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제의 조건을 만족한다

10 수학적 귀납법

㉢ l=-3인 경우

k=1Á10(|ak|-|bk|)=2+1+0+(-1)+(-2)+3+4+5 +6+7

=25

㉣ l=-4인 경우

k=1Á10(|ak|-|bk|)=2+1+0+(-1)+2+3+4+5+6+7

=29

Ü -11ÉlÉ-5일 때 |a1|-|b1|=2,

|a2|-|b2|=(12+l)-(11+l)=1 k¾3인 자연수 k에 대하여

|ak|-|bk|={-12-(k-1)l}+{10+(k-1)(l+1)}

=k-3

Á10

k=1(|ak|-|bk|)=2+1+k=3Á10(k-3)=31 Ý lÉ-12일 때

|a1|-|b1|=2,

|a2|-|b2|=(-12-l)-(-11-l)=-1이고, k¾3인 자연수 k에 대하여

|ak|-|bk|={-12-(k-1)l}-{-10-(k-1)(l+1)}

=k-3

이므로 Á10

k=1(|ak|-|bk|)=2+(-1)+k=3Á10(k-3)=29

STEP 3

1단계1단계 순서쌍 (l, m)의 개수를 구한다.

Ú ~ Ý에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 (l, m)은 (-11, 10), (-10, 9), (-9, 8), y, (-5, 4) 이므로 개수는 7이다.

7

문제의 조건을 만족한다.

01

a1=3

a2=a1+3=3+3=6 a3=2a2=2_6=12 a4=a3+3=12+3=15 a5=2a4=2_15=30 a6=a5+3=30+3=33

02

a2=2

a3=3a2=3_2=6 a4=3a3=3_6=18 따라서 a4=18

03

a1=88이고 an¾65인 경우 an+1=an-3이므로 수열 {an}은 an=88-3(n-1)=-3n+91

-3n+91¾65에서 nÉ:ª3¤:=8.666y n=9일 때, a9=a8-3=67-3=64 n>9일 때 an+1=;2!;an

따라서

01

⑴ -7 ⑵ 16 ⑶ 11 ⑷ 24

02

129

04

3

05

63

06

;1Á0;

07

1023

08

5

09

㈎ 0 ㈏ (k-1)2 ㈐ k2

개념

확인 문제

본문 141

01

02

03

747

04

29

05

06

07

08

105

09

27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유형 연습

내신

&

학평 본문 142~149

10 수학적 귀납법

n=1Áan=n=1Áan+n=9Áan

= 8(a1+a8)

2 +a9[1-{;2!;}7] 1-;2!;

=620+127=747

747

04

조건 ㈏에서 이차방정식 x2-2'¶an x+an+1-3=0이 중근을 가지므 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4an-4(an+1-3)=0 즉, an+1-an=3

따라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로 a10=2+9_3=29

29

05

a1=6 a2=6+3 a3=6+3+32 a4=6+3+32+33 따라서 a4=45

06

a1=1이고 an+1=2nan-1이므로 n에 1, 2, 3을 차례로 대입하면 a2 =2_1_a1-1=2_1-1=1

a3 =2_2_a2-1=4_1-1=3 a4 =2_3_a3-1=6_3-1=17

07

a4=2a3+1=31이므로 a3=15 a3=2a2+1=15이므로 a2=7

08

수열 {an}을 첫째항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0, 0, 1, 1, 1, 2, 2, 2, 3, y

수열 {bn}은 b1=(-1)0_50=1 b2=(-1)1_50=-1 b3=(-1)2_51=5 b4=(-1)3_51=-5 b5=(-1)4_51=5 b6=(-1)5_52=-25

b7=(-1)6_52=25 b8=(-1)7_52=-25 b9=(-1)8_53=125 따라서

Á9

k=1bk=1-1+5-5+5-25+25-25+125=105

105

09

a3=3이므로

a2가 홀수이면 a3= a2+3

2 =3, 즉 a2=3 a2가 짝수이면 a3= a2

2=3, 즉 a2=6 a2=3이면 a1=3 또는 a1=6 a2=6이면 a1=9 또는 a1=12 a1¾10이므로 a1=12 a2=:Á2ª:=6

a3=3이므로 a4=a5=3

따라서 k=1Á5 ak=12+6+3+3+3=27

27

10

a1=;5@;

a2=2_;5@;=;5$;

a3=2_;5$;=;5*;

a4=-;5*;+2=;5@;

a5=2_;5@;=;5$;

k=0, 1, 2, y에 대하여

a3k+1=;5@;, a3k+2=;5$;, a3(k+1)=;5*;

따라서

a4+a17=a3_1+1+a3_5+2=;5@;+;5$;=;5^;

11

a1=1

a2=;1%;_a1=5

a3=;3^;_a2=;3^;_5=10 a4=;5&;_a3=;5&;_10=14

(m+2)Sm+1-m+1k=1ÁSk

=(m+2)Sm+1-{k=1ÁmSk+Sm+1} = (m+1) Sm+1-k=1ÁmSk

=(m+1)(Sm+am+1)-k=1ÁmSk

=(m+1)Sm+(m+1)am+1-k=1ÁmSk

= (m+1) Sm+ (m+1)3-k=1ÁmSk

=k=1Ámk3+(m+1)3 =m+1k=1Ák3이다.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따라서 f(m)=m+1, g(m)=(m+1)3이므로 f(2)+g(1)=3+23=11

16

Ú n=1일 때, a1= a12+1

2a1 에서 a12=1 a1>0이므로

(좌변)=a1=1, (우변)=1-0=1

따라서 n=1일 때, (*)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am='¶m-'Äm-1이므로

m+1k=1Áak

=k=1Ámak+am+1

=k=1Ám('§k-'Äk-1)+am+1

=('1-'0)+('2-'1)+y+('¶m-'Äm-1)+am+1 = '¶m +am+1

주어진 조건에서

m+1k=1 Áak=am+12+1 2am+1 이므로 am+12+1

2am+1 ='¶m+am+1

am+12+2'¶mam+1-1=0 am+1=-'¶m Ñ'Äm+1 am+1>0이므로 am+1='Äm+1 -'¶m

이다.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a5=;7*;_a4=;7*;_14=16 따라서 a5=16

12

a1=1

a2= 21+a1+1=;2@;+1=2 a3= 31+a2+1=;3#;+1=2 a4= 41+a3+1=;3$;+1=;3&;

따라서 a4=;3&;

13

a1=2이고 an+1=;2!;(an)2+2이므로 a2=;2!;(a1)2+2=;2!;_4+2=4 a3=;2!;(a2)2+2=;2!;_16+2=10 a4=;2!;(a3)2+2=;2!;_100+2=52

14

an+1+an=2n2에서

n=1일 때, a2+a1=2_12이므로 a2=2-a1

n=2일 때, a3+a2=2_22이므로 a3=8-a2=6+a1

n=3일 때, a4+a3=2_32이므로 a4=18-a3=12-a1

n=4일 때, a5+a4=2_42이므로 a5=32-a4=20+a1

a3+a5=26+2a1=26이므로 a1=0 따라서 a2=2-a1=2

15

Ú n=1일 때,

(좌변)=2S1-S1=1, (우변)=1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m+1)Sm-k=1ÁmSk=k=1Ámk3이다.

n=m+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n-'Än-1이다.

따라서 f(m)='¶m, g(m)='Äm+1이므로 f(25)+g(35)=5+6=11

17

Ú n=1일 때,

32+1=2_5이므로 f(32+1)=1이다.

따라서 n=1일 때 (*)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f(32k+1)=1

음이 아닌 정수 m과 홀수 p에 대하여 32k+1=2m_p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32k+1= 2 _p 이다.

32(k+1)+1=9_32k+1=9(2p-1)+1

=2_( 9p-4 )

이고, p는 홀수이므로 9p-4 도 홀수이다.

따라서 f(32(k+1)+1)=1이다.

그러므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f(32n+1)=1이다.

따라서 a=2, g(p)=9p-4이므로 a+g(11)=2+(9_11-4)=97

18

1´2n+3´(2n-2)+5´(2n-4)+y+(2n-1)´2

=k=1Án ( 2k-1 ){2n-(2k-2)}

=k=1Án ( 2k-1 ){2(n+1)-2k}

=2(n+1)k=1Án ( 2k-1 )-2k=1Án (2k2-k)

=2(n+1){n(n+1)-n}-2

à

n(n+1)(2n+1)

3 - n(n+1)2

¡

=2(n+1)n2-;3!;n(n+1){2(2n+1)-3}

=2(n+1)n2-;3!;n(n+1)( 4n-1 )

= n(n+1)(2n+1)3 이다.

따라서 f(k)=2k-1, g(n)=4n-1, a=3이므로 f(3)_g(3)=5_11=55

19

Ú n=1일 때,

(좌변)=1, (우변)=1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m

k=1k{k+(k+1)+y+m}=m(m+1)(m+2)(3m+1) 24

이다.

n=m+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m+1k=1Ák{k+(k+1)+y+(m+1)}

=k=1Ámk{k+(k+1)+y+(m+1)}+ (m+1)2 =k=1Ámk{k+(k+1)+y+m}+(m+1)k=1Ámk+ (m+1)2 =k=1Ámk{k+(k+1)+y+m}+ m(m+1)2 2 + (m+1)2 =m(m+1)(m+2)(3m+1)

24 + m(m+1)2 2+ (m+1)2 =m(m+1)(m+2)(3m+1)

24 + (m+1)2(m+2) 2 =(m+1)(m+2){m(3m+1)+12(m+1)}

24

=(m+1)(m+2)(3m2+13m+12) 24

=(m+1)(m+2)(m+3)(3m+4) 24

= (m+1){(m+1)+1}{(m+1)+2}{3(m+1)+1}24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따라서 f(m)=(m+1)2, g(m)=m(m+1)2

2 이므로

f(4)+g(2)=(4+1)2+ 2(2+1)

2

2

=34

20

⑴ n=1일 때,

(좌변)=(2_1-1)_20=1, (우변)=(2_1-3)_21+3=1 이므로 (*)이 성립한다.

⑵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m

k=1 (2k-1)2k-1=(2m-3)2m+3이다.

n=m+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m+1k=1 Á(2k-1)2k-1

=k=1 Ám(2k-1)2k-1+{2(m+1)-1}_2(m+1)-1 =k=1 Ám(2k-1)2k-1+( 2m+1 )_2m

=(2m-3)2m+3+( 2m+1 )_2m =(4m-2)2m+3

=2(2m-1)2m+3 =( 2m-1 )_2m+1+3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⑴, ⑵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따라서 f(m)=2m+1, g(m)=2m-1이므로 f(4)_g(2)=9_3=27

21

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Á2n

k=1(-1)k-1;k!;=k=1Án 1

n+k yy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한 것이다.

(*)에서

Sn=k=1Á2n(-1)k-1;k!;, Tn=k=1Án 1

n+k 이라 하자.

Ú n=1일 때,

S1=1-;2!;=;2!; , T1= 11+1 =;2!;

S1=;2!;=T1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Sm=Tm이다.

n=m+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이자.

Sm+1=Sm+ 1

2m+1 - {- 1 2m+2 } ,

Tm+1=Tm+{- 1m+1 } + 1

2m+1 + 1 2m+2 이다.

Sm+1-Tm+1=Sm-Tm+ 1m+1 - 2 2m+2 =Sm-Tm

Sm=Tm이므로 Sm+1=Tm+1이다.

따라서 n=m+1일 때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따라서 a=;2!;, f(m)=- 12m+2 , g(m)=- 1

m+1 이므로 a+ g(5)

f(14)=;2!;+{-;6!;}_(-30)=:Á2Á:

22

주어진 식 (*)의 양변을 n(n+1)

2 로 나누면 1+;2!;+;3!;+y+;n!;> 2nn+1 yy ㉠ 이므로 n¾2인 자연수 n에 대하여

Ú n=2일 때, (좌변)=;2#;, (우변)=;3$; 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k (k¾2)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2!;+;3!;+y+;k!;> 2kk+1 yy ㉡ 이다. ㉡의 양변에 1

k+1 을 더하면 1+;2!;+;3!;+y+;k!;+ 1k+1> 2k+1k+1 이 성립한다. 한편,

2k+1k+1 -= k

(k+1)(k+2) >0

= 2k+1k+1 - k (k+1)(k+2) =(2k+1)(k+2)-k

(k+1)(k+2) = 2k2+4k+2

(k+1)(k+2) = 2(k+1)2

(k+1)(k+2) =2(k+1)

k+2 이므로

1+;2!;+;3!;+y+;k!;+ 1k+1> 2(k+1)k+2 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도 성립한다.

따라서 p=;2#;, f(k)= 2(k+1) k+2 이므로 8p_ f(10)=8_;2#;_;1@2@;=22

23

Ú n=2일 때, (좌변)=k=1 Á2 1

k3=1 13+1

23=1+;8!;= ;8(; 이고 (우변)=:Á8Á: 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m (m¾2)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m

k=1

1

k3<;2!;{3- 1 m2}이다.

n=m+1일 때,

n=k+1일 때,

32(k+1)-1= 32_32k-1

= 32_(8m+1)-1

=9_8m+8

=8( 9m+1 )

따라서 n=k+1일 때도 32n-1은 8의 배수이다.

Ú, Û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32n-1은 8의 배수이다.

따라서 a=8, b=32=9, f(m)=9m+1이므로

a+ f(b)=8+(9_9+1)=8+82=90

90

채점 기준 비율

3

2n

-1에 n=1을 대입하여 a의 값을 구한 경우 20%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32(k+1)

-1=3

2

_3

2k

-1로 전개

한 후 b의 값을 구한 경우

20%

3

2k

=8m+1을 이용하여 f(m)=9m+1을 구한 경우 40%

a=8, b=9, f(m)=9m+1을 이용하여 a+ f(b)의

값을 구한 경우

20%

01

02

21

1등급

도전

본문 151

01

풀이 전략 등차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용하여 보기의 참·거짓을 판별한다.

문제 풀이

STEP 1

1단계1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ㄱ의 참·거짓을 판별한다.

ㄱ. P1(0, 0), P2(x2, x22)이고 직선 P1P2의 기울기가 a1이므로 a1=x22-0

x2-0 =x2=3 (참)

STEP 2

1단계1단계 조건 ㈏를 이용하여 ㄴ의 참·거짓을 판별한다.

ㄴ. 직선 PnPn+1의 기울기 anan=xn+12-xn2

xn+1-xn=xn+1+xn

조건 ㈎, ㈏에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3이고, 공차가 d (d>3) 인 등차수열이므로

an=xn+1+xn=3+(n-1)d yy ㉠

㉠에 n=1, 2, 3, y을 차례로 대입하면 x2=3, x3=d, x4=3+d, x5=2d, y

x2n=3+(n-1)d, x2n-1=(n-1)d이므로 xx12=0이므로+x1=3에서 x2=3 x+x=3+d에서 x=d

x20=3+9d, x19=9d x20=x19+3 (거짓) ㄷ. k=1 Á10(x2k+1-x2k)

=(x3-x2)+(x5-x4)+y+(x21-x20)

=(d-3)+(d-3)+y+(d-3)

=10(d-3)

10(d-3)É100에서 dÉ13 즉, d의 최댓값은 13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02

풀이 전략 정다각형의 대각선의 특징을 파악하여 an을 추론한다.

문제 풀이

STEP 1

1단계1단계 n의 값이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로 나누어 길이가 다른 대각선의 개수를 구한다.

정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자기 자신 및 양쪽 옆의 꼭짓점에는 대각 선을 그을 수 없으므로 정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 선의 총 개수는 (n-3)이다.

Ú n=2k (k¾2)일 때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2k-3이고 지름을 제외하면 2k-4이다.

이때 지름을 기준으로 하면 지름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서로 대 칭이므로 서로 다른 길이의 대각선의 개수는

2k-42 =k-2

따라서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서로 다른 길이의 대각선의 개수는 지름을 포함하여

(k-2)+1=k-1 Û n=2k+1 (k¾2)일 때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2k+1)-3=2k-2

이때 지름을 기준으로 하면 지름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서로 대 칭이므로 서로 다른 길이의 대각선의 개수는

2k-22 =k-1

따라서 Ú, Û에서 k-1에 각각 k=;2N;, k= n-12 을 대입하면 an=

à

;2N;-1 (n이 4 이상의 짝수)

n-32 (n이 5 이상의 짝수)

따라서 a22+a25=:ª2ª:-1+ 25-32 =10+11=21

21

x2k+1-x2k=kd-{3+(k-1)d}=-3+d

로 구할 수도 있다.

n-3 n-3에 2k를 대입

n=2k에서 k=;2N;

n=2k+1에서 k= n-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