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통합 관련 선행연구들은 대부분이 일반적인 사회통합에 관한 것이 고 다문화가족이나 귀농·귀촌인에 특화된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

2.1.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관련 연구

이선주 외(2009)는 이주민 통합을 위한 다문화사회의 기본방향과 협력 체계를 모색하였다. 이들은 통합을 사회적 통합, 정치적 통합, 경제적 통합, 언어적 통합, 문화적 통합, 정체성 통합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기본방향으로는 ① 이주민과 유입국 사회 간의 쌍방 향적 통합, ② 세대 간의 통합 준비, ③ 언어통합과 경제적 통합의 연계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방안으로 ① 통합 거버넌스 구축, ② 미디어를 통한 다문화이해 증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박대식·마상진·권인혜(2011)는 농어촌 다문화가정의 사회적응 실태와 문제점을 경제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심리적 측면에서 파악하여 정책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들은 단기적 정책과제로는 ①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영농교육 개선, ② 한국어교육 개선 및 방과 후 교육지원 강화, ③ 다 문화가족의 영농기반 구축을 제시하였고, 중장기적 정책과제로는 ① 농어 촌 다문화가족 관련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②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적

기업 네트워크 활성화 및 중간지원조직 육성, ③ 농식품 관련 산업에서의

중·고령층 귀화자 가족에 대한 정책 방안 마련, ③ 젊은 층 귀화자 가족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 제도의 변화 등이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으

우선 본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실태를 경제․

사회문화․정치적 측면 등에서 심층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관련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적 포용(배제) 이론과 사회적 자본 이론의 결합에 근거를 두고(박대식·안석·임지은 2017),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실태를 다차원적으로 조사·분석한다는 점에서 관련 선행연구들 과 확실한 차별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차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상호문화주의, 사회적응이론, 사회갈등관리론을 보완적 이론으로 추가하였으며, 문재인 정부의 국정목표와 국정전략에 부응하여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관련 선행연 구들과 차별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