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비스와 국제무역

문서에서 서비스 분야의 수출산업화 전략 (페이지 36-99)

서비스의 국제교역에서의 역할과 비중을 보면 흥미롭다

.

서비스 수요는 국내 최종수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

또한 서비스와 국제 무역과의 상관관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

선진국들의 경우 서비스 부문은 총생산의 약

60%

를 점한다

.

수송

,

저장

,

우편

,

원거리통신 서 비스 등에 관련된 비즈니스는 국제교역에서 그들 총생산량의

10

20%

정도를 점한다(Wölfl, 2003)

.

7) 서비스 교역의 증가는 새로운 서비 스교역 방식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

,

국경 간 서비스 공급

,

여행서비스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해외로부터의 소비

,

제휴사 등을 통한 상업적 주재

,

또는 자연인의 주재 등을 가리 킨다

.

국제무역의 주된 방식은 여전히 상품 교역이지만

,

서비스 교역 역 시 계속 증가하고 있다

. 2001

,

상품 교역 점유율이 총

GDP

15%

정도에 달하는 가운데

,

서비스 교역은

OECD

회원국 내에서 평균적 으로

GDP

4%

정도를 차지했다

.

한국

,

스페인

,

터키

,

아일랜드 등 에서 서비스 교역 증가는

1990

년대에

GDP

대비 서비스 교역 비율 의 연간 평균 성장률이

6

10%

정도였다

.

특히 몇몇 비즈니스 서비스

,

수송

,

여행서비스 등은 총 서비스 교 역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데

, 2002

년도에 이러한 서비스들 은 서비스 수입 혹은 수출의

21

27%

를 차지했다

. 1997

2002

년 사

7) Wölfl, A. “Productivity Growth in Service Industries – An Assessment of Recent Patterns and the Role of Measurement,” SIT Working Paper 2003/7, OECD, Paris, 2003.

이 서비스 교역의 고속성장은 컴퓨터

,

정보서비스

,

보험교역에서 관 찰되며

,

금융서비스와 다른 비즈니스 서비스에서도 적게나마 찾아볼 수 있다

. 1997

2002

,

컴퓨터

,

정보서비스 교역의 높은 성장률은 거품경제를 일부 반영하고 있어

,

이들 교역의 성장률은

2001

2002

년 사이 수출 부문에서

7%,

수입 부문에서

2%

대로 떨어졌다

.

교통

,

여행서비스 교역의 경우

2001

2002

년에는 성장률이 증가했지만

,

높은 총 서비스 교역 점유율과 대조적으로

1990

년대에는 변화가 거 의 없었다

.

서비스 교역이 이루어지는 주된 방식으로 제휴사 등을 통한 상업 적 주재가 있는데

,

어느 정도 제한이 있긴 하지만 이용가능한 데이 터를 통해 본다면

1990

년대 후반 서비스 부문에서 해외 제휴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2001

,

서비스 부문에 서 해외 제휴사의 대체점유율(국내 회사를 대신하여 해외 제휴사가 시장점 유율을 높이는 것)은 비교적 높았고

,

이는 헝가리

,

벨기에

,

아일랜드

,

체코공화국

,

폴란드

,

이탈리아에서

20%

이상에 달했다

.

고용 면에서 해외 제휴사의 점유율은 벨기에에서

19%,

헝가리

,

폴란드

,

체코공화 국

,

아일랜드에서

15%,

일본의 경우

1%

이하였다

.

2001

,

핀란드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해외 제휴사의 대체점유 율은 서비스업보다 제조업에서 더 높았다

.

그러나 고용 면에서는 벨 기에

,

핀란드

,

포르투갈

,

체코공화국에서 해외 제휴사의 진출 영역이 서비스업과 제조업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

차이 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곳은 헝가리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이고

,

일 본의 경우 해외 제휴사 진출이 고용 및 대체점유율 면에서 서비스업 과 제조업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

그러나 일본의 해외 제휴사 비중은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었다

.

서비스 부문 내의 고용 증가를 검토할 경우

,

낮은 성장 서비스산 업에 대한 불균형적 성장과 자원 재분배에 대한 실증연구 역시 그다 지 신빙성이 없을 것이다

.

텔레커뮤니케이션

,

금융중개

,

수송 및 저 장 등 비교적 높은 생산성 증가율을 보이는 서비스산업 그룹은 비교 적 약한 고용 증가를 가지는 서비스 그룹이기도 하다

.

반대로 말하 면 교육

,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을 포함하는 비교적 더디거나 마이너 스 생산성 증가를 보이는 서비스산업들의 그룹은 비교적 높은 고용 증가를 보이는 그룹과 같다

.

그러나 실증적 그림은 윤곽이 뚜렷하지 않다

.

예를 들어

,

금융중 개 부문과 대량판매

,

소량판매 부문은 각

OECD

회원국의 고용 증 가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 1990

2001

년에 걸쳐 슬로바키아공 화국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독일에서는 (폴란드의 경우 다소) 이러한 산업들에서 나타난 비교적 높은 고용 증가를 볼 수 있다

.

대조적으 로

,

일본

,

덴마크

,

뉴질랜드

,

노르웨이

,

핀란드는 이러한 산업들

,

특 히 금융중개 부문에서 부(-)의 고용 증가를 보인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OECD

회원국 간 차이가 생산성 성장 기능을 특징짓는 가운데

,

고용 증가는

1980

년대에 비해

1990

년대에는 거의 모든 국가

,

모든 서비스산업에서 낮아졌다(기계장비 및 소비용품 임대업, 수송 및 저장서비 스, 음식숙박업 등은 예외)

.

실증적 연구에 의하면 일자리 변동에서의 부문 간 차이

,

즉 일자 리 창출

,

일자리 소멸 등에서 산업 간 큰 차이를 보인다

.

유럽에서 서비스산업은 제조업에 비해 훨씬 높은 일자리 창출과 소멸 비율을 보인다

.

8) 일자리 재분배는 전 산업에 걸쳐

6

13%

포인트의 범위를

8) Gomez-salvador R.J., J. Messina and G. Vallanti, “Gross Job Flows and Institutions in Europe,” ECB-Working paper Series No.318, 2004.

가지는데

,

비즈니스 서비스에서 약

13%

포인트로 가장 높았으며

,

사 회 서비스에서는 약

11%

포인트였다

.

더욱이 일자리 창출은 제조업 보다 서비스산업에서 더 높았다

.

이는 또한 총 일자리 변동에 대한 사례였다

.

그러나 일자리 소멸은 무역

,

교통

,

사회서비스 등에서는 더 낮았다

.

생산성 증가와 맞물려 교역 및 요식업

,

수송 및 통신

,

금융중개

,

비즈니스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즈니스 부문 서비스는 총고용 증가 에서

0.5

2%

포인트

,

1/3

1/2

정도를 기여하였다

.

교육

,

건강

,

사회사업 등의 사회 및 개인서비스들은

OECD

회원국의 고용 증가 에 대해 평균

0.5%

포인트 정도 기여했다

.

몇몇 국가에서 서비스의 높은 고용 증가는 제조 및 다른 산업들의 부(-)의 고용 증가를 메워 주는 역할도 했다

.

고용 증가에 대한 비즈니스 서비스의 높은 기여는 총고용에서 대 량판매

,

소량판매의 매우 높은 점유율과 연결되어 있고

,

기계장비 및 소비용품 임대업과 비즈니스 서비스와도 다소 연결되어 있다

.

1990

2001

년 사이 대량판매・소량판매 서비스는 평균적으로

OECD

회원국에서 총고용의 약

15%

에 달했고

,

호주

,

뉴질랜드

,

미국에서는 총고용의 약

20%

에 달했다

.

기계장비 및 소비용품 임대업과 비즈니 스 서비스는

OECD

회원국에서 총고용의 약

8%

를 차지했고

,

호주

,

프랑스

,

룩셈부르크

,

네덜란드

,

미국에서 비즈니스 서비스 점유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

사회 및 개인서비스의 경우 전반적 고용 증가 에 대한 고속성장의 공헌은 비교적 높지만

,

이는 또한 총고용에서 이러한 서비스산업들의 비교적 높은 점유율 때문이기도 하다

.

교육 서비스는

OECD

회원국에서 총고용의 약

6%

를 차지했고

,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는 덴마크

,

핀란드

,

노르웨이

,

스웨덴에서 특히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총고용의 약

10%

를 차지했다

.

총괄적으로

,

고용 증가와 노동생산성 증가에 대한 서비스의 기여 도는 국가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

한국

,

뉴질랜드

,

네덜란드 등 에서 고용 증가에 대한 서비스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으나

,

생산성 증가에 대한 공헌은 비교적 작았다

.

반면

,

그리스

,

폴란드

,

영국 등 에서 생산성 증가에 대한 서비스의 기여도는 고용 증가에 대한 공헌 에 비해 컸다

.

호주

,

캐나다

,

슬로바키아공화국

,

미국에서 서비스는 고용과 생산성 증가 모두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

생산성과 고용 증가 사이에는 일반적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중 론이다

.

대조적으로 고용과 생산성 증가 사이의 관계는 산업마다 다 르다

.

우편

,

텔레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

교육에서 (금융중개의 경우는 다소) 생산성과 고용 증가 사이의 마이너스 관계를 볼 수 있으나

,

대 량판매

,

소량판매

,

기계장비 및 소비용품 임대업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여기서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생산성 및 고용 증가에서 서비스산업이 기여하는 정도가 국가마다 다르고 또 서비스업의 종 류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인 법칙을 발견하기는 어려우나 우리나 라의 경우 서비스업의 확대는 고용 증가에는 꽤 크게 그리고 생산성 증가에는 작지만 눈에 띄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

따라서 앞으로 서비스업의 수출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서비스 수출 이 늘어날 때 국가경제 전체의 성장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고용과 총생산성 증가에도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

따라서 수출산업으로서의 서비스 분야 육성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앞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경제성장과 고

용증대에 효과가 큰 서비스 업종을 잘 선택하여 이들에 대한 집중적 육성책을 강구하는 일이다

. IT

및 인터넷

,

이동통신

,

의료서비스

,

문 화콘텐츠

,

방송

,

외식산업

,

교통 및 물류

,

유통업

,

교육

,

관광 등에서 우리나라의 국제경쟁력이 높거나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났으 므로 제

7

장에서 이들 분야에 대한 수출활성화 전략을 상세히 논하 기로 한다

.

제 3장 서비스 교역자유화 협상의 방향

앞 장(章)에서 서비스 분야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실증적으로 크다고 나타나 있으며

,

또 수출에도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다는 결론을 본 바 있다

.

그러면 서비스산업의 수출산업화에 있어 필수적인 여건은 무엇일까

?

서비스의 수출증진을 논함에 있어 선결 되어야 할 일은 우리가 겨냥하고 있는 수출 대상국에 서비스 수입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만일 여건조성이 미흡 하다고 판단될 때 국제규범에 근거하여 상대방의 국내 규제를 완화 시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이 과제는 각국의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을 위해 너무도 중요하고 필수 불가결한 것이기 때문에 좀 더 상세히 논의해 보도록 한다

.

상대방의 규제완화를 독려하기 위해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정당성을 제시하기란 쉽지 않다

.

이를 위해 두 개의 논리적 근거를 쉽게 풀어 제시하고자 한다

.

9)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방 규제완화를 위한 노력은 특별히 중요하 다

.

서비스업 중 이미 우리나라의 비교우위가 검증된 분야(예를 들면 건설업, 해운업, IT서비스업 등)들이 아직도 상대국의 국내 규제 때문에 수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

자유무역원리를 중시하는 미국과 같은 선 진국의 경우도 건설업

,

해운업 등 서비스 분야는 아직도 개방이 안 되고 있다

.

따라서 우리나라는

WTO

의 협상체계를 철저히 활용하여 우리의 수출입지를 확고히 해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정책적

과제이다

. WTO

규정 안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교역에 관한 협정

1995

1

1

WTO

가 출범함으로써 발효되었다

.

그러나

WTO

의 전신인

GATT

의 서비스 교역에 대한 첫 토론은

GATT

가 다자간

9) 여기서 참고한 두 개의 논리적 근거란 (1)Geza Feketekuty,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s: An Overview and Blueprint for Negotiation, AEI/Ballinger Publication, 1988.

및 (2)World Trade Organization, GATS: Objectives, Coverage, and Disciplines, WTO, Geneva, Switzerland, 1995를 말함.

문서에서 서비스 분야의 수출산업화 전략 (페이지 3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