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산물 물가에 대한 소비자 인식

3.1. 조사 개요

○ 농산물 물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 시함.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소비자패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 조사기 간은 5월 24일에서 28일까지 5일간 실시했으며 총 응답자는 616명임.

○ 응답자의 가족 수 구성은 2인 9.6%, 3인 25.5%, 4인 50.6%, 5인 12.2%, 6인 이상 2.1%임. 소득계층은 100~200만 원 미만이 4.9%, 200~300만 원 미만이 16.1%, 300~400만 원 미만이 24.5%, 400~500만 원 미만이 27.3%, 500~700 만 원 미만이 19.2%, 700만 원 이상이 8.1%임. 학력은 고졸 이하가 25.6%, 전문대졸이 22.1%, 대졸이 47.6%, 대학원졸 이상이 4.7%임. 응답자의 나이 대는 30대 19.2%, 40대 46.3%, 50대 29.9%, 60대가 4.7%임. 응답자의 지역 별 분포는 서울 41.7%, 인천 11.0%, 부산 9.1%, 대구 9.3%, 경기 7.5% 등임.

소득 학력 나이 지역분포 유효(%) 만 원 유효(%) 구분 유효(%) 구분 유효(%) 구분 유효(%)

2 9.6 100~

200 미만 4.9 고졸

이하 25.6 30대 19.2 강원 2.6 3 25.5 200~

300 미만 16.1 전문대졸 22.1 40대 46.3 경기 7.5 4 50.6 300~400 미만 24.5 대졸 47.6 50대 29.9 광주 5.2

5 12.2 400~500 미만 27.3 대학원졸 4.7 60대 4.7 대구 9.3

6 이상 2.1 500~

700 미만 19.2 대전 5.8

700 이상 8.1 부산 9.1

서울 41.7 울산 3.7 인천 11.0 전북 2.3 충북 1.8 표 2-5. 응답자 구성

3.2. 농산물 물가에 대한 관심

○ 농산물 물가에 대한 관심과 민감 정도는 ‘매우 민감하다’가 20.5%, ‘자주 관 심을 갖지만 매우 민감하지는 않다’가 62.5%, ‘보통이다’ 16.2%, ‘별로 관심 없다’가 0.8%로 나타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그림 2-1. 물가에 대한 관심과 민감 정도

○ 농산물 물가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이유는 ‘자주 구입해야 하므로’ 60.8%, ‘가 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31.2%, ‘가계지출에 갑작스런 변동이 커서’ 7.2% 등으로 나타나 구입 빈도와 가계지출 비중이 주요인인 것으로 평가됨.

그림 2-2. 농산물 물가에 관심을 갖는 이유

31.2%

60.8%

7.2%

0.9%

농산물이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므로

농산물은 자주 구입해야 하므로

가계지출에 갑작스런 변동이 생기기 때문

기타

○ 농산물 가격 변동에 특히 관심을 갖는 부류는 채소 37.4%, 과일 35.6%, 육 류 12.8%, 곡물 9.8%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소비자가 최근 3년간 해당 품목의 가격 변동으로 괴로웠거나 불만이었다고 응답한 품목은 돼지고기, 고춧가루, 배추, 쇠고기, 양파, 마늘, 사과, 달걀, 고 구마, 우유, 쌀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소비자가 최근 1년간 가격 변동으로 괴롭거나 불만이었던 품목은 양파, 돼 지고기, 고춧가루, 사과, 배추, 쇠고기, 마늘, 달걀, 고구마, 우유 등의 순임.

그림 2-3. 농산물 중 가격 변동에 관심 갖는 부류

그림 2-4. 최근 3년간 가격 변동이 불만이었던 품목(상위 20개)

여름 가을 겨울

○ 농축산물 세부 품목별 가격 변동에 관심을 갖는 이유로 ‘자주 구입해야 하므 로’ 61.4%, ‘대체 품목이 없거나 몰라서’ 25.9%, ‘해당 품목의 구입액이 많 아’ 10.9% 등으로 응답하여 주로 구입 빈도와 대체 품목의 부재로 파악함.

그림 2-5. 농산물 세부 품목별 가격 변동에 관심 갖는 이유

10.9%

61.4%

25.9%

1.7%

해당 품목의 1회당 구입액이 많기 때문

해당 품목을 자주 구입해야 했기 때문

해당 품목이 비쌀 때 대체할만한 품목이 마땅치 않거나 잘 몰라서 기타

3.3. 농산물 물가관리 시 중시해야 할 사항

○ 정부가 농산물 물가관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지표)에 대해 소비자는 가격 변동성(등락률), 구입 빈도, 저소득층 지출 비중, 총가구의 평균지출 비중, 타 산업에 대한 물가 파급영향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응답함. 특히 저소득층 은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을 중시해야 한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음.

그림 2-6. 소비자의 물가관련 지표에 대한 중요도 평가

: 5점 척도 기준 응답 결과.

○ 정부가 농산물 물가관리 품목 선정 시 우선적 고려사항에 대해 소비자는 가격 변동성 30.5%, 총가구의 평균지출 비중 24.7%, 구입 빈도 23.1%,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 12.4%, 타 산업에 대한 물가 파급영향 9.4% 순으로 응답했음.

표 2-8. 농산물 물가관리 시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복수응답)

분 류 1순위 2순위 빈도계 단순비중 가중평균비중

총가구의

평균지출 비중 172 110 454 23.0 24.7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 79 70 228 12.2 12.4

구입 빈도 144 136 424 22.9 23.1

가격 등락(변동)

정도 184 192 560 30.7 30.5

타 산업에 대한

물가 파급영향 34 104 172 11.3 9.4

613 612 1,225 100.0 100.0

: 가중평균비중은 1순위의 가중치를 2, 2순위의 가중치를 1로 하여 전체를 100으로 환산하여 산출.

3

농산물 가격의 변동 특성

1. 농산물 물가지수 추이와 변동성

○ 본장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품목성질별 소비자물가지수(2010=100)’

자료를 이용하여 농산물 가격의 추이 및 변동성에 관한 분석을 수행함. - 분석대상 기간은 주요 물가지수 자료가 이용 가능한 1985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이며 월별 물가지수 자료를 이용함.

○ 다른 물가지수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해당 품목의 물가지수를 전체 소비자물가지수(CPI)로 나눈 실질 물가지수를 이용함.

- 실질 물가지수 = 100 * (해당 품목 물가지수(2010=100) / CPI)

- 명목 물가지수를 이용할 경우 대부분의 품목별 물가지수가 1985년 20~40 수준에서 시작하여 2010년 100이 되는 증가추이를 보여주어 품 목별 비교 시 적절하지 않음.

- 실질 물가지수는 상대적인 물가지수로 해당 월의 품목별 물가지수의 가 중합이 항상 100이 되도록 조정됨.

- 항목별 2010년도 가계소비지출 비중을 의미하는 소비자 물가지수의 가 중치는 ‘농축산물’이 65.6, ‘수산물’ 22.1, ‘공업제품’ 317.7, ‘전기·수도·

그림 3-1. 품목별 실질물가지수 추이

○ 여타 품목의 경우 ‘집세’ 및 ‘공업제품’은 전반적인 하락추이를 보이나 ‘수 산물’ 및 ‘개인서비스’는 상승추이를 보임.

- 구체적으로 ‘수산물’은 2000년대 초반까지 가파른 상승추이를 보이다가 이후 완만한 하락추세로 전환됨.

- ‘공업제품’은 1990년대 초반까지 완만한 추이를 보인 후 계속적인 하락 추이를 보임.

- ‘집세’는 IMF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하락추이를 보이나 이후 정체됨.

- ‘공공서비스’는 1990년대 완만한 상승추이를 보이나 2000년 이후는 완 만한 하락추이를 보임.

- ‘개인서비스’ 상대물가지수는 1990년대 중반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 나 이후 정체됨.

1.2. 변동성 분석

○ 물가의 변동성(불안정성)은 불안정성에 대한 개념이 주관적일 수 있어 측정 지표가 분석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존재할 수 있음5.

- 특히, 농산물의 경우 계절에 따른 생산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분 석의 목적에 따라 계절 간 변동성을 불안정성의 범주에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

- 또한 물가의 장기추이가 변할 수 있는 장기간을 분석의 대상으로 할 경 우 선형추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변동성을 측정할 경우 추세변동을 적 절히 통제할 수 없어 변동성 지표에 대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음.

○ 본 연구의 분석 목적이 농산물 가격의 불안정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 계절변 동 및 비선형의 추세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것이 타당할

5 이용선 등(2012) 참조.

 구 농축산물 수산물 공업제품 집세 공공

서비스 개인

서비스

1985~1989 평균 76.6 72.8 120.0 125.3 95.2 73.7

표준편차 3.2 6.8 3.1 1.4 2.2 2.7

CV 0.042 0.093 0.025 0.011 0.023 0.037

1990~1999

평균 83.0 85.0 103.6 126.8 94.1 94.9

표준편차 3.5 3.0 4.1 6.4 4.5 5.9

CV 0.042 0.035 0.040 0.050 0.048 0.063

2000~2009 평균 92.2 88.3 98.8 107.6 104.2 99.1

표준편차 5.8 2.6 1.6 4.0 2.1 1.5

그림 3-2. 품목별 물가지수(실질) 변동성: 계절성 및 추이 제거

CV 0.063 0.030 0.016 0.037 0.020 0.015

2010~현재 평균 104.0 103.2 100.8 100.8 96.4 99.4

표준편차 4.5 2.5 0.7 1.2 2.6 0.7

CV 0.044 0.024 0.007 0.012 0.027 0.007

전 체 평균 87.5 86.1 104.5 116.7 98.1 93.2

표준편차 9.3 9.0 8.0 11.3 5.6 10.0

CV 0.107 0.105 0.077 0.097 0.057 0.107

○ 월별 자료사용에 의한 계절성 효과와 장기적인 추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

○ <표 3-2>는 가격지수와 해당 월 3개년 평균값 간 차이의 표준편차를 계산한

1985~1989 1.78 0.87 1.36 1.45 1.06 0.68

1990~1999 2.53 2.57 0.83 1.18 0.94 0.62

2000~2009 2.35 1.28 0.78 0.78 1.13 0.37

2010~현재 3.31 0.90 0.56 0.39 0.98 0.36

1985~1999 2.35 2.23 1.02 1.26 1.00 0.66

2000~2012 2.57 1.31 0.75 0.74 1.11 0.36

전 체 2.45 1.86 0.90 1.06 1.06 0.54

: 계절성 및 추이를 제거한 물가지수의 표준편차를 나타냄.

1.3 월별 수준 및 변동성

○ ‘농축산물’ 가격지수의 수준 및 변동성(표준편차)은 여타 품목에 비해 뚜렷 한 계절성을 보임.

- ‘농축산물’ 가격지수는 통상 가격 수준이 높은 월에 가격 변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여타 품목의 경우 가격 수준에서는 계절성을 보이지 않으나 변동성 측 면에서 ‘수산물’은 계절적인 특성을 보임.

○ ‘농축산물’ 가격지수는 추석으로 수요가 많은 9월이 높고 11월과 6~7월이 평월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여타 가격지수의 수준은 뚜렷한 계절성을 보이지 않음.

- 아래 그림에서 100보다 낮은 품목은 기준연도인 2010년에 비해 전년도 의 가격 수준이 낮았다는 것을 의미하여 상승 추세에 있는 품목임을 의 미하며 100보단 낮은 경우 하락 추세를 의미함.

○ ‘농축산물’의 가격 변동성은 2월과 10월에 특히 높고 6월에 가장 낮은 것으 로 나타남.

- ‘농축산물’의 가격 변동성은 여타 품목에 비해 거의 모든 월에서 여타 품목에 비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가격 변동성 측면에서 ‘수산물’도 5월이 높고 8월이 낮은 뚜렷한 계절성 을 보임.

- 여타 품목의 경우 계절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변동성 수준도 낮은 것으 로 나타남.

그림 3-3. 월별 물가지수(실질)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