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수의 기술통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98)

한국복지패널에서 문제음주, 삶의 만족도, 우울, 가족갈등에 대한 설문이 2005 년부터 매년 조사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음주, 삶의 만족도, 우울, 가족갈등 설문 자료 중 11차년도, 12차년도, 13차년도 자료를 1차, 2차, 3차 시점으로 적용 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시점별 기술통계를 살펴보고 모형별 적합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 로 모든 변화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224, N=10,160)=8468.817, <.001, TLI=.917, CFI=.927, RMSEA=.059로 적합도의 조건을 충족하였다.

가. 문제음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문제음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각 조사 시점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다. 문제음주는 1차 시점 2.4239점에서 3차 시점 2.3304점으 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평균값이 낮아졌으며, 왜도는 절대값 3 미만, 첨도는 10 미만으로 정규성을 충족하였다.

문제음주 측정 결과, 전체집단의 2016년 1,362명(13.4%), 2017년 1,346명 (13.3%), 2018년 1,293명(12.7%)이 문제성 음주, 알코올 남용, 알코올 의존으로 조 사되었다. 생애주기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면 장년기에서 문제성 음주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제음주 평균값의 변화 경향 및 측정 시점별 기술통계 분 석 결과는 다음<표 4-2>과 같다.

청년기 만 20세∼34세

(N=1,126명)

평균 3.3499 3.4716 3.5488

표준편차 3.33095 3.40360 3.44826

첨도 -.873 -.928 -.971

왜도 .586 .569 .549

문제성 음주 이상 162명(14.4%) 182명(16.2%) 199명(17.7%)

장년기 만 35세∼49세

(N=2,436명)

평균 3.7213 3.7635 3.7291

표준편차 3.82082 3.84450 3.81326

첨도 -1.120 -1.101 -1.055

왜도 .557 .573 .588

문제성 음주 이상 556명(22.8%) 574명(23.6%) 552명(22.7%)

중년기 만 50세∼64세

(N=2,500명)

평균 2.7964 2.7192 2.6072

표준편차 3.72189 3.62845 3.60018

첨도 -.359 -.245 -.035

왜도 1.036 1.064 1.148

문제성 음주 이상 422명(16.9%) 393명(15.7%) 370명(14.9%)

노년기 만 65세 이상

(N=4,098명)

평균 1.1711 1.0652 .9954

표준편차 2.58594 2.46398 2.38266

첨도 5.437 6.115 7.050

왜도 2.469 2.582 2.730

문제성 음주 이상 222명(5.4%) 197명(4.8%) 172명(4.2%)

나. 삶의 만족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조사 시점별 평 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1차 시점 21.1230점에서 3차 시점 20.9960점까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평균값이 낮아졌으며, 왜도는 절대값 3 미만, 첨도는 10 미만으로 정규성을 충족하였다. 삶의 만족도 평균값의 변화 및 측정 시점별 기술통계 분석 결과는 다음<표 4-3>과 같다.

<표 4-3> 삶의 만족도 기술통계

집단 구성 내용 11차 2016년 삶의 만족도

12차 2017년 삶의 만족도

13차 2018년 삶의 만족도

전체 (N=10,160명)

평균 21.1230 20.9954 20.9960

표준편차 3.19270 3.03107 3.00531

첨도 .673 .871 .749

왜도 -.457 -.569 -.559

청년기 만 20세∼만 34세

(N=1,126명)

평균 21.6341 21.6101 21.4867

표준편차 3.19016 3.04191 3.10459

첨도 1.237 .915 1.260

왜도 -.452 -.497 -.645

장년기 만 35세∼만 49세

(N=2,436명)

평균 21.6244 21.5246 21.4938

표준편차 3.10985 3.00960 3.03768

첨도 1.065 1.336 .984

왜도 -.454 -.628 -.582

중년기 만 50세∼만 64세

(N=2,500명)

평균 20.9840 20.8620 20.8760

표준편차 3.39310 3.08123 3.10697

첨도 .422 .490 .586

왜도 -.496 -.503 -.589

노년기 만 65세 이상

(N=4,098명)

평균 20.7694 20.5932 20.6384

표준편차 3.05818 2.93651 2.83309

첨도 .460 .910 .601

왜도 -.457 -.669 -.586

다. 우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우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조사 시점별 평균과 표 준편차를 확인하였다. 우울은 1차 시점 3.3599점에서 3차 시점 3.4571점까지 시간 의 경과에 따라 평균값이 높아졌으며, 왜도는 절대값 3 미만, 첨도는 10 미만으 로 정규성을 충족하였다. 우울 평균값의 변화 및 측정 시점별 기술통계 분석 결 과는 다음<표 4-4>과 같다.

<표 4-4> 우울 기술통계

집단 구성 내용 11차 2016년 우울

12차 2016년 우울

13차 2016년 우울

전체 (N=10,160명)

평균 3.3599 3.3534 3.4571

표준편차 4.45936 4.43163 4.44940

첨도 3.442 4.103 3.244

왜도 1.788 1.892 1.720

청년기 만 20세∼만 34세

(N=1,126명)

평균 2.3845 2.2824 2.2860

표준편차 3.84644 3.38942 3.59826

첨도 6.766 4.426 7.406

왜도 2.378 1.987 2.381

장년기 만 35세∼만 49세

(N=2,436명)

평균 1.8329 1.9598 2.0316

표준편차 3.01557 3.20882 3.30282

첨도 6.186 8.900 7.452

왜도 2.328 2.580 2.465

중년기 만 50세∼만 64세

(N=2,500명)

평균 2.8812 2.8964 2.9936

표준편차 4.14328 3.99109 4.23537

첨도 5.666 4.741 4.972

왜도 2.157 2.017 2.047

노년기 만 65세 이상

(N=4,098명)

평균 4.8277 4.7550 4.9090

표준편차 5.04266 5.11326 4.92792

첨도 1.442 2.231 1.448

왜도 1.276 1.471 1.224

<표 4-5> 가족갈등 기술통계

집단 구성 내용 11차 2016년 가족갈등

12차 2017년 가족갈등

13차 2018년 가족갈등

전체 (N=10,160명)

평균 7.6212 7.6200 7.5716

표준편차 2.50278 2.54228 2.56131

첨도 4.108 3.009 2.739

왜도 .905 .770 .750

청년기 만 20세∼만 34세

(N=1,126명)

평균 7.6581 7.5853 7.6874

표준편차 2.39617 2.34328 2.53683

첨도 5.693 3.279 2.880

왜도 1.761 1.251 1.363

장년기 만 35세∼만 49세

(N=2,436명)

평균 7.5681 7.7221 7.6379

표준편차 2.31376 2.43830 2.46142

첨도 5.392 3.757 2.289

왜도 1.441 1.235 1.046

중년기 만 50세∼만 64세

(N=2,500명)

평균 7.7032 7.6480 7.6608

표준편차 2.75313 2.65234 2.72747

첨도 4.142 2.804 2.942

왜도 .978 .754 .661

노년기 만 65세 이상

(N=4,098명)

평균 7.5925 7.5517 7.4458

표준편차 2.47859 2.58502 2.51684

첨도 2.781 2.623 2.607

왜도 .341 .454 .474

라. 가족갈등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족갈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조사 시점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다. 가족갈등은 1차 시점 7.6212점에서 3차 시점 7.5716점까 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평균값이 높아졌으며, 왜도는 절대값 3 미만, 첨도는 10 미만으로 정규성을 충족하였다. 가족갈등 평균값의 변화 및 측정 시점별 기술통 계 분석 결과는 다음<표 4-5>과 같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