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산물 물가 변동의 타 물가에 대한 파급효과

○ 소비지출 가중치로 가중된 농산물 물가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 를 상승시키며 더하여 여타 품목의 물가 수준 상승압력으로 작용함. 따라서 농산물 물가 상승의 영향은 직접적인 효과와 간접적인 파급효과를 합한 것 으로 계산될 수 있음.

- 직접적인 효과는 농축산물 물가지수의 변동분에 농축산 부문의 가중치 (6.56%)를 곱한 값임.

- 간접적인 파급효과는 농축산물을 원료로 하는 ‘식품가공업’ 및 ‘음식점’

등의 가격을 중심으로 파급될 것으로 예상됨.

○ 본 절은 산업연관표 분석 및 가격지수에 대한 시계열 계량모형 분석을 통하 여 농산물 물가 상승으로 인한 여타 품목 물가에의 파급효과를 분석함.

2.1. 산업연관분석

가. 분석모형8

○ 산업연관표에서 특정 산업 부문의 생산물 단위당 가격은 중간 투입재의 투 입액과 부가가치의 합으로 구성.

개의 산업 부문으로 구성된 산업연관표 에서 가격에 관한 균형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됨.

8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 해설서(2004) 및 이현동(2011) 등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정리.

할 것으로 판단됨.

- 구체적으로 해당 농업 부문의 생산품 가격 10% 증가에 따른 타 산업으 로의 평균 물가 파급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계산함.

- 본 분석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의 최하위 범주인 403분위를 중심으로 농 축산업 부분을 분리하였으며, 이 경우 농축산 부문은 13개임.

○ 전반적으로 농축산물 가격 10% 상승에 따른 여타 부문의 파급효과는 평균 0.0124%(합계 0.1618%)로 작게 추정되었으며, 파급효과가 가장 큰 농축산 품목은 ‘벼’로 10% 가격 상승에 따라 여타 부문의 물가가 0.045% 상승하는 것으로 계산됨.

- ‘벼(0.045%)’, ‘양돈(0.029%)’, ‘육우(0.024%)’, ‘가금(0.020%)’, ‘채소 (0.019%)’ 순으로 물가 파급효과가 큼.

- 특히 ‘벼’를 제외한 ‘밀’, ‘보리’, ‘잡곡’, ‘콩류’ 등의 곡류들의 여타 부문 에 대한 물가 파급효과가 작음.

표 4-2. 농업 부문별 평균 물가 파급효과(10% 상승 시)

표 4-3. 산업별 물가 파급효과(10% 상승 시)

○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특정 품목의 물가 상승에 따른 직접적인 전체 소비자

를 결정함.

- 따라서 항구적인 ‘농축산물’ 가격의 변화는 장기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 를  

    만큼 상승시킴. 단 여기서 아래첨자 는 ‘농축산 부문’을 의미함.

○ 이상의 모형은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품목만을 설명 변수로 포함할 경우 누락변수에 의한 편이 문제(omitted variable bias)가 발 생할 수 있음.

-    그리고    

- 누락변수 문제는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항목을 포함하여야 함을 의미. 그러나 현재의 가중치 및 부문별 가격 수준이 현재의 물가지 수를 산술적으로 구성한다는 측면(직접효과)에서 현재의 품목별 가격수 준은 설명변수로 포함하지 않음. 따라서 본 모형은 농축산물 물가변화 의 간접적인 파급효과만을 분석대상으로 함.

○ 가성회귀(spurious regression) 문제를 고려하기 위한 변수들의 안정성 확보 및 분기자료의 사용에 따른 시계절성(seasonality) 문제, 동태적 안정성 확보 를 위한 제약 및 적절한 시차결정 등의 시계열 데이터 사용에 따른 이슈들 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아래의 분석결과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설명함.

나.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파급효과 분석

○ 물가지수의 경우 기준연도(2010)를 100으로 한 상대적인 물가 수준을 의미 하여 분석기간이 길 경우 설명변수의 한계효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질 수 있음.

- 1980년대 총 소비자물가지수가 30대 수준이었으나 최근 자료의 경우

표 4-4. 안정성 검정

○ 아래 표는 ‘농산물’ 물가의 여타 물가로의 파급에 의한 소비자물가지수 기 여효과를 추정한 결과임.

- 각 열은 ‘농산물’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합하여 추정한 모형의 결과와 품 목별로 ‘농산물’을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임.

- ‘농산물’ 물가와 여타 품목 물가의 상관관계가 클 것으로 생각되어 여타 물가지수를 분석에서 제외할 경우 누락변수에 의한 편이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누락 변수에 대한 편이와 추정계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 여 여타 부문을 ‘비농산물’ 물가로 통합하여 분석함.

- 분기자료의 사용에 따른 계절성 조정을 위해 계절차분과 SARIMA 모형 을 추가함.

- ARIMA(0,1,0)-SARIMA(0,1,1,4)-ADL(0,4) 모형을 식별. 모형식별을 위 해서는 AIC, BIC 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잔차항이 백색잡음 이 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Portmanteau Q-검정을 사용함.

○ ‘농산물’ 물가 상승의 간접적 파급효과는 3분기의 시차를 두고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에 반영되며 그 크기는 10% ‘농산물’ 물가 상승 시 0.58%의 소비 자물가지수를 상승시켜 파급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계산됨.

- 비농산물 물가 상승의 효과는 비교적 빨리 파급되며 크기는 10% 상승 시 3.58% 소비자 물가지수에 파급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0% 유의 수준에서 유의미함.

- ‘농산물’ 세부 품목별로는 ‘채소’ 3분기 시차의 추정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추정되었으며 여타 품목의 추정치는 유의미하지 않음.

종속변수: Log(CPI)

종속변수: Log(CPI)

설명변수 종속변수

설명변수 종속변수

설명변수 종속변수

log(식품가공) log(외식)

log(비농축산물)

lag=1 0.766** 0.799*** 0.067 0.127 (0.358) (0.304) (0.290) (0.220)

lag=2 0.145 0.182 -0.093 -0.087

(0.167) (0.188) (0.157) (0.164)

lag=3 -0.058 -0.028 0.069 0.076

(0.153) (0.159) (0.165) (0.164)

lag=4 0.197 0.349 0.154 0.029

(0.222) (0.258) (0.256) (0.254)

ARMA AR(1) 0.272** 0.266* 0.857*** 0.778***

(0.121) (0.136) (0.090) (0.258)

MA(1)     -0.570*** -0.498

    (0.182) (0.396)

ARMA4 MA(1) -1.000*** -1.000*** -0.846*** -0.669***

(0.000) (0.000) (0.097) (0.140)

상수항 0.000 0.001** -0.001 -0.001

(0.000) (0.000) (0.000) (0.001) sigma 0.011*** 0.010*** 0.010*** 0.009***

(0.003) (0.002) (0.001) (0.001)

AIC -599.4 -585.7 -642.32 -634.073

BIC -567.7 -511.7 -607.943 -557.386

Portmanteau Q-통계량(lag=20) 36.08 26.88 47.55 34.31

(p-값) 0.647 0.944 0.192 0.724

관측치수 104 104 104 104

○ 전반적으로 농산물 가격 변동의 총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파급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 산업연관표를 통한 분석의 경우 10% 농산물 가격 상승 시 약 0.16% 내 외의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가격지수를 통한 분석에서 는 이보다는 큰 0.58%가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됨.

- ‘농산물’ 품목별로도 그 파급효과는 크지 않았음.

○ 요약컨대 농산물 가격 변동은 그 자체로 물가 변동에 일정 부분 기여하지만 타 부문의 물가에 미치는 파급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평가됨. 따라서 농산물 가격 변동이 물가를 ‘주도’한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음.

- 오히려 농산물 물가는 사료, 화학제품, 석유·석탄 등의 물가 변동에 의 해 영향을 보다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남.

○ ‘농산물’ 물가의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파급효과는 주로 2~3분기의 시차 를 두고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됨.

- 품목별로도 ‘채소’ 물가가 3분기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지수에 파 급되는 것으로 추정됨.

○ 비교적 관련성이 높은 ‘식품가공’과 ‘외식’ 물가에 대한 ‘농축산물’ 물가의 파급효과도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 ‘식품가공’ 물가는 ‘비농축산물’ 물가에 의한 파급효과는 크나 ‘농축산 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파급효과를 보이지 않았음.

- 반면에 ‘외식’ 물가는 ‘농축산물’ 물가의 파급효과가 비교적 크게 추정 되었으며 2-3분기의 시차를 두고 반영되었음.

- 품목별로 ‘채소’와 ‘축산물’이 ‘외식’ 물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특히, ‘축산물’의 ‘외식’ 물가에 대한 파급영향은 빠르고(1분기 시차) 비교적 큰 것으로 추정(10% 상승 시 0.69%)됨.

5

물가 체감 지표에 의한 농산물 품목별 중요도 평가

○ 이 장에서는 물가에 대한 소비자의 ‘체감’ 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들을 제시하고 각 지표별로 품목 중요도를 평가하고자 함. 소비자의 물가 체감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전체소비자의 평균지출액 비중, 구입 빈도, 소득 2분위 이하 계층의 지출액 비중, 가격 변동성, 해당 품목의 물가 파급효과 등 다섯 가지를 채택함9.

1. 평균지출액 비중

1.1. 연도별 평균지출액 비중

○ 기존 물가지수의 기준인 평균지출액 비중이 소비자들의 물가에 대한 체감 정도를 계측하기에 적절한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5년마다 한 번 개정되어 물가에 반영된다는 한계가 있음.

9 소비자의 물가 체감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이상의 지표들을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제2장 을 참조.

○ 이러한 한계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계동향조사’를 바탕으로 연도 별, 계절별 소비자들의 평균지출액 비중을 도출하여 소비자 체감을 반영한 농산물 물가관리 품목을 선정 지표로 활용하고자 함.

○ ‘가계동향조사’는 조사대상이 한 달 동안의 수입과 지출을 가구에서 직접 기입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하며 익월초 방문 등을 통하여 가구실태(가구원 수, 가구원 활동상태 등)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작성되는 자료임.10

- 가계동향조사의 조사대상 가구는 전국 동·읍·면에 거주하는 1인 이상의 일반 가구 중 가계수지 파악이 가능한 가구임.

- 가계동향조사 대상 가구는 한 번 조사대상이 되는 경우 약 3년간 조사 를 받음.

- 표본교체는 표본 개편 시 한꺼번에 변경하던 기존 방법에서 매년 전체 표본규모의 3분의 1씩 교체하는 연동방법을 적용함.

- 연간 표본교체도 6개월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남.

-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10% 표본 조사구에 신축 아파트 조사구를 추가 하여 최종적으로 27,011개 조사구를 표본틀로 사용함.

○ 층화 및 표본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7대 도시(특별시와 광역시)와 9개 도(道)로 우선 층화하고, 각 도에서는 동부와 읍·면부로 다시 구분하여 전국을 25개 지역으로 층화함.

- 과거의 표본오차를 활용하여 25개 지역별로 표본규모 산정함.

- 표본규모 산정을 위해 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 항목의 상대표준오차 (CV)를 활용함.

- 표본규모의 총합은 999개 조사구이며, 적격가구는 약 8,700~8,800 가구임.

○ 가계동향조사 조사대상 가구의 속성에 대해 요약한 것이 <표 5-1>임.

10 보건복지부 사회통계국 복지통계과의 가계동향조사 이용자 가이드를 인용함.

가계수지항목별 2010년 2011년 2012년 소득 (천 원) 3,670,142 4,007,671 3,151,032 3,893,666 4,248,619 3,324,447 4,126,769 4,492,364 3,508,199 가계지출 (천 원) 2,998,887 3,209,504 2,674,963 3,139,374 3,364,698 2,778,032 3,259,326 3,494,821 2,860,880 소비지출 (천 원) 2,312,540 2,435,102 2,124,044 2,404,259 2,531,355 2,200,442 2,485,245 2,621,901 2,254,030 식료품·비주류음료 319,704 318,783 321,121 341,077 339,557 343,516 351,257 355,031 344,870

곡물 18,774 17,162 21,252 20,727 18,954 23,571 21,289 19,848 23,726

곡물가공품 15,757 16,143 15,163 16,941 17,267 16,418 17,032 17,482 16,270 빵 및 떡류 20,266 21,671 18,105 21,402 22,979 18,874 22,140 23,670 19,551

육류 46,479 45,827 47,482 49,077 48,333 50,271 49,217 49,351 48,989

육류가공품 9,518 10,001 8,774 11,005 11,758 9,798 11,758 12,760 10,062 신선수산동물 21,763 19,804 24,776 22,297 20,073 25,864 20,977 19,455 23,553 염건수산동물 6,750 6,431 7,240 7,566 7,157 8,223 6,994 6,678 7,530 기타수산동물가공 6,372 6,499 6,177 7,012 7,097 6,876 7,129 7,342 6,769

- 조사대상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2010년 3.29명, 2011년 3.27명, 2012

- 조사대상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2010년 3.29명, 2011년 3.27명,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