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구제역 및 축산업 발전 방안 연구

○ 이병오 외(2011)는 2011년 발생한 구제역의 발생현황과 영향을 분석하였으 며, 방역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음. 또한 녹색 선진축산 시스템 구축을 위해 친환경 축산과 소비자 중심의 축산시스템 개발을 제시함.

○ 정민국 외(2010)는 축산계열화의 평가와 발전 방안 수립을 위해 축산계열화 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현황을 분석함. 또한 계열업체와 농가 조사를 통하 여 축산계열화 추진 현황과 계열화 수준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계열화의 성 과를 평가함으로써 국내 축산 계열화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

○ 정민국 외(2011)는 국내 방역체계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 방역체계 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방역체계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축산 농가,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방역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함.

분석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국내 방역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함.

○ 최영찬 외(2011)는 유럽 양돈선진국인 덴마크를 중심으로 양돈산업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양돈산업의 생산, 가공/유통, 지원조직/정책/제도 등에 대해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양돈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함.

2.2. FTA 관련 축산물 시장 전망 연구

○ 우병준 외(2010)는 FTA에 대비한 축산물 유통·물류 체계 선진화 방안에 대 해 연구함. 국내 축산물 유통·물류 체계와 농협 및 조합의 물류체계의 현황

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선진화 방안으로 수도권 축산물 종합유통센터 건립 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이의 타당성 분석과 운영계획을 수립하였음.

○ 정경수(2004)는 1976년부터 2004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쇠고기 시장개방이 국내시장가격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가격 변동성 모형과 한우송아지 생산안정성 모형을 구성하고 실증분석을 실시 함. 이 연구에서는 쇠고기 시장의 개방정도가 확대되면서 국내 쇠고기 가격 의 변동성은 감소하였으나 생산기반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됨.

○ 정민국 외(2005)는 축산관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FAPRI(미주리대 학)와 공동으로 ‘Quarterly Livestock Model’을 개발함. 이 모델은 육류간 대 체관계와 축종별 생태방정식을 고려한 연립방정식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외생적 충격이 수급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함.

이 모델의 시뮬레이션은 엑셀(EXCEL)을 통하여 구동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용이 편리함.

○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2006)는 소 및 쇠고기, 돼지 및 돼지고기, 육계 및 닭고기, 그리고 수입축산물에 대해서 유통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 시함. 이 연구에서는 가축경로별 유통주체 및 점유율, 농가의 출하형태별 경제성, 축산물(육류)의 유통경로별 유통 주체와 점유비율, 축산물의 유통 단계별 유통 형태 및 비용(이윤), 육가공업체의 구매 및 판매실태, 중간 유 통업체의 거래와 운영현황, 소매단계의 유통 마진 등을 조사함. 수입 축산 물에 대해서는 수입 축산물의 유통경로, 수입 축산물의 비용과 이윤, 수입 업체의 업체 형태, 수입물량과 시기를 결정하는 요인, 유통단계별 가격, 수 입 축산물의 부위별 가격 및 지수 등을 조사함. 그리고 축산물 유통 선진화 를 위한 법적, 제도적 개선 사항을 제시함.

2.3.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분석 및 유통 개선 연구

쇠고기 구매실태 및 지불의향수준을 파악하여 한우고기의 시장 차별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함. 이 연구에서는 한우고기에 대한 최대 소비자 지불의 향(WTP)은 수입쇠고기보다 1등급 등심과 갈비의 경우 1.8배 높고, 소득수 준이 높을수록 지불의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한우고기가 차별화되 기 위해서는 고급육 생산의 증가와 생산비 절감, 안전성 제고와 정보 제공 의 강화, 부정 유통의 차단, 쇠고기 유통 및 소비 관련 데이터의 정비·확대 가 필요함을 주장함.

○ 허길행 외(1997)는 유통환경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양곡, 축산물, 수산물 유통의 과제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함. 이 중에서 축 산물유통과 관련하여 가축시장의 영세한 구조와 도매시장의 기능 활성화의 어려움 등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으로 산지유통의 시설 및 정보서비스 기능 의 강화, 부분육유통센터 특화, 육류판매점 시설 기준의 강화 등을 제시하 였으며, 축산물유통기능을 활성화를 위한 표준규격화, 포장판매, 냉장육 유 통체제 도입 촉진 등을 제시함.

2.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구제역 관련 방역체계 개선, 축산물 수급모형 개 발 등과 관련하여 축산부문 전체를 다루거나 주로 한우를 중심으로 연구됨.

○ 구제역 발생과 수입자유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와 관련한 국내산 돼지고기 시장 확보를 위한 연구는 없었음.

○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 시장을 중심으로 구제역과 할당관세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 FTA 이후 돼지고기 수급 전망과 소비트렌드를 분석하여, 향후 국내산 돼지고기의 시장 확보를 위한 정책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