 410 등하원 차량에 운전기사 외에 유아 안전을 위해 동승하고 있는 사람을 물어 보았을 때, 99.3%가 등원시 동승자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나 0.7%는 동승자가 없었다. 동승자로는 등원 기준 교사가 71.1%로 가장 많고 차량보조 전담인력이 28%, 원장 등 기타 인력이 3.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립유형별로는 큰 차이가 있어, 공립유치원에서는 91%가 차량 동승 전담인력이 있어 이들이 동승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은 92%가 교사를 동승인으로 응답 하여 사립유치원 교사의 업무 범위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한편 공립유치원의 경우 동승자가 없다는 응답이 등원시 3.0%, 하원시 3.7%나 되어 초등학교 차량을 공동 이용하면서 차량 동승 성인이 없는 경우가 많은 읍면지역 초등병설유치원 차량의 안전성 정도에 대해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 Ⅲ-3-9〉유치원 등·하원 차량 동승자

단위: %, 대

: 원장 대상 조사결과임.

2) 어린이집

어린이집에서 등하원용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비율은 약 60%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도시 지역은 43.4%만이 차량을 운행하고 있어 가장 낮은 운행 비율을 보였고 이에 비해 읍면지역은 84.2%로 많은 수가 차량운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농어촌의 지역적 환경을 고려한다면 농어촌에서 차량운행 비율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설립유형별로 비교해보면,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의 경우 95.5%가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운행 비율을 보였고 법인 단체 86.8%, 민간 83.6%로 세 유형이 상당히 높은 운행 비율을 보인 반면, 직장어린이집

구분 운행함 운행하지 않음 계(사례수) χ²(df)

구분 소유 지입 전세버스 기타 계(사례수)

전체 83.2 13.9 2.6 0.4 100.0(505)

지역 규모

대도시 77.7 20.0 1.5 0.8 100.0(130)

중소도시 81.2 12.3 5.8 0.7 100.0(138)

읍면 87.3 11.4 1.3 0.0 100.0(237)

설립 유형

국공립 76.9 21.2 1.9 0.0 100.0( 52)

사회복지법인 80.7 17.1 2.1 0.0 100.0(140)

법인 단체 77.3 19.7 3.0 0.0 100.0( 66)

민간 87.3 9.9 2.8 0.0 100.0(181)

직장 25.0 37.5 25.0 12.5 100.0( 8)

가정 96.6 1.7 0.0 1.7 100.0( 58)

기관 규모

소규모 91.1 6.7 1.3 0.9 100.0(224)

중규모 81.1 15.0 3.9 0.0 100.0(206)

대규모 65.3 32.0 2.7 0.0 100.0( 75)

전체 등하원 차량 505대에 대해, 어린이집이 직접 소유하고 있는 비율은 83.2%로 나타나 상당한 수가 소유차량임을 알 수 있다. 지입차량은 13.9%, 전세 버스는 2.6%에 지나지 않았다. 가정어린이집의 경우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9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민간어린이집(87.3%)였다. 읍면지역일수록 차량을 소유하는 비율이 높고 대도시에서는 지입차량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표 Ⅲ-3-12〉어린이집 등·하원 차량 소유형태

단위: %, (대)

: - 원장 대상 조사결과임.

- 빈도분포가 교차분석에 적합하지 않음.

어린이집의 등하원 차량을 운전하는 담당자를 살펴보면, 원장이 26.5%, 교사가 1.4%, 그리고 전문 운전기사가 68.5%로 나온다. 즉 운전기사가 차량을 담당하는 비율이 70%가 안 되고 원장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특징이 있다. 지역별로는 중소도시에서 특히 원장이 운전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유형별 로는, 국공립어린이집은 원장이 운전하는 경우가 전혀 없고 기사가 담당하는 비율이 98%여서 상당히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가정어린이집의 경우는 원장이 차량을 운전하는 비율이 82.8%에 달해 대부분 원장이 차량 운전을 담당 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가정어린이집의 원장은 교사 겸임인 경우도 많아 운전 까지 맡게 되면 업무 과중이 있을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

구분 교사 전담인력 기타인력 동승안함

3) 비교

전체적으로 볼 때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차량을 운행하는 비율은 높은데, 이것은 어린이집 중 직장이나 가정이 차량 운행을 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사립유치원의 경우 98%이상이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므로, 절반 이상이 가정어린이집이고 국공립 또한 많은 수가 차량을 운행하지 않고 있어 비율에서 차이가 있다. 차량운행 대수에서는 대규모 시설이 많은 유치원에서 2대 이상 다(多) 차량을 운행하는 비율이 높고 운행하는 대부분의 차량은 유치원 이든 어린이집이든 통학차량으로 등록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에서 차량을 직접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훨씬 높았고 유치원은 전세버스 비율이 20% 가까운 점이 특이사항이다.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에서는 큰 차이가 있는데 유치원은 95% 가까이가 전문운전기사가 운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어린이집의 경우는 67%만이 전문 기사가 운전하고 있어 원장의 업무 과부담과 전문 인력 부재로부터 오는 안전에 대한 확보의 미흡에 대해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가정어린이집의 경우 원장이 대부분 운전을 맡고 있어 이 현상이 적절한지, 개선의 여지는 없는지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하겠다.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에서 차량을 직접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훨씬 높았고 유치원은 전세버스 비율이 20% 가까운 점이 특이사항이다.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에서는 큰 차이가 있는데 유치원은 95% 가까이가 전문운전기사가 운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어린이집의 경우는 67%만이 전문 기사가 운전하고 있어 원장의 업무 과부담과 전문 인력 부재로부터 오는 안전에 대한 확보의 미흡에 대해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가정어린이집의 경우 원장이 대부분 운전을 맡고 있어 이 현상이 적절한지, 개선의 여지는 없는지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