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식품안전 관련 소셜빅데이터 기초분석

1. 자료수집 개요

가. 조사배경 및 목적

최근 식품과 관련한 각종 전염성 질환이 급증함에 따라 식품안전에 대 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스마트미디어 보급 및 IT의 일상화 로 온라인, 소셜미디어 상에서 식품안전의 필요성,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빅데이터 수집, 활용 및 분석을 통한 온라인상의 식 품안전 관련 인식 및 동향 파악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과학 적 의사 결정 및 대응체계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림 4-1〕 분석 접근방법

나. 조사설계

본 연구의 조사방법으로는 SKT Smart Insight 플랫폼을 이용한 Social Media Research(Online Buzz 분석)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은 식품 안전, 식품 위험, 음식 안전, 먹거리 안전, 먹거리 위험, 음식 위

험, 위험 식품, 먹거리 사고, 먹거리 안전 사고, 식품 사고, 식품 위생, 불 량식품, 부정식품 등 ‘식품 안전’ 관련 키워드였으며, 분석데이터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로 총 4년 6개월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뉴스/미디어 등 257개 언론 매체와 네이버, 다음, 네이트, 티스토리 등 4개의 블로그, 카페사이트로는 네이버와 다음 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 게시판 및 주요 커뮤니티는 19개로 MLBPARK_BULLPAN, youtube, 네이버 지식인, 네이트톡, 네이트판, 다음 TIP, 다음 미즈넷_생활속 에피소드, 다음 아고라, 디스이즈게임, 디시인사이드_갤러리, 루리웹, 뷰티쁠, 뷰티톡, 뽐뿌, 세티즌, 시코_미니 기기게시판, 오늘의 유머, 일간베스트, 클리앙 등이었으며, SNS는 1개 로 트위터에서 수집하였다.

2. 조사분석 결과 가. Buzz 분석

1) Buzz 트렌드 분석

- 식품안전에 대한 담론은 계절 및 시기에 관계없이 꾸준하게 언급되고 있다.

- 2012년 12월, 정부가 불량식품을 ‘4대 사회악’ 중 하나로 규정지어 트 위터를 중심으로 논란이 발생하였다.

〔그림 4-2〕 월별 Buzz 트렌드

주: 트위터 문서의 수집은 2011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전체 Buzz Trend에 Bias를 줄 수 있어 SNS 데이터를 제외한 Trend를 추가하였음

2) 본문/댓글 Buzz 분석

- 본문 대비 댓글의 비율이 약 70%로 댓글을 통한 식품안전에 대한 활발한 의견 교류가 나타났다.

∙ 문서 1건 당 평균 2.25개의 댓글이 발생하였다.

〔그림 4-3〕 본문/댓글 비율

3) 채널별 Buzz 분석

- 식품안전에 대한 담론은 블로그와 카페 채널에서 가장 활발하게 발생하 여(채널 점유율: 82%) 식품 안전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적극적으로 생 성하고 있다.

- 카페>블로그>뉴스>SNS>게시판의 순서대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그림 4-4〕 채널 점유율

나. 계정 분석

1) 계정 및 트위터 유형 분석(전체)

- SNS의 순계정1) 비율은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고, 커뮤니티 채널인 블로 그와 카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트위터 유형의 경우 직접 의견을 남기는 독백형/대화형 게시물의 비중 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대신 정보를 단순 전달하는 정보링크형과 다른 사람의 게시물을 retwit(RT)하는 전파형 게시물의 점유율이 크게 증가 하였다.

1) 순계정 = 전체계정-중복계정

〔그림 4-5〕 계정 및 SNS 유형 분석

주: *순계정=전체계정-중복계정

2) 계정 및 트위터 유형 분석(2011)

- 뉴스와 블로그의 순계정 비율은 50% 미만이나 트위터에서 식품안전을 언급한 계정은 전체 문서 대비 77%로 전체 채널 중 순계정 비율이 가장 높았다.

- 트위터 유형은 전파형(RT)이 가장 많았으나, 직접 멘션을 남기는 독백 형 및 대화형과 컨텐츠 링크가 멘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링크형도 20% 이상으로 모든 트윗의 유형이 골고루 나타났다.

〔그림 4-6〕 계정 및 SNS 유형 분석(2011)

주: 순계정=전체계정-중복계정

3) 계정 및 트위터 유형 분석(2012)

- 뉴스와 SNS에서 발생한 Buzz의 채널 점유율은 7%에 불과하지만 순계 정 비율은 68%로 가장 높았다.

- 트위터 유형 중 전파형의 비중이 58%에 달해 자신의 의견을 직접 남기기보다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리트윗하는 형식의 Buzz가 주로 생성되었다.

〔그림 4-7〕 계정 및 SNS 유형 분석(2012)

주: 순계정=전체계정-중복계정

4) 계정 및 트위터 유형 분석(2013)

- 전 채널의 순계정 비율이 50% 미만으로 5개년도 중 가장 낮았다.

- 전파형(RT)이 약 50%를 차지했으며, 컨텐츠 링크를 @mention내에 포함한 정보링크형이 약 30%를 차지하였다.

〔그림 4-8〕 계정 및 SNS 유형 분석(2013)

주: 순계정=전체계정-중복계정

5) 계정 및 트위터 유형 분석(2014)

- 전 채널의 순계정 비율은 50% 수준으로 1인 당 평균 2.2개의 식품안전 관련 의견을 작성하였다.

- 2014년에는 전파형(RT) 중심으로 담론이 형성되었으며, @mention으 로 의견을 나누는 대화형은 2% 미만으로 트위터 상에서의 의견 교류는 적었다.

〔그림 4-9〕 계정 및 SNS 유형 분석(2014)

주: 순계정=전체계정-중복계정

6) 계정 및 트위터 유형 분석(2015)

- 다른 해에 비해 블로그와 카페 채널에서 식품안전에 관심을 가지고 담 론을 나누는 순계정이 늘어났다.

∙ 블로그: 69%, 카페: 67%

- 트위터의 경우 전파형과 정보링크형의 비율이 84%로 식품안전과 관련 된 기사 혹은 컨텐츠의 확산이 주로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그림 손 숙 자〕 계정 및 SNS 유형 분석(2015)

주: 순계정=전체계정-중복계정

다. 키워드 분석

1) 식품

- 과일, 야채, 고기, 생선과 같은 신선식품의 언급이 지속적으로 상위권에 랭크되며, 영양성분과 유통과정에서의 신선도 유지에 주로 관심을 나타 냈다.

2) 위해요소

- 2012년 당선된 박근혜 대통령이 ‘불량식품 척결’을 공약으로 선언하면 서부터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 2011년 2월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능’ 키워드 빈출, 특히 2013년 오염수 유출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안감이 확산되었다(관련기 사: http://news.nate.com/view/20130826n01766).

- 성인병을 유발하는 ‘콜레스테롤’ 성분에 대한 꾸준한 관심 및 우려가 확 인되었다.

3) 질병(식품안전)

- 고혈압, 비만, 당뇨와 같은 성인병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며 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 식중독과 설사병과 같이 위생불량, 불량식품 섭취로 인한 질병 또한 꾸 준한 언급량을 유지하였다.

4) 대상별

- ‘엄마’들의 ‘아이’ 건강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빈도를 차지하였다.

- 식품, 질병 분야의 전문가인 ‘의사’, ‘교수’ 언급 또한 다수 나타나고 있다.

5) 위생 활동

- 친환경 식품, 항암식품 등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식품에 대 한 관심이 지속되었다.

- 청소, 소독, 세척 등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식품 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 활동이 다수 언급되었다.

라. 감성 분석

- 식품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표현어의 비중은 긍정적인 표현이 부정적인 표현보다 7% 가량 높았다.

∙ 유익한 식품 성분 소개, 다양한 예방활동 등

- 부정적 여론으로는 질병을 유발하는 식품, 식품에서 검출된 유해성분에 대한 우려가 주를 이루고 있다.

1) 식품 위해 요소

-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물질 유출, 오염에 대해 큰 불안감을 표출하며 일본 여행 및 일본산 식품 섭취를 강력히 제재하였다.

- 기업의 부주의 혹은 잘못으로 생산되는 불량식품 및 성인병을 유발하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방법을 공유하였다.

2) 질병(식품안전)

- 대표적인 성인병인 ‘동맥경화’, ‘심장병’, ‘고혈압’을 유발하는 유해 식 품 및 성분을 활발히 공유하였다.

- 음식 내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혹은 유독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식중독에 대한 우려와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전파하였다.

3) 대상별

- 유해식품에 취약한 아이들의 건강을 우려하는 문서가 다수 확인되었다.

- 특히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에 오염된 농수산물 및 식품에 대 한 불안감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4) 위생활동

- 손 씻기, 비누 사용하기, 마스크 사용하기 등 개개인의 청결 유지를 위 해 필요한 행동의 언급이 많았다.

- 식품 조리 시의 주의사항(‘끓여 먹다’, ‘삶아서 먹다’ 등)을 공유하고, 식 품 보관 시 철저한 위생 관리를 당부하는 등 유해식품 예방 위주의 담론 이 형성되었다.

3. 요약 및 결론 가. 요약

인간 생활의 삼대요소인 의식주 중 하나인 음식, 특히 음식의 안전과 관련된 담론은 온라인 상에서도 연 평균 41만 5천 건 가량 꾸준히 발생함 으로써 국민의 관심도를 반영하고 있다.

- 2012년 말, 박근혜 대통령이 불량식품을 4대악 중 하나로 선정하고 근 절 의지를 나타내면서 식품 위생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 2013년 버즈량: 약 52만 건, 5개 년도 중 최고치 발생하였다.

- 2011년 일본에서 대지진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이후 방사능 물질에 대한 우려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013년 방사능 오염수 누 출 등의 이슈로 인해 국민의 불안감이 더욱 확산되었다.

∙ ‘방사능’, ‘세슘’, ‘검출’ 등 연관 키워드 빈도 급증하였다.

나. 결론 및 시사점

- 식품안전에 대한 담론은 온라인상에서도 꾸준히 언급되나 의견의 공론 장은 트위터 채널에서 점차 폐쇄형 커뮤니티인 블로그/카페 채널로 전 이되는 양상을 보였다.

- 아이, 엄마, 어린이 등 어린 자녀와 관련된 언급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에 대한 관심 및 우려가 확인되었다.

- ‘콜레스테롤’ 성분과 ‘고혈압’, ‘당뇨’ 등의 성인병 질환이 꾸준히 언급 되어 서구화된 식습관에 따른 질병에 대한 관심을 확인하였다.

- 식품 업체의 부도덕한 위생 관리와 유해 물질 첨가로 인해 발생하는

‘세균’, ‘식중독’ 등의 키워드도 꾸준히 언급되었다.

- 식품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행동 관련 키워드인 ‘손씻기’, ‘가 열’, ‘마스크’, ‘비누’, ‘세척’ 등을 통해 국민들이 청결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서로 실천을 당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식품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행동 관련 키워드인 ‘손씻기’, ‘가 열’, ‘마스크’, ‘비누’, ‘세척’ 등을 통해 국민들이 청결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서로 실천을 당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