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농축산물의 전체 가격지수는 여타 품목의 가격지수에 비해 변동성이 크며 가격 수준 및 가격의 변동성에서 뚜렷한 계절성이 관찰됨.

- 초여름(6~7월)과 겨울(11~익년 1월)의 가격 변동성과 가격 수준이 낮고 초 봄(2~3월)과 가을(9~10월)의 가격 변동성 및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농산물 품목별로는 ‘채소’ 및 ‘과실’의 가격 변동성이 ‘곡물’과 ‘축산물’에 비해 크며 계절성도 ‘채소’와 ‘과실’에서 관찰됨. 이는 계절별 생산비 차이 와 저장의 용이성 정도에 따른 것으로 보임.

○ 전반적으로 가격 수준이 높은 월의 가격 변동성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나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 1~2개월 선행하거나 후행하는 경우가 발견됨.

○ ‘농축산물’의 전체 혹은 세부 품목별 가격지수의 변동성은 대부분 분석대상 전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경향을 보이며 특정 품목의 경우 시간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증가하는 경향도 보임.

- 특히 ‘채소’의 ‘배추’는 2000년을 전후로 하여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였 으며 ‘기타농산물’의 ‘고춧가루’는 2010년 이후 변동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이상과 같이 농산물 가격은 계절성이 강하기 때문에 연간 가중치를 기준으 로 산정하는 물가지수는 계절적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님을 알 수 있음. 즉, 품목이나 계절에 따라 물가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다를 수 있 음을 의미함.

4

농산물 가격 변동의 타 물가에 대한 영향

○ 본 장에서는 농산물 가격 변동이 일반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 자 함. 농산물 가격이 물가 변동에 기여한 정도를 계측하고, 산업연관표 분 석과 시계열 모형분석을 통하여 농축산물 물가의 여타 품목에 대한 파급효 과를 추정하고자 함.

-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농산물’ 가격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이를 통해 물가안정화 정책에서 ‘농산물’의 중요성 및 정책수단에 대한 시사 점 도출을 목적으로 함.

1. 농산물 가격의 물가 변동 기여도

○ 농산물 가격 변동이 일반 물가의 변동에 기여한 정도, 즉 기여도는 농산물 가격 변동에 의한 일반물가지수 변화분으로 계측할 수 있으며, 이를 일반물 가지수의 변화분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면 기여율로 표시됨6. 농축산물 가격 변동에 의한 일반물가지수 변화분은 농산물 가격 변동률에 일반물가지수상

6 연구자에 따라서는 기여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기여율로 표현하기도 함.

의 농산물 가중치(비중)를 곱하면 구할 수 있음. 즉,

○ 농축수산물이 물가 변동에 기여하는 정도가 물가 가중치보다 큰 것은 농수

1990 1995 2000 2005 2010 2001~12 2001~07 2008~12 농축수산물 191.1 144.8 107.4 88.4 77.6 12.14 10.32 14.69

농 산 물 110.8 87.4 66.0 54.5 43.5 7.11 5.20 9.79

공업제품 403.4 369.2 342.9 307.4 317.7 31.13 25.48 39.03

가공식품 78.2 69.3 65.7 61.2 69 9.21 6.77 12.63

내 구 재 91.8 82.0 73.9 63.9 52.3 0.64 -1.49 3.62 석 유 류 45.3 43.5 57.9 53.9 53.5 9.10 9.14 9.03

전기·수도·가스 45.3 41.1 58.0 72.9 48.3 - - 15.30

118.7 127.5 131.4 97.5 91.8 7.55 6.99 8.34 공공서비스 144.1 131.4 150.9 163.1 143.7 10.11 13.75 5.03 개인서비스 84.0 227.1 267.4 343.6 320.9 33.09 37.79 26.50

58.0 91.4 100.3 130.6 118.2 10.78 10.53 11.13

54.5 51.3 43.9 51.6 73.1 5.25 6.26 3.83

73.2 95.5 111.4 109.0 109.2 12.96 13.67 11.97 20.4 22.6 47.9 60.2 57.8 -4.12 -5.23 -2.58 88.2 92.4 112.0 110.9 114.1 15.53 20.26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