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실태조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본 연구의 면접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FGI), 심층면접, 기존 조사자료 의 분석 등을 통해 파악한 결과,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실태는 사회

통합의 영역,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인이라는 이유로 기존 지역주민에게 차별이나 무시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

신뢰의 경우, 지역 신뢰도 관련 3개 문항에 얼마나 동의하는지 질문한

이 47.4%, ‘불만족’이 4.3%로 나타났다. ‘만족’ 비율은 남편은 50.0%, 시부

측면에서 살펴보면, 농촌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삶의 질 만족도, 농촌에서

이 장에서는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인식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 하여 먼저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10 다음에는 독립변인들과 종 속변인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 다문 화가족의 사회통합인식 영향요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을 하였다.

1. 분석모형

사회통합인식 관련 선행연구들(김미곤 외 2014; 김문길 2017)에 따르면, 연령과 학력은 사회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이다. 가구소 득은 경제상황에 대한 객관적 지표이기 때문에 살펴볼 필요가 있고, 읍 지 과 면 지역은 생활여건 및 다문화가족 관련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많은 격차 를 나타내기 때문에 분석모형에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개인적 특성 관련 변인으로는 연령, 학력, 가구소득, 읍·면 지역을 채택하였다. 다문화가족 관련 특성으로는 한국 거주기간, 문화적응 노력,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 어 능력, 결혼만족도, 남편과 대화시간, 가정갈등 등이 사회통합인식에 영 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사회통합 관련 특성으로는 사회포용으로는

10 이 장의 분석모형에서 사용한 자료는 본 연구의 여성 결혼이민자(302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이다.

영향요인 분석 3

차별 경험, 주민갈등 경험, 경제적 박탈을, 사회적 자본으로는 사회적 자본 종합 척도가 사회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사회포용 및 사회적 자본 관련 변인들(경제적 박탈, 사회갈등, 지역포용성, 신뢰, 네트워 크, 사회적 소통)은 1/2차년도 연구(박대식·안석·임지은 2017)에서 농촌주 민의 사회통합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포용과 사회적 자본은 사회통합인식 영향요인들에 관한 선행연구들(김 미곤 외 2014; 김문길 2017)에서 중요한 설명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그림 3-1>에는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인식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형이 제시되어 있다. 독립변인은 개인 특성으로는 연령, 학력, 가구소득, 읍·면 지역을, 다문화가족 관련 특성으 로는 한국 거주기간, 문화적응 노력,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어 능력, 가 족 수, 결혼만족도, 남편과 대화시간, 가정갈등을, 사회통합 관련 특성으로 는 차별 경험, 갈등 경험, 경제적 박탈, 사회적 자본 종합척도를 적용하였 다. 종속변인인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인식’은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현 재 우리나라 농촌에서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 다고 보는지를 측정하였다(0~10점).

<그림 3-1>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인식 영향요인 분석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