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0)

음주에 대해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음주 결정요인 모형을 제시한 국제알코올정 책연구소(ICAP: International Center for Alcohol Policies, 2009)에서는 유전적 소인, 개인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사회경제적 지위, 대인관계 등), 환경적 특성 (사회규범 등)이 음주 행위에 영향을 준다고 제시하였다. 유전적 소인은 부모로 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와 관련된 것이며, 개인의 특성은 성격, 연령, 알코올에 대 한 기대, 음주 동기, 정신건강 등이 있다. 이 중 정서적 문제가 문제음주로 이어 져, 우울,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문제로 인한 증상을 회피하고자 하는 대 응 전략으로 과음을 선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Pherson & Martin, 2011;

Smith & Randall, 2012). 과도한 음주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사회적으로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Moos et al., 2004; Rehm et al., 2003).

문제음주자의 삶의 만족도를 다른 질병이 있는 환자들과 비교한 조사연구에 의하면 문제음주자의 삶의 만족도가 혈관 질환, 폐 질환, 암 환자보다도 낮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단주하였을 때는 과거와 비교하여 삶의 만족도가 향상 되었다(Foster et al., 2000). 따라서 문제음주는 신체, 가족, 정신적, 사회․심리적 으로 다양한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와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문제음주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문제음주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와 일정 집단에서만 영향을 준다는 연구로 구분된다.

다음에서 생애주기 집단별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 청년기에 관한 연구

청년기 대상 외국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청년들의 음주 사용의 유의미한 예 측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Hong & Faedda, 1996)가 있고 물질오용 혹은 남용이 인 간 삶의 다양한 영역들에서 발생하는 좌절 때문에 발생 된다고 설명하면서 삶의 만 족도가 낮은 사람들이 음주하는 확률이 높다고 보고하였다(Cox & Klinger, 2002).

청년기 초기인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대학생의 문제음주가 대학 생활 만족도와 삶의 행복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 며 대학 생활 만족도와 삶의 행복도가 높을수록 문제음주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천성수, 2002). 또한, 대학생의 폭음 수준이 낮을수록 목표, 의미 중요성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연구가 있다(임수경․이민규, 2017). 청년기 대 상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20대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개인의 성향, 스트레스, 목표 선택, 미래계획, 부모와 동료에 대한 애착 등이 삶의 만족도와 함 께 연구되었다(차경호, 1999; 김명소․임지영, 2003; 김현정․손정락, 2006; 고영 남, 2011; 김양희 외, 2011; 양난미․이은경, 2012).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 집단에서 폭음이 높게 나타난 것은 대학생 음주 가 집단을 통해 이루어지고 동아리 모임, 학과 행사, 신입생 환영회 등 집단 내 행사나 모임에서 이루어지며 이런 상황에서 음주나 폭음을 강요하는 사회적 압 력이 일부 작용하는 것(남정자, 2002)이 원인이며 이렇게 잘못된 대학생 음주문 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음주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중․장년기에 관한 연구

중․장년기 대상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성인 여성 전체를 대상으로 한 윤명숙 과 김성혜(2010)의 연구에서 문제음주와 생활 만족도는 부정적인 영향 관계가 있 었다. 장년기인 30~4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다중역할, 직무 상황 중심 요인, 여가 참여 등 요인들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성이 주로 다루어졌다 (김금운․윤가현, 1998; 최성근, 2006; 송대진, 2008).

중년 여성의 경우에는 문제음주가 생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현경 외, 2012) 연구와, 생활 만족도와 문제음주 간에 양방향으로 부정적인 영

향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연구(Foster et al., 2002)가 있다. 중년 여성의 문제음 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사이에 초기값과 변화율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종단연구(허만세․손지아, 2011)도 있다.

문제음주가 중년 남성의 삶의 만족도를 낮아지게 한다는 여러 연구(박병선 외, 2011; 박재홍․정지홍, 2010; 윤명숙, 2007)는 같은 결과이다. 더불어 문제음주가 우울과 양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손애리, 2010; 강상경․권태연, 2008; 권현수․

성희자, 2010; 박여진, 2013)도 있다. 그러나 중년기의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에서 여성을 제외한 남성만 문제음주가 우울을 매개로 그들의 삶의 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된 연구(김지훈 외, 2013)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50대 이상인 중년기 대상 연구에서는 중년기 부부의 애착유형, 건강상태, 여가 활동 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성이 연구된 바 있다(김민희․민경환, 2007; 김 나영․정영숙, 2011: 류승아 외, 2011). 연구 결과, 중년기는 신체적․환경적 변화 에 따른 위기 과정을 겪게 되면서 사회적․심리적으로 사회와 가족 내에서 역할 이 변화됨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중년기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활동으로 음주가 잦은 남성과 달리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 정서적 문제를 술로 푸는 경우가 많다. 스트레스를 풀려고 혹은 자식 을 출가시킨 뒤 상실감을 해소하려고 부엌에서 혼자 술잔을 기울이는 키친 드렁 커(kitchen drunker)나, 빈 둥지 증후군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비는 시간을 보내는 방편으로 술을 마시는 행태가 늘어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김지미 외, 2002;

도은영 외, 2009).

중․장년기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중년기는 생물학적인 신체의 변화와 개 인의 심리적 문제, 가족 주기 등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시기로 스트레스나 정서 적인 문제를 음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문제음주가 증가하고 문제음주는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다. 노년기에 관한 연구

노년기 문제음주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노인의 음주는 성인보다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소외감, 우울 심화로 자살 생각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권현수, 2009; 윤명숙․조혜정, 2007). 노년기 연구에서도 보편적인 정신건강 요인인 우울은 문제음주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권중돈 외, 2012; 김혜경․서경현, 2008), 노인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에서는 비 빈곤 노인보다 빈곤 노인이 문제음주 수준과 우울감이 더 높았고, 노인 문제음주 는 우울을 매개로 빈곤 노인 집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권현수, 2009).

퇴직 후 노인들은 수입의 감소, 사회적 역할의 상실, 소외감과 고독감, 만성질 환, 배우자 사별 등의 다양한 생활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자기 비난, 고립, 무력 감, 우울까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매일 음주와 폭음을 하는 경향이 나타나거나 과거에 가지고 있던 음주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하였다(전미애․이종한, 2005: 장인순, 2008).

최근 고령화 사회로 인한 노년기 우울이 증가하면서 우울로 인한 자살로 이어 지는 경우가 많아 노인 자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년기 장애인의 경우에서도 문제음주와 우울은 상호 교환적인 관계이며 우울이 음주의 선행요인 이라고 보고되었다(윤명숙․정은혜, 2019).

노년기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노년기의 음주는 성인보다 신체적 건강에 부정 적 영향을 주고 소외감, 우울까지 심각해지게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자살 생각 등 에 영향을 미쳐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생애주기 중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수입의 감소, 사회적 역할의 상실, 소외감과 고독감, 만성질 환, 배우자 사별 등의 다양한 생활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음주를 통해 무력감, 고 립, 자기 비난, 우울 등을 해소하려다 문제음주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국․외 선행연구에서 문제음주는 생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고 보고되고 있으며(Strine et al., 2008), 횡단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연구에서도 우 울과 음주가 영향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전해숙․강상경, 2009).

앞에서 살펴본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생 애주기별 모든 연령층에서 문제음주는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이며, 우울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제음주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 중 우울과 가족갈등 요인은 생애주기별 네 집단에서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을 생애주기별로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과 가족갈등의 매개효

과를 확인하는 종단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