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조사대상 및 표본조사 방법

우리나라의 가족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기관수는 2007년 말 기준 으로 669개소이다. 이들 기관들은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는 시설이 며 순수민간전달체계는 제외하였다.

〈표 4-1〉 가족복지서비스 기관 현황(2007말 기준): 모집단

자료: 여성부, 『2007년 가정폭력․성폭력 보호시설 및 상담소 운영실적 보고』, 2008.

보건복지가족부, 『2007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 2008b.

보건복지가족부『2007년도 전국 사회복지관 현황보고서』, 2008e.

전체 조사 대상 기관 669개 중 조사 대상기관으로 총 406개를 표본추출 하였다. 먼저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가형 종합사회복지관의 경우 지역 인구를 고려한 계통표본추출방법으로 156개 표본 집단을 선정하였 다. 다음으로 보건복지가족부의 공식적인 전달체계인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전 시설이 지원받고 있으므로 78개소 전체를 조사하였다. 여성부의 전달 체계인 가정폭력상담소, 성폭력상담소, 통합상담소의 경우 순수민간전달체 계는 제외하고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는 시설만을 조사 대상에 포함 시켰으며 각각 82개소, 80개소, 10개소이다(표 4-2 참조).

계 종합사회

계 종합사회

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30개소), 건강가정지원센터(20개소)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법인과 종교법인, 학교법인 등은 사회복지관 외에 상담소, 건강가정지원센터 등도 운영하고 있다. 이는 시설유형의 구분 없 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인이다. 또한 사회재정투자의 차등지원에 대한 근거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종합사회복지관내에서 가정폭력상담 소가 운영될 경우 시설비 및 임대료 등에 대한 지원은 불필요한 반면, 상 담소만 운영하는 기관은 이에 대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아래의 표와 같이 종합사회복지관 중 공급기관을 중복 운영하는 경우는 19.2%에 달한다.

〈표 4-4〉 종합사회복지관의 모기관에서 운영하는 다른 시설

동시 운영 공급기관 %(수) 모기관

종합사회복지관+상담소+피해자보호시설 3.8(3) 사회복지법인(1), 종교법인(2)

종합사회복지관+상담소 2.5(2) 종교법인(2)

종합사회복지관+피해자보호시설 5.1(4) 사회복지법인(1), 종교법인(3) 종합사회복지관+건강가정지원센터 7.6(6) 사회복지법인(4), 종교법인(1),

학교법인(1)

주: 각각에 대한 %는 종합사회복지관 78개소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임.

상담방법은 면접 상담이 가장 많고, 전화 상담, 사이버 상담 순으로 나 타난다. 최근 보건복지콜센터인 129전화가 서민들의 지원요청 폭주로 항 상 통화중이라는 불만이 제기되는데, 콜센터의 이용자들은 주로 긴급지원 등 공공부문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따라서 면접 상담보다는 전화 상담 이나 사이버 상담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족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은 이용자들이 느끼기에 문제가 심각하거나 복합적이고 특수한 문제들이 많아서 면접상담이 더 선호된다. 상담유형으로는 개별 상 담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족 상담, 집단 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의 주된 문제 유형으로는 전통적인 가족문제인 배우자 부정, 자

계 경제적

계 상담 처치 연계

4. 도시규모별15) 기관 빈도분석

25개소(35.2%)이며, 거대도시 소재 가정폭력상담소는 20개소(28.2%)이다.

통합상담소의 경우 전체 20개소 중 거대도사와 중도시 소재 통합상담소는 각각 6개소(30.0%)이며, 대도시 소재 통합상담소는 5개소(25.0%)이다. 즉 상담소의 경우 지역에 따른 편차가 두드러지지 않고, 오히려 거대도시와 대도시, 중소도시에 고른 분포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