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식품 소비시장

2. 중국의 농식품 산업 및 소비시장

2.2. 농식품 소비시장

 중국의 농식품 시장 규모

○ 중국의 농식품 시장은 소득증대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중산층 증가, 지역 간 균형발전전략 추진에 따른 내륙지역의 소 득증대 및 내수규모 확대, 소득증가에 따른 농식품 소비의 고급화 등 으로 시장잠재력이 큰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최근 중국 농식품 소비시장은 장기간 지속되는 경제성장의 영 향으로 소득과 소비의 빠른 증가와 더불어 그 규모가 빠르게 확대 되고 있음.

- 2000~2013년 도시지역 1인당 가처분소득은 6,280위안에서 26,955 위안으로 11.9%의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같은 기간 농촌

7) 2001년에 발표된 중앙18호 문건에서는 농촌토지의 임차과정에서 기업이 농촌의 토 지를 장기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업이 대규모의 토지를 임차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명시하고 있음.

지역 1인당 순소득은 2,253위안에서 8,896위안으로 연평균 11.1%

의 증가율을 기록함.

○ 2000년 이후 11%를 상회하는 높은 소득증가율을 보이면서 농식품에 대한 소비지출액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도시지역의 1인당 식품소비지출액은 2000년 1,971위안에서 2013년 6,312위안으로 3.0배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농촌지역의 1인당 식품소비지출액은 464위안에서 2,054위안으로 4.4배 증가함.

- 농촌지역의 경우 2000~2013년 소득과 식품소비지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11.1%와 12.1%로 식품소비지출액의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높음.

- 도시지역의 경우 같은 기간 소득과 식품소비지출액의 연평균 소득 증가율은 각각 11.9%와 9.4%로 식품소비지출액의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의 식품소비지출액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면서 도시와 농촌지역의 1인당 식품소비지출액의 격차는 2000년 4.25:1에서 2013년 3.07:1로 축소됨.

-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2000~2013년 소비지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은 각각 10.4%와 12.7%로, 식품소비지출액 증가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남. 이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소비지출총액에서 식품소비지출 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낮아지는 엥겔의 법칙이 적용된 결과임.

그림 2-3. 도시와 농촌지역의 1인당 식품소비지출액 추이

자료: 국가통계국(www.stats.gov.cn)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그림 2-4. 성별 식품소비시장 규모(좌) 및 도시지역 1인당 식품소비지출액(우)(2013년)

자료: 국가통계국(2013), 중국통계연감을 이용하여 저자 작성.

○ 중국에서는 농식품 소비시장의 규모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별도로 발 표하지 않고 있음. 따라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1인당 식품소비지 출액과 인구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농식 품 소비시장의 규모를 계산하고 이를 합산하여 중국 전체 농식품 소 비시장(이하 ‘농식품 시장’으로 표기함)의 규모를 추산하였음.

- 추산 결과 중국의 전체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2013년 말 기준으로 약 5.9조 위안에 달하였으며, 그중 도시지역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4.6조 위안으로 78.1%를 차지함.

- 중국 농식품 시장의 규모는 2000~2013년에 연평균 12.5%의 증가 율을 보였으며, 특히 도시지역(13.4%)이 농촌지역(10.0%)에 비해 농 식품 시장의 규모가 더 빠르게 증가함.

그림 2-5. 중국의 농식품 시장 규모

자료: 국가통계국(www.stats.gov.cn)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 2013년 도시지역의 농식품 시장 규모는 2000년 대비 약 5.1배 늘어났 으며, 같은 기간 약 2.4배 증가한 농촌지역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중국 전체 농식품 시장의 규모 확대를 주도함.

- 이는 도시화에 따른 도시인구의 증가, 농촌지역보다 높은 도시지역 의 식품소비지출액에 기인함.

- 도시와 농촌 간 3.03:1에 달하는 소득격차(2013년 가처분소득 기준) 가 존재하고 있고,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도시화정책 실시와 이에 따른 도시인구의 지속적인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향후에도 도시지역 농식품 시장의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8)

그림 2-6. 중국 권역별 농식품 시장 규모 및 비중(2013년)

자료: 국가통계국(www.stats.gov.cn) 자료를 바탕으로 저자 작성.

8) 국무원 발전연구센터(DRC)는 중국의 도시화가 농민의 소득 증대와 생활수준의 향 상을 가져와 농식품 수요의 확대와 고급화에 기여하는 한편 농경지의 감소를 초래 해 농식품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음.

○ 중국 농식품 시장의 규모를 각 권역별로 비교했을 때 동부연해지역의 농식품 시장규모는 2조 4,933억 위안으로 가장 크며, 서북부 경제낙후 지역의 농식품 시장규모는 3,055억 위안으로 가장 작음.

- 각 권역별로 중국 농식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동부연해지역 이 4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은 중부 신흥성 장지역(23.8%), 서남부 성장잠재지역(15.2%), 산둥성 및 동북3성지 역(14.2%), 서북부 경제낙후지역(5.1%) 순임.9)

- 특히 중국 내에서 경제발전 수준이 가장 높은 동부연해지역은 농식 품 시장의 비중이 인구비중(30.3%)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 이 지역 의 농식품 소비가 높은 소득수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줌.

- 반면 중부 신흥지역의 경우 농식품 시장의 비중이 인구비중(29.3%) 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볼 때, 이 지역의 농식품 시장 규모가 크 게 나타나는 것은 많은 인구수에 기인함.

 권역별・성(省)별 농식품 산업과 소비시장의 비교

○ 농식품 생산액(매출액 기준)과 농식품 소비시장에서 각 권역이 차지 하는 비중을 비교함으로써 농식품 산업과 농식품 소비시장의 지역별 구조를 파악함.

- 농식품 생산에서는 산둥・동북3성지역(31.5%)이 가장 큰 비중을 차 지하고 있으며, 반면에 농식품 소비에서는 동부연해지역(41.7%)이

9) 각 지역별 인구 비중(2013년 기준)은 △동부연해지역 30.3%, △산둥・동북3성지역 15.2%, △중부 신흥성장지역 29.3%, △서남부 성장잠재지역 18.3%, △서북부 경제 낙후지역 6.5%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중부 신흥성장지역은 생산(26.4%) 과 소비(23.8%)에서 모두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함.

- 서북부 경제낙후지역은 생산(4.1%)과 소비(5.1%) 모두 5대 권역 중 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가장 작은 인구 규모, 낮은 소득수준, 농식품 산업 발전의 지체 등이 주요 원인임.

- 생산과 소비의 비중을 비교할 때 산둥・동북3성지역, 중부 신흥성장 지역은 생산 비중이 소비 비중을 초과함. 즉, 이들 지역은 역내에서 생산한 농식품 중 일부를 다른 지역으로 공급하는 농식품 순 유출 지역임. 특히 산둥・동북3성지역의 경우 두 비중의 격차가 17.3%p 에 달함.

- 반면에 동부연해지역, 서남부 성장잠재지역, 서북부 경제낙후지역 은 소비 비중이 생산 비중을 초과하는 농식품 순 유입지역임. 특 히 두 비중의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동부연해지역으로 15.3%p에 달함.

- 서남부 성장잠재지역과 서북부 경제낙후지역은 5대 권역 중에서 농식품 소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농식품 산업의 발전 수준과 생산 비중이 낮아 농식품 순 유입지역으로 분 류됨.

농식품 생산(2012년) 농식품 소비(2013년) 생산과 소비 비중의 격차

농식품산업 매출액 비중 농식품 소비지출액 비중

산둥 13,808 16.9 4,002 6.7 10.2

하남 6,803 8.3 2,929 4.9 3.5

요녕 5,460 6.7 2,026 3.4 3.3

길림 3,450 4.2 970 1.6 2.6

호북 4,781 5.9 2,425 4.1 1.8

흑룡강 2,953 3.6 1,478 2.5 1.2

사천 5,048 6.2 3,168 5.3 0.9

내몽고 2,110 2.6 1,113 1.9 0.7

천진 1,874 2.3 1,051 1.8 0.5

복건 3,197 3.9 2,167 3.6 0.3

광서 2,204 2.7 1,634 2.7 0.0

그림 2-7. 중국 권역별 농식품 생산 및 소비의 비중

주: 농식품 생산의 비중은 2012년, 농식품 소비의 비중은 2013년 기준임.

자료: 국가통계국(www.stats.gov.cn) 및 뺷中國食品工業年鑒(2011~2013)뺸 자료를 이용하여 저자 작성.

표 2-7. 지역(省)별 농식품 생산 및 소비 비중의 격차

(단위: 억 위안, %, %p)

농식품 생산(2012년) 농식품 소비(2013년) 생산과 소비

- 반면, 소비 비중이 생산 비중을 초과하는 농식품 순 유입지역 가운 데 두 비중의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광둥으로 7.0%p에 달함.

 식품소비구조의 변화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인들의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칼로 리 섭취량과 구성 요소별 비중에도 변화가 나타남.

- 1990년 중국의 1인당 칼로리 섭취량은 세계 평균(2,619㎉)보다 낮 은 2,502㎉(1일 평균 기준) 수준이었으나, 2011년에는 세계 평균보 다 1.1배 높은 3,073㎉로 증가함.

- 1일 평균 섭취량도 1990년 1,193g에서 2011년 2,368g으로 2.0배 증 가하였음. 구성 요소별로는 곡물 섭취량이 473g에서 418g으로 감 소한 반면, 채소 등 기타 농산물 섭취량이 496g에서 1,335g으로 크 게 증가함.

- 칼로리 섭취량의 구성 요소별 비중에서도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곡물을 통한 칼로리 섭취 비중이 65%에서 47%로 감소한 반면, 육류(9%→17%), 유제품(2%→6%) 등 동물성 단백질의 비중이 비교 적 크게 증가하면서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10)

- 2011년을 기준으로 중국의 육류를 통한 칼로리 섭취량은 509㎉

(17%)로 미국의 469㎉(13%)보다 높은 수준임. 반면 당류 및 지방을

10) 2011년 세계 평균 1인당 영양 섭취량(2,870㎉)의 구성 요소별 비중은 곡물 45%

(1,296㎉), 당류 및 지방 20%(570㎉), 농산물 11%(327㎉), 유제품 및 조란 8% (235

㎉), 육류 9%(272㎉), 기타 6%(170㎉)였음.

통한 칼로리 섭취량의 경우 중국은 338㎉(11%)로 미국의 1,342㎉

(37%)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그 비중에서도 한국 (26%)이나 세계 평균(20%)보다 낮은 수준을 보임.

그림 2-8. 중국 1인당 영양 섭취량 및 비중(1990년 vs 2011년)

자료: FAO(http://faostat3.fao.org).

○ 소득 증대, 식생활 습관 서구화 등의 영향으로 세부 품목별 식품소비 지출액의 비중에도 변화가 나타남(도시지역 기준).

- 식품소비지출액은 2000년 1,958위안에서 2012년 6,041위안으로 3.1 배(연평균 증가율 9.8%) 증가함.

- 그러나 가처분소득 대비 식품소비지출액의 비중(엥겔계수)은 2000 년 31.4%에서 24.6%로 감소함.

- 세부 품목별 소비지출액의 증가 폭이 가장 큰 품목은 우유 및 유제 품으로 연평균 11.5% 상승하였으며, 그 다음은 과일류(10.6%), 채 소(9.8%), 제과 및 제빵류(9.4%), 육류 및 가금육(9.2%) 순임.

- 2000년과 2012년 세부 품목별 비중을 비교하면, 식량의 비중이 가 장 크게 감소(-2.0%p)하였으며, 1인당 연간 구매량도 2000년 82.3㎏

에서 78.8㎏으로 감소함.

- 육류 및 가금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1.4%p 하락하여 식량 다음으로 큰 하락폭을 보임. 그러나 1인당 구매량(돼지고기, 소・양고기, 가금 육의 합)은 2000년 25.5㎏에서 2012년 35.7㎏으로 증가함.11) - 반면,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소비지출 비중은 0.7%p 상승하였으

며, 연간 구매량(신선우유)도 2000년 9.9㎏에서 2012년 14.0㎏으로

며, 연간 구매량(신선우유)도 2000년 9.9㎏에서 2012년 14.0㎏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