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의 고찰

문서에서 2. 연구 목적 ...3 (페이지 32-36)

Ⅱ. 이론적 배경

5. 선행연구의 고찰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도 조사의 실증적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Hoppock(1935)의 초기 연구 이후, 60년대에 들어와서 교사 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만족도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다.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3가지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학교의 조직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연구 이다. 이러한 연구는 전성연(1982), 윤태덕(1988), 오영식(1992), 김연식 (1993)등의 연구가 있다. 전성연(1982)의 연구는 학교교육의 실정에 맞도 록 7개의 직무하위요인을 설정하고 전체직무만족점수를 단면직무만족점 수의 합으로 보고 개인특성, 학교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를 분석하 고 있다. 그의 연구에서는 주임교사가 평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중 학교 교사의 경우 초임부터 5년까지는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다가 16∼20 년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만족도가 감소되고,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는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윤태덕(1988)은 서울시 및 경기도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특

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에서 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보 다 직무만족도가 높고 연령에서는 20세에서 30세 전후반에는 직무만족도 가 높다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차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임교사보다는 평교사가,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는 공립 에 근무하는 교사가 직무만족도가 높다고 주장한다.

둘째는 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효과성 및 조직건강에 관한 연구들이다.

이러한 연구는 유장수(1994), 김태곤(1993), 최임춘(1993), 박래진(1993) 등 의 연구가 있다. 유장수(1993)는 학교조직건강과 교사직무만족과의 밀접 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학교조직건강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직무만 족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아실현요인과는 비교적 상관이 낮은 반면 향상기 회요인과는 비교적 상관이 높다고 말한다. 그리고 조직원의 능력과 학교 조직의 풍토적 특성이 교사직무만족을 크게 예측하는 요인이라고 주장한 다.

김태곤(1993)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교조직효과성과의 상관계수는 .564로 나타났으며 정적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한다. 교사의 직무만족 수준 은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높게 나타났고 경력별로는 15∼20년 미만의 교사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시지역 보다는 읍지역에서, 읍지역 보 다는 면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직효과성 수준 은 여교사보다 남교사가 높게 나타났고 경력별로는 15∼20년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는 학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이다. 이러 한 연구는 김순식(1993), 김인수(1994), 이성룡(1994), 장광호(1994)등의 연 구가 있다.

김순식(1993)의 연구는 교사들이 교장의 지도성 유형을 지시적, 설득적 으로 지각할 때 보다 참가적, 위양적이라고 지각할 때 직무만족도가 높으

며, 하위요인에서는 직무자체, 근무환경, 행정체제에서 더욱 높았다. 또한 교장의 지도성 유형이 지시적, 설득적, 참가적으로 지각할 때 보다 위양적 으로 지각할 때 인간관계와 인정지위 요인에서 더욱 높았다. 그러나 보상 과 전문성 신장에 대한 만족은 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를 대상으로한 직무만족도의 연구는 강성철(1984), 강정이 (1992), 강진철(1984), 김호(1988), 박명기(1994), 박재영(1987), 이경란 (1989), 차영태(1995)등이 있다.

강성철(1984)은 체육교사는 긍지, 만족, 타직종과의 비교면에 있어 교직 생활에 대하여 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정이(1992)는 체육교사와 타교과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에서 체육교 사는 수업부담, 잡무량, 교재교구의 확보 등은 타 교과교사에 비해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교내 인사행정의 합리성, 교장의 교사 불만사항 처리방법, 장학지도의 효율성, 승진제도, 승진기회, 승진기대, 교무 분장 업무, 교사 의 사회적 인식, 교과에 따른 사회적 인식은 타 교과교사보다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강진철(1984)은 체육교사들이 체육교육에 대한 교육적 사고나 능력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한 반면, 현직의 만족도와 이직 문제에 관해서는 상반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김호(1988)는 직업, 수업시간, 업무량, 봉급,현행 교과과정, 시설기구의 만족도를 연구하여 직업만족도에서는 미혼자, 연령이 낮을수록, 2급정교 사가 만족도가 높고 경력이 높을수록 낮다. 수업시간 만족도는 사립학교 근무교사가 만족도가 높다. 업무량의 만족도는 2급정교사, 주당수업시간 수가 적은 교사, 사립학교 교사의 만족도가 높다. 봉급의 만족도는 공립학 교 교사가 만족도가 높고, 경력이 낮을 수록 만족도가 낮다. 현행 교과과

정의 만족도는 사범계 출신 교사가 낮고, 공립학교 교사가 만족도가 높다.

시설기구의 만족도는 사립학교 교사, 시지역 근무교사가 만족도가 높다.

박명기(1994)는 전국의 중등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사의 역할수행 현황과 직업만족도 연구에서 수업량이 많을수록 교사의 만족도가 떨어지 고, 체육교사직 자체에 대한 불만족을 표시한 응답자들은 수업조건의 열 악함, 낮은 경제적 보상, 낮은 사회적 지위, 행정적 규제등을 들고 있다.

박재영(1987)은 체육교사직에 대한 만족도에선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사 직에 만족을 나타냈고 체육교육을 전인교육의 가장 중요한 초석으로 의식 하면서 체육교사로서의 스스로 추구한 획득 신분으로써 보람과 심리적만 족을 지니고 있다.

이경란(1989)은 교직선택동기별 만족정도에서 적성과 흥미 때문에 교직 을 선택한 교사가 직업만족 정도가 가장높고, 학부전공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교직을 선택한 교사의 직업만족정도가 가장 낮았다.

차영태(1995)는 서울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성, 출 신학교, 직위, 설립기관별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써 남자교사, 주임교 사, 40대교사, 사립학교 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에서는 근무조건과 지도성에서는 남자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직 무자체와 지도성에서는 사범대 출신 교사가 높고, 근무조건에서는 비사범 대학 출신 교사의 만족도가 높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체육교사들의 교육적 사고나 능력은 바람직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타 직종에 비하여 체육교사의 위치에 만족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시간, 업무량, 급여, 성, 출신교, 사회적 지위 등은 설립기관별, 경력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별 특성을 세분화 하여 보다 실질적인 만족 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한다.

문서에서 2. 연구 목적 ...3 (페이지 32-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