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의 평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68)

앞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를 통해 문제음주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살펴보았고 또한, 문제음주가 우울과 가족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성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변화하고 개선되어야 할 문제음주, 우울, 가족갈등의 영향요인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과 가족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국내․

외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음주와 우울이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음주가 우울에 선행한다는 연구(강상경․권태연, 2008)와 문제음주의 경향이 높을수록 우 울은 높아진다는 연구(권현수․성희자, 2010) 결과가 있다. 중년 여성의 우울은 문 제음주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송진영, 2014)와도 맥 락을 같이 하고 있다.

한국복지패널 6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한 연구(엄순옥․문제우, 2015)에서 문제음주가 가족갈등을 일으키고 우울을 증가시키며 결국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족갈등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요인 이라는 결과도 보여주었다.

문제음주로 인해 가정뿐만 아니라 직장과 사회에서 역할과 지위 상실 등을 경 험하게 되면서 자존감이 낮아지고 음주를 통제하는 능력이 상실되면서 문제음주 가 반복되는 재발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가 죄책감, 수치심이 동반되면서 자기 비난으로 이어져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결고리를 형성하게 된다(박현숙․도 은영, 1999)는 연구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문제음주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고재욱․이동열, 2011;

홍인옥, 2011)결과에서 보듯이, 결국 문제음주는 가족갈등과 우울, 불안과 긴장, 무력감을 초래해 가족의 성장을 방해할 뿐 아니라 가족 모두를 고통에 빠뜨리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박태영․박진영, 2011) 가족 구성원의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사회적․국가적 과제임이 틀림없다.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문제음주와 우울 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결과, 음주량과 우울 수준 간에 양방향 경로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 하게 우울 수준이 증가할수록 음주량도 증가하였으며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우울 수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상경․권태연, 2008).

우울 수준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울 수준과 음주 행위 관계에 관한 연구들도 점차 횡단연구, 종단연구 모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성인 대상이 아닌 임상적 우울 집단 또는 알코올 중독 환자들을 대 상으로 음주 행위와 우울 수준 관계에 관한 횡단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나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다수 있으나 지역사 회 일반 비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문제음주와 우울 수준의 변화와 변수 간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종단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양상을 큰 그림으로 이해하려면 음주 요인에 관한 다양 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연구방법의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회귀분석 및 구조방 정식 모형을 분석한 횡단연구에서 구조방정식 등을 활용한 종단연구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주는 다양한 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음주 관련 요인들의 인 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히기는 어렵다. 따라서 음주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간적인 변화 추이 파악이 어렵고, 특히 음주율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인지 감소 추세인지

불규칙한 모양인지 파악하려면 종단분석이 필요하며,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와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생애주기 집단별로 구분하여 장기간에 변화추이 를 각각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내 종단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노인, 청소년 등 특정 대상을 중심으로 한 종단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전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패널 분석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제 3 장 연구설계

제1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