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 세계 농식품 수입

3. 중국의 수입농식품 시장

3.1. 대 세계 농식품 수입

 중국의 농식품 수입 규모

○ 중국의 농식품 교역액은 2002년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전 세 계 교역량이 급감하였던 2009년을 제외하고는 수출과 수입이 모두 지 속적으로 증가함. 교역규모는 2002년 277억 달러에서 2014년 1,777억 달러로 6.4배 확대(연평균 증가율 16.8%)됨.

- 같은 기간 농식품 수출액은 174억 달러에서 694억 달러로 증가하 여 약 4.0배 성장(연평균 증가율 12.2%)함.

- 반면에 중국의 농식품 수입액은 2002년 103.2억 달러에서 2014년 1,082.7억 달러로 10.5배가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21.6%

에 달해 수출의 연평균 증가율을 크게 상회함.

- 농식품 수입이 수출보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농식품 무역수지는 2002년 71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었으며, 2008년 적자(-116억 달러)로 전환된 이후에도 적자 폭이 계속 확대 되어 2014년 말 기준 389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함.17)

17) 상기 데이터는 중국 해관(海關)에서 제공하는 중국무역통계 중 HS 2단위를 기준 으로 HS-01류~HS-24류의 교역 실적을 기준으로 함. 중국 상무부(商務部)에서 발 표하는 농식품 수출입 자료인 뺷中國農產品進出口月度統計報告뺸에 의하면 중국의 농식품 무역수지는 2004년부터 적자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적자규모가 꾸준히 증 가하면서 2013년 그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508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3-1. 중국의 농식품 수입 규모 및 증가율 추이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stat.kita.net).

그림 3-2. 중국의 대 세계 농식품 무역 추이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stat.kita.net).

○ 중국의 농식품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세계 농식품 수입액에서 차 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농식품 수입액의 연평균 증

가율도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회하고 있음.

- 중국 농식품 수입액의 연평균 증가율(2000~2011년)은 22.8%로 미 국(8.2%), 독일(9.6%), 일본(6.0%), 영국(7.9%) 등 세계 주요 농식품 수입국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의 농식품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세계 농산물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였는데, 2000년 2.29%에서 2011년 7.04%로 비중이 확대됨.

-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중국 의 농식품 수입액은 951억 달러로 수입규모가 미국(1,071억 달러) 에 이어 2위를 차지함.

○ 중국 언론에서는 2011년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농식품 수 입국이 되었으며, 농식품 수출은 세계 6위(646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 로 보도한 바 있음.18)

- WTO 데이터에 의하면 2011년 중국의 농식품 수입액은 2010년에 비해 34% 증가한 1,447억 달러였으며, 농식품 무역수지 적자는 801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상해 후이이컨설팅(上海匯易咨詢)은 향후 중국은 대두, 쌀, 밀 등 모든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특히 가공 되지 않은 사료용 농산물 수입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18) 新華網(2012.9.22.). 「中國成全球最大農產品進口國」(http://news.xinhuanet.com/world/

2012-09/22/c_123747950.htm).

그림 3-3. 세계 주요국 농산물 수입액(2011년) 및 비중 추이(2000~2011년)

자료: FAO(http://faostat3.fao.org).

○ 2002년 이후 농식품 수입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총수입의 연평균 증가 율보다 4.5%p 높았으며, 이에 따라 총수입에서 농식품 수입이 차지하 는 비중도 2.0%p 상승함.

- 중국의 총수입액은 2002년 2,953억 달러에서 2014년 1조 9,631억 달러로 6.6배 확대되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7.1%를 기록함.

- 같은 기간 중국의 농식품 수입은 103억 달러에서 1,083억 달러로 연평균 21.6% 증가하였으며, 수입 규모는 10.5배나 증가함.

- 농식품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중국의 총수입액에서 농식품 수 입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2년 3.5%에서 2014년 5.5%로 상승함.

표 3-1. 중국의 품목별 농식품 수입액, 비중 및 증가율(HS-2단위 기준)

○ 중국의 농식품 수입은 HS-2단위 기준 품목으로 볼 때 HS-12(채유용 종자 및 공업용・사료용 식물)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 음으로 HS-15(동・식물성 유지), HS-03(어패류)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수입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은 HS-12로 2014년 전체 농식품 수입액 중에 서 42.2%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2년에 비해 그 비중이 9.0%p나 증가함.

- HS-15(11.0%), HS-03(6.0%)이 수입액 비중에서 2,3위를 차지하였으 나 2002년에 비해 그 비중이 각각 7.3%p, 6.1%p 감소함.

- 2002년과 비교했을 때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한 3대 품목은 HS-15 (9.0%p 증가), HS-04(낙농품・조란・천연꿀; 2.7%p 증가), HS-22(음료 주류; 1.8%p 증가) 순임.

- 연평균 증가율(2002~2014년 기준)에서는 HS-04(30.3%)가 가장 빠 른 속도로 수입이 증가했으며, 그 뒤를 이어 HS-22(29.0%)와 HS-19 (제과제빵류; 28.1%)가 높은 증가율을 기록함. 반면에 HS-05(기타 동물성 생산품)는 8.1%로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함.

○ 중국 농식품 소비시장에서 농식품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로 증 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13년 10.6%까지 수입 농식품의 비 중이 확대됨.

- 2005년 수입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1,819억 위안으로 전체 농식품 시장(2조 2,128억 위안) 중에서 8.2%의 비중을 차지함.

-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수입이 급감하면서 2009년 수입 농식 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8.5%로 급감하였으나, 안정적인 경제성장과 소득증대를 바탕으로 2010년에 금융위기 이전 수준(10.1%)으로 빠 르게 회복함.

- 이후 비중이 소폭 증가하면서 2013년 기준으로 약 6조 위안에 달하 는 전체 농식품 시장 가운데 수입 농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6%(6,243억 위안)를 차지함.

그림 3-4. 중국의 농식품 시장 내 수입농식품 비중(2005~2013년)

주: 농식품 시장 규모는 도시와 농촌지역의 1인당 식품지출액과 인구수를 이용하여 계산함; 농식품 수입액은 연평균 위안화 환율을 이용하여 위안화로 환산함.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stat.kita.net); 國家統計局(각 연도),뺷中國統計年鑒뺸.

 주요 국가별 농식품 수입 동향

○ 중국의 주요 농식품 수입 상대국은 2014년 수입액 기준으로 미국, 브 라질, 뉴질랜드, 캐나다 등의 국가들임.

- 미국은 중국 최대의 농식품 수입 상대국으로, 2014년 대(對) 미국 수입액이 258억 달러에 달했으며, 중국 수입 농식품 시장에서 미국

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23.8%에 달함.

- 미국의 뒤를 이어 브라질(213억 달러, 19.7%), 뉴질랜드(62억 달러, 5.7%), 캐나다(52억 달러, 4.8%), 태국(48억 달러, 4.5%)이 2~5위를 차지함.

- 상위 10개국 가운데 뉴질랜드(2.2%p), 호주(1.1%p), 태국(0.4%p)의 중국 내 수입시장 점유율이 다소 상승한 반면, 미국, 브라질 등 대 부분의 국가는 점유율이 다소 하락함.

- 농식품 수입 상대국 상위 10개국의 중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의 점유율은 76.1%였으며, 이는 2012년에 비해 3%p 하락한 수준임.

- 중국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4년 기준 0.7%(7억 5,300만 달러)를 기록해 20위를 차지함. 이는 2012년의 수입시장 점유율과 동일한 수준임.

- 2012~2014년간 중국의 국가별 수입 증가율(연평균 기준)을 보면 뉴질 랜드로(38.7%)부터의 농식품 수입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그 다 음으로는 호주(26.7%), 태국(14.0%)으로부터의 수입이 빠르게 증가함.

- 한국으로부터의 농식품 수입 증가율도 10.8%로 비교적 높은 수준 을 보임.

- 중국은 태국과 호주를 제외하고 상위 10개국 대부분의 국가로부터 단일 품목에 편중된 농식품 수입이 이뤄지고 있는데, 미국, 브라질, 캐나다, 아르헨티나와는 HS-12(채유용 종자 및 공업용・사료용 식 물), 인도네시아아 말레이시아와는 HS-15(동・식물성 유지), 뉴질랜 드와는 HS-04(낙농품・조란・천연꿀), 프랑스와는 HS-22(음료・주류) 에 집중된 수입구조를 보임.

표 3-2. 중국의 주요 농식품 수입국

순위 국가

2012년 2014년

증가율(%) 주요 수입품 (HS-2단위 기준) (백만 달러)수입액 비중

(%) 수입액

(백만 달러) 비중 (%)

- 농식품수입 총액 92,121 100.0 108,266 100.0 8.4

-1 미국 23,610 25.6 25,760 23.8 4.5 HS12(65.3), HS10(8.1), HS23(8.1), HS03(4.6) 2 브라질 17,824 19.3 21,317 19.7 9.4 HS12(88.1), HS17(4.0),

HS02(2.6), HS15(2.5) 3 뉴질랜드 3,231 3.5 6,216 5.7 38.7 HS04(67.0), HS02(14.6), HS03(5.8), HS01(4.0)

4 캐나다 5,105 5.5 5,235 4.8 1.3 HS12(60.2), HS15(11.4), HS03(8.8), HS10(6.1)

5 태국 3,740 4.1 4,858 4.5 14.0 HS07(35.6), HS08(22.7), HS11(14.9), HS10(10.0)

6 호주 2,921 3.2 4,693 4.3 26.7 HS10(36.8), HS02(22.6), HS12(7.9), HS04(6.8)

7 아르헨티나 5,045 5.5 4,465 4.1 -5.9 HS12(75.7), HS15(12.4), HS02(3.2), HS24(2.7)

8 인도네시아 4,613 5.0 3,886 3.6 -8.2 HS15(76.6), HS03(5.7), HS12(5.2), HS19(2.7)

9 말레이시아 4,279 4.6 3,341 3.1 -11.6 HS15(80.2), HS19(4.6), HS21(3.7), HS18(3.2)

10 프랑스 2,504 2.7 2,623 2.4 2.4 HS22(53.4), HS04(13.2), HS10(8.8), HS19(7.3) - 10개국 소계 72,870 79.1 82,395 76.1 6.3

-20 한국 613 0.7 753 0.7 10.8 HS19(17.3), HS17(17.0), HS03(14.3), HS21(13.5) 주: 순위는 2014년도 수입액 기준임; 증가율은 2012~2014년의 연평균 증가율을 표시함; 주요 수출품

의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국가의 대 중국 농식품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무역통계(stat.kita.net).

 품목별 농식품 수입 동향

○ 농식품을 신선 농식품과 가공 농식품으로 구분할 때, 중국의 농식품 수입은 신선 농식품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신선 농식품의 수입 비중 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 신선 농식품과 가공 농식품의 수입 비중은 02/04년(3년 평균) 49.2%와 50.8%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12/14년(3년 평균)에는 신 선 농식품이 55.9%로 그 비중이 확대됨.

- 2002~2014년간 연평균 증가율에서도 신선 농식품(24.6%)이 가공 농식품(18.8%)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임.

- 12/14년(3년 평균) 수입액을 기준으로 할 때, 가공 농식품 중에서는 기타 가공식품이 전체 농식품 수입액 대비 23.6%로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했으며, 그 외 냉동식품류(9.4%), 유제품류(7.1%)가 큰 비중 을 차지함.

- 가공 농식품 가운데 유제품에 대한 수입이 빠르게 증가해 연평균 29.3%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제과스낵류(28.8%), 주류(28.6%), 통조 림류(27.6%)에 대한 수입 증가율도 매우 높은 수준을 보임.

- 유제품과 주류의 수입이 크게 증가해 수입 비중을 확대함. 02/04년 (3년 평균)과 비교했을 때, 기타 가공식품과 냉동식품류의 비중이 각각 8.0%p, 4.0%p 감소한 반면에 유제품류와 주류의 비중은 각각 3.8%p, 1.7%p 증가함.

- 제과스낵류와 통조림류의 경우 높은 수입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수 입액 규모가 작아서 전체 수입액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에는 큰 변 화가 없음.

<중국의 식량 수입량, N자형으로 증가>

○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식량(밀, 쌀, 옥수수, 수수, 보리 등) 수입량은 증 가-하락-증가의 ‘N’자형 증가 추세를 보임.

○ 1978~1996년 중국의 식량 수입량은 연평균 1,000만 톤 이상에 달하였음.

이 시기에는 주로 밀을 수입했는데, 1989년 밀 수입량은 1,500만 톤으로 달해 중국 내 밀 생산량의 1/6에 달했음.

○ 1996년 이후 중국의 대두시장이 개방되면서 대두 수입량이 점차 증가함.

그러나 식량정책의 변화와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국내 자원이 식량생산 부문으로 이전・집중됨으로써 국내 식량생산 능력이 빠르게 제고되어 식 량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함.

○ 2010년부터 중국의 축산업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옥수수 수입량이 가 파르게 증가하면서 식량 수입량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中國新聞網(2014.8.8.), 「中國糧食進口近年呈現“N”字型增長」.

○ 농식품을 농산물과, 수산물, 축산물로 구분할 때 중국의 수입은 농산

○ 농식품을 농산물과, 수산물, 축산물로 구분할 때 중국의 수입은 농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