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절 이론적 배경

제2절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제3절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

제1절 이론적 배경

일반적으로 생활 만족도는 소득, 교육 등 개개인의 속성과 관련이 있으 며(Amit 2010), 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Bohnke(2008) 는 2003년에 실시된 유럽 삶의 질 조사(European Quality of Life Survey: EQLS)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럽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분석을 하였는데, 1인당 GDP, 평균 수명 등이 생활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쳤 고, 실업률은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였다. Bohnke(2008)의 연구가 거시적 관점에서 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반면, Bonini(2007)는 미 시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분석하고 있다. 그는 1999년과 2003년에 이루 어진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s Survey: WVS) 데이터를 이용하 여 46개 국가의 생활 만족도를 분석하고 있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남성 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소득이 높을 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두 연구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연구인 반면, Amit(2010)는 2007년에 실시된 루핀 조사(Ruppin Survey)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양에서 이스라엘에 이민 온 자들과 구소련 지역에서 온 자들 을 비교하고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요인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양에서 온 자들이 구소련 지역에서 온 자들 보다 생활 만족도가 높은 경향아 있고, 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히 브리어가 유창할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

결혼이민자의 인구자질(2):

생활만족도

<<

5

고 Gokdemir and Dumludag(2012)의 연구는 네덜란드에 이민 온 터 키인과 모로코인을 대상으로 독자적인 조사를 하여 분석을 하였는데, 모 로코인에게 있어서 소득은 생활 만족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 면, 터키인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에서 이루어진 결혼이민자의 생활 만족도에 대한 분석은 크게 전 국 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와 직접 조사한 데이터로 분석한 연구로 나 눌 수가 있는데24), 전자로는 Lee(2013), Sung et al.(2013), 후자로는 성도경·이지영(2010), 유은광 외(2012)의 연구를 들 수 있다.

먼저 소규모 데이터를 사용한 연구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성도경·이 지영(2010)의 연구에서는 포항시에 사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독자적 인 조사를 하여 분석을 하였는데, 생활 만족도는 남편과의 관계가 원만할 수록 높다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유은광 외(2012)는 서 울, 경기(하남시, 용인시), 경상남도(진주), 부산의 결혼이민자를 대상으 로 하여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다 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전국을 대표할 수 있고 모집단과의 편향이 적다고 생각되는 전국 데이 터를 사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Lee(2013)의 연구는 학력이 높을수록, 자 녀가 없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 가 높을수록, 전문직일수록 생활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 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민족별 만족도를 보면, 조선족 중국인에 비하 여 한족 중국인과 일본인들의 생활 만족도가 낮은데 특히 일본인의 만족 도가 매우 낮은 반면, 베트남인들의 만족도가 높다. Sung et al.(2013)의 연구와 Lee(2013)의 연구는 「2009 전국 다문화 실태 조사」 데이터를 사 용한다는 점과 주제도 유사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가 유사하지만, 분석 방

24) 여기에서 언급한 전국 조사는 「2009 전국 다문화 실태 조사」 데이터를 가리킨다.

법에 있어서 전자가 순서 로짓 모델(ordered logit model)로 분석을 한 반면, 후자는 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으로 분석을 한 것이 다른 점이다. 그 중 순서 모델로 추정한 Sung et al.(2013)의 결과를 보 면, 한국어 능력이 좋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분석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소규모 샘플로 의한 편향을 보완 하고자 대규모 샘플로 사용하여, 생활만족도 분석에서 적절하다고 판단 되는 순서 로짓 모델로 추정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