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싱가포르 소비재·콘텐츠 시장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 동향

□ 소비재 시장 동향 ◦ 소비재 시장 규모

- 싱가포르 소매유통시장 규모는 최근 3년간 소폭 감소세를 보이다 2018년 전년 대비 2.6% 성장하며 USD 234억 5천 8백만 달성 - 2017년 싱가포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가

많은 특성상, 화장품·고가제품 등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책·신문 시장은 디지털 미디어로 대체되어 대폭 감소함

<싱가포르 소매유통시장 규모>

(단위 : USD 백만)

자료원 : Euromonitor

<싱가포르 주요 소비재 품목별 시장 규모>

(단위 : USD 백만, %)

품목 구분 2016년 2017년

규모 성장률 규모 성장률

패션, 의류 3,470.9 3.2 3,479.5 0.2

전자제품 2,364.5 -11.2 2,299.3 -2.8

가구류 1,966.7 1.0 1,997.5 1.6

화장품 1,274.6 7.4 1,443.8 13.3

시계 등 고가제품 1,205.3 3.9 1,254.4 4.1

의약품 796.7 -0.3 774.9 -2.7

식품, 음료, 담배 741.4 -0.2 771.8 4.1

스포츠 장비, 장난감 504.1 3.8 509.2 1.0

책, 신문 511.1 -10.5 445.6 -12.8

자료원 : 싱가포르 통계청

◦ 오프라인 유통 시장

- The Wealth Report 2019에 따르면, 싱가포르 1인당 국민소득이 6만 달러에 육박하고 17.1만명(인구의 3%)이 백만장자에 해당하는 등 높은 소비력을 가지고 있어 럭셔리 프리미엄 제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함

- 더불어, 매년 인구의 3배가량(2018년 기준 1,850만명)이 싱가포르를 찾는 만큼 관광객 또한 오프라인 소비시장 성장의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온라인 유통 시장

- 온라인 소매유통시장은 2018년 45.2% 성장률을 기록. 2023년까지 현 시장규모보다 두 배 이상 성장하며 온라인 소매거래액 USD 4억 달러 전망

<싱가포르 온라인 소매유통(전자 상거래) 시장 규모>

자료원 : Euromonitor

- CIMB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2017년 전체 소매 매출의 5.3%에서 2022년까지 10.3%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 - Qoo10, LAZADA, Shopee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이 싱가포르에

본사를 설립하면서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는 추세

* 싱가포르는 동남아 주요 온라인 플랫폼들의 거점지역으로 Qoo10이 1위 시장 점유율(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 Shopee(5%), NTUC FairPrice(4.8%), LAZADA(4.1%) 등이 있음

◦ (규제) 싱가포르 소비세(GST) 2021~2025년 내 7% → 9% 인상 예정 - 싱가포르 정부는 향후 경제부양 및 예산 확대를 고려하여 한국의 부가가치세(VAT)에 해당하는 소비세인 GST(Goods and Services Tax)를 현행 7%에서 2021~2025년 사이 9%로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함

◦ (화장품) ① 시장 규모 및 특성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f)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 1,125 1,154 1,177 1,208 1,247 1,296

구 분 2014 2015 2016 2017 2018 CAGR

(‘14-’18)

◦ (화장품) ② 우리기업 진출현황

- 한국 화장품은 한류의 인기로 K-pop, K-drama 등에 등장한 화장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싱가포르의 對한국 화장품 수입 규모가 ’17년 기준 152백만 달러로 ’13년 대비 약 4배 증가

< 對한국 화장품 수입 규모 >

(단위 : USD 백만, %)

2013 2014 2015 2016 2017

對한국 수입액 38.0 43.7 63.4 113.5 152.4

전년대비 수입 증가율 9.1 15.1 45.0 79.0 34.2

수입시장 내 비중(순위) 1.6(13) 1.8(12) 2.7(7) 4.2(7) 4.6(6)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아모레퍼시픽은 2013년 1.8%에서 2018년 3.6%로 시장점유율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함. 설화수, 라네즈, 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 등 다양한 브랜드가 싱가포르에 진출해있음.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는 라네즈로 2018년 기준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에서 1.4%의 시장점유율로 11위를 차지함

- LG생활건강도 후, 필로소피, 더페이스샵, 비욘드, 차앤박(CNP) 등의 브랜드들이 진출해 있으며, 2018년 기준 더페이스샵은 1.3%의 시장점유율로 14위에 오름

- 이 외에도 3CE, 닥터자르트, 댕기머리 등 브랜드들이 진출해있음

<라네즈 매장 전경> <더페이스샵 매장 전경>

자료원 : 각 기업 홈페이지

◦ (가공식품) ① 시장 규모 및 특성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스낵 575.2 604.7 631.0 661.4 688.4

유제품 513.5 533.0 548.1 561.0 573.6

쌀·면류 310.0 313.0 312.9 333.7 346.7

제과류 280.4 293.6 303.9 315.9 329.3

간편조리식품 31.5 32.0 32.2 33.0 33.1

가공식품 시장 2146.6 2225.1 2285.1 2365.8 2434.9

전년대비 시장 증가율 3.7 3.7 2.7 3.5 2.9

◦ (유아용품) ① 시장 규모 및 특성

- 싱가포르 유아용품 시장은 2018년 기준 2천 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2.7% 증가함. 향후 5년간 연평균 3%대로 지속적인 성장 예상됨 - 유아용품 세부품목 중 세면도구가 31%로 가장 큰 비중을 보이며,

그 뒤로 스킨케어(21%), 아기 물티슈(19%), 헤어케어(19%) 및 썬케어 (5%)가 뒤를 이음

< 싱가포르 유아용품 시장 규모 >

(단위 : USD 백만, %)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f)

싱가포르 유아용품 시장 21.8 22.4 22.8 23.3 24.0 24.7

전년대비 시장 증가율 3.3 2.6 2.0 2.3 2.7 3.3

자료원 : Euromonitor

- 싱가포르는 세계대표적인 저출산국 중 하나로 2018년 기준 출산율은 1.14명이며, 유아용품 구매 시 가격보다는 질을 우선으로 더 좋은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이 있음

< 싱가포르 출산율 추이 >

자료원 : 싱가포르 통계청

- 싱가포르 시장은 글로벌 기업 위주의 경쟁구도로 되어 있으며, Johnson & Johnson이 2018년 기준 시장점유율 44.1%로 압도적인 1위이며, 피존이 14.9%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 피부에 무해하고 안전함을 강조한 “천연”, “유기농”, “민감한” 등 단어를 사용한 제품들과 유산균 기반 스킨케어 제품의 전망이 밝음

◦ (영유아 이유식) ① 시장 규모 및 특성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f)

싱가포르 영유아 이유식 시장 152 157 159 160 161 163

□ 콘텐츠 시장 동향 ◦ 콘텐츠 시장 규모

- PWC E&M(Entertainment&Media) 동향보고서에 의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향후 5년간 디지털 콘텐츠 시장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함. 특히, 2018~2023년간중국이연평균7.7% 성장해미국(2.5%)을추월할것으로분석 - 싱가포르는 3.7% 성장할 전망이며, 인도네시아(9.4%), 베트남(7.1%),

필리핀(6.1%) 등 인근국도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2018년 싱가포르 콘텐츠 시장규모는 7.6억 달러에서 2023년 13.7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며, 디지털 소비와 광고수익은 5년 동안 연간 11.7%씩 성장하는 반면 非디지털 수익은 연간 1.8%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콘텐츠 시장 특성

-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전체에서 인터넷 보급률(84%)이 가장 높은 국가로 온라인 콘텐츠의 보급과 소비가 급성장하는 나라임

* 소셜미디어 사용 인구가 79%이며 인터넷 사용인구 50% 이상이 매일 온라인 비디오를 시청하며, 42%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 인터넷에 의존하고 있음

- PWC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이후 기존 신문, 잡지 등 인쇄물 시장 수익 감소보다 이를 대체하는 디지털 신문, 음반, 유로 구독 서비스 수익 상승이 클 것이라고 설명함

<싱가포르 모바일·인터넷 사용 인구>

자료원 : Hootsuite

◦ (게임) ① 시장 규모 및 특성

 우리 기업이 꼭 알아야 하는 싱가포르의 문화

□ 싱가포르의 문화 요소와 주요 사례

◦ 다인종·다문화가 공존, 문화적 진입장벽이 낮은 나라

- 싱가포르는 다인종·다문화 국가로 중국계(74.3%), 말레이계 (13.4%), 인도계(9.1%) 및 기타(3.2%)로 구성됨. 영어와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등 4개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음 - 종교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불교(33.3%), 기독교(18.3%), 무교(17.0%),

이슬람교(14.7%), 도교(10.9%), 힌두교(5.1%) 등 10대 종교가 공존 - 싱가포르는 전체 인구의 약 33%(영주권자 포함할 경우 40%)가

외국인으로 구성될 정도로 외국문화에 대한 개방도가 높고 문화적 진입장벽이 낮음

◦ 안전하고 깨끗한 나라의 근간이 되는 강력한 법·제도 운영

- 싱가포르는 평화·정의·사회·종교의 조화가 어우러진 문화로써 국가의 안전과 질서 보장을 위해 정부가 많은 것을 금지하고 있음 - 특히, 예술과 문화 공연의 경우 사전에 인종·종교·정치 관련

민감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지 정부의 검열과 승인을 받아야만 하며, 성적인 묘사와 관련해서도 검열 기준이 높음

◦ 가격에 민감하고 새로운 것을 선호하며 기다릴 줄 아는 민족 - 싱가포르는 15세기부터 무역도시로써 특화되었으며 중국계가

3/4인 만큼 상술에 능하고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특징 - 새로운 트렌드에 관심이 매우 높으며 신규 매장, 이벤트에 줄을

서는 것을 즐기는 쉽게 목격할 수 있어 글로벌 기업들이 싱가포르를 동남아시아 진출 교두보로 활용하고 있음

◦ 집에서 요리하는 것 보다 간편한 외식이 생활화 된 환경

- 싱가포르인들은 연중 30도를 넘는 더운 날씨와 바쁜 도시 생활 등으로 집에서 요리를 잘 해먹지 않음. 더불어, 현지인 대부분이 거주하는 공공주택(HDB)에서 항상 호커센터(식당)들이 즐비하여 언제든지 외식이 가능한 환경임

□ 싱가포르의 문화적 금기와 규제 ◦ 인종·나이·성별에 대한 질문 금지

- 싱가포르 국민은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인구의 33%가 외국인이므로 비즈니스에서 인종, 나이에 대한 질문은 실례임 - 무슬림 여성의 경우 남성과 악수를 하지 않는 관습이 있으며 돼지고기 관련 언급은 자제하고, 왼손으로 물건을 주거나 악수하는 행위는 삼가야 함 - 싱가포르는 문화 및 경제적으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국민의

의식구조가 서구화 되어있어 여성의 사회 진출이 매우 활발하며, 능력 중심의 사회이므로 외모와 나이로 판단은 금물

◦ 종교 시설 방문 시 주의사항

- 싱가포르는 10대 종교가 공존하는 만큼 다양하고 아름다운 종교건물이 있으며, 일반대중의 입장이 가능하나 기본적인 종교예절을 지키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

- 힌두교 사원 입장 시 신발을 벗고 손과 발을 씻어야 하며, 여성은 손수건 등을 미리 준비하고 종교시설 내에서는 음식물 섭취를 금해야함 ◦ 강력한 벌금제도가 있는 Fine City

- 한국에서는 가볍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것들이 싱가포르에서는 잘못하면 큰 금액의 벌금을 낼 수 있으므로 사전에 주의가 필요함.

- 마약 밀반입은 최고 사형이며, 타인의 와이파이 사용(최대 징역 3년), 침뱉기(SGD 1,000), 비둘기 모이 주는 행위(SGD 500), 대중교통 이용 시 음식물 섭취(SGD 500), 쓰레기 투척(SGD 500) 등이 있음

- 싱가포르는 뇌물수수에 대해서 엄격한 법률이 시행되고 있어 공무원 대상 답례품으로는 간단한 기념품 정도가 바람직함

<싱가포르 벌금 안내 셔츠, 기념품>

자료원 : Splash, mothership

 싱가포르의 문화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 싱가포르 간편조리식품 시장 진출 시 유의사항

- 한국산 소고기 육류 등의 수입이 전면 금지되어 있으므로, 수출 가능 여부 확인을 반드시 선행한 후 시장 진입 필요

- 싱가포르 내 아시아 식품 수입 및 판매社 담당자에 따르면, 한국 업체들은 유통기한이 긴 레토르트 식품 수출을 선호하지만, 최근 신선한 제품을 찾는 싱가포르 간편식 트렌드 때문인지 인기가 없는 편이라고 밝힘. 더불어, 소량으로 유통을 하더라도 한국에서

- 싱가포르 내 아시아 식품 수입 및 판매社 담당자에 따르면, 한국 업체들은 유통기한이 긴 레토르트 식품 수출을 선호하지만, 최근 신선한 제품을 찾는 싱가포르 간편식 트렌드 때문인지 인기가 없는 편이라고 밝힘. 더불어, 소량으로 유통을 하더라도 한국에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