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산량 변동

문서에서 축산농가의 소득안정 방안 (페이지 36-42)

2.1. 한 우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1998년 외환위기 발생 전까지 빠르게 증가하였으 나 외환위기 이후 사육두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쇠고기 생산량은 2003년까 지 감소하였다(그림 2-3). 1998년 외환위기로 인해 사료 수입 가격은 상승 한 반면 쇠고기 수요가 감소하여 한우 가격은 크게 하락하였다. 한우농가 의 채산성이 악화되자 많은 한우농가가 사육을 중단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육두수도 크게 감소하였다.

그림 2-3. 쇠고기 생산량 추이

0 50 100 150 200 250 300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001 2004 천 톤

외환위기 이후 한우 사육두수 감소로 국내산 쇠고기 공급여력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2003년 미국의 광우병 발생으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전면 중단되었다. 2000년 이후 쇠고기 소비는 회복된 반면 쇠고기 공급량이 감 소하여 한우고기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다. 한우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 라 한우농가의 사육심리가 호전되었으며, 2003년 이후 국내 쇠고기 생산량 은 연간 4%씩 증가하였다.

표 2-5. 쇠고기 생산량 변동계수

평균생산량(톤) 변동계수 진폭계수

1980s 101,423 32.5 145.6

1990s 169,584 37.8 178.2

2000s 160,520 17.0 51.2

주: 변동계수 = 표준편차 / 평균 * 100, 진폭계수 = (최대값 - 최소값) / 최소값

쇠고기 생산량의 변동성은 1990년대 들어 매우 크게 나타났으나, 2000 년대 들어 낮아졌다. 1990년대 들어 사육규모 확대 및 전업화 등 한우산업 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사육두수가 빠르게 증가하였고, 외환위기로 조기 출하되는 물량까지 겹쳐 1998년 쇠고기 생산 량은 26만4천 톤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표 2-6. 한우전업농 사육규모 구성비 변화

1995 2000 2005 2006 2007

전업

농 가 수(%) 0.5 1.4 3.2 3.8 3.9

사육두수(%) 8.0 25.0 32.5 34.5 35.1

호당규모(두) 80.0 98.0 96.1 96.4 96.9

전체

농 가 수(호) 518,952 289,714 192,124 190,189 189,637 사육두수(두) 2,594,027 1,590,020 1,818,549 2,019,516 2,043,272

호당규모(두) 5.0 5.5 9.5 10.6 10.8

주: 한우전업규모는 50두 이상임.

한우 사육두수는 2003년부터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07년 3월

추정결과, 모형의 설명력과 추정된 계수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높게 나 타났다. 수소 도축물량은 3분기 전 수송아지 두수가 1% 증가하면 0.6% 증 가하고, 1분기 전 1∼2세 수소 두수가 1% 증가하면 0.2%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큰 수소 가격(출하)과 수송아지 가격(입식)의 비율인 수소비육경영지수가 1% 상승하면 0.3%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암 소도축물량은 2∼3분기 전 1∼2세 암소 두수가 1% 증가하면 0.8% 증가하 고, 암소 가격(비육)과 송아지 가격(번식)의 비율인 암소비육경영지수가 1% 상승하면 0.6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2-7).

송아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생태적 요인은 인공수정실적이 되며, 경제적 요인은 송아지 가격이라 할 수 있다. 암소 가임기간을 고려할 때 10개월 전 12개월 누적인공수정 실적은 송아지 생산두수와 직접적인 관계 를 가진다. 송아지 생산두수는 10개월 전 12개월 누적인공수정실적이 1%

증가하면 0.7% 증가하고, 3분기 전 송아지 가격이 1% 상승하면 0.2% 증 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2. 양 돈

돼지고기 생산량은 1980년 23만5천 톤에서 2006년 67만9천 톤으로 연 평균 4.2%씩 증가하였다. 돼지고기 생산량은 1998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 으나 2000년부터 다시 증가하여 2002년 78만5천 톤을 기록하였다. 2003년 이후 가축질병 발생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됨에 따라 생산량은 감소하였다 (그림 2-4).

돼지고기 생산량 변동성은 2000년대 들어 크게 낮아졌다. 돼지 사육두수 는 1980년대에 매우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1990년 들어 가축분뇨처리의 어 려움과 대일 수출 중단으로 증가속도가 크게 둔화되었다. 돼지고기 생산량 변동계수는 1980년대 25.6에서 2000년대 5.1로 작아졌다(표 2-8).

그림 2-4. 돼지고기 생산량 추이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001 2004 천톤

표 2-8. 돼지고기 생산량 변동성

평균생산량(톤) 변동계수 진폭계수

1980년대 327,855 25.6 131.8

1990년대 631,022 12.0 46.9

2000년대 734,694 5.1 15.7

돼지 사육두수는 2002년도에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였으나, 2003년 이후 돼지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2006년 이후 다시 증가세로 반전되었다. 돼지 사육두수는 2007년 3월 기준 934만 두이며, 농가 수는 1 만765호이다. 호당 사육규모는 1995년 141두에서 2007년 868두로 전업농 규모로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1,000두 이상을 사육하는 전업농가수 비중 은 1995년 2.4%에서 2007년(3월) 28.7%로 높아졌으며, 전업농의 사육두수 비중도 36.5%에서 80.8%로 높아졌다. 2007년 3월 현재 전업농 평균 사육 규모는 2,437두이다(표 2-9).

표 2-9. 양돈전업농 사육규모 구성비 변화

1995 2000 2005 2006 2007

전업

농 가 수(%) 2.4 9.8 24.0 27.3 28.7

사육두수(%) 36.5 60.2 77.8 80.0 80.8

호당규모(두) 2,120 2,113 2,364 2,430 2,437

전체

농 가 수(호) 45,878 23,841 12,290 11,309 10,765 사육두수(천두) 6,461 8,214 8,961 9,382 9,344

호당규모(두) 141 345 729 830 868

주: 양돈전업규모는 1,000두 이상임.

돼지고기 생산량(도축물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모돈 수이다.

가임기간(4개월)과 비육기간(5~6개월)을 고려할 때 9~10개월 전 모돈 수 는 당기 도축물량에 영향을 미친다. 돼지 사육두수는 모돈 수에 영향을 받 으며, 도축물량은 사육두수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돈 수는 도축물량의 선행지수가 될 수 있다.

모돈 수는 비육돈 가격 수준과 생산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비 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비육돈 부분에서 채산성이 향상되면 모돈 수는 증가하고 채산성이 악화되면 모돈 수는 감소한다. 따라서 모돈 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돼지 산지 가격과 사료 가격을 요인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1985년부터 2006년까지 의 연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표 2-10. 돼지 사육두수 및 돼지고기 생산 함수 추정 결과 상수 산지 가격(-1) 사료 가격(-1) 모돈수(-1) 사육두수 R2 D․W

모돈수 15.42*** 0.185** -0.458* 0.87 1.80

사육두수 -1.53 1.27*** 0.90 1.37

도축두수 1.96 0.91*** 0.98 1.37

주: 전대수함수이며, 1985년부터 2006년까지의 연별 자료가 이용됨.

추정결과, 모형의 설명력과 추정된 계수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높게 나 타났다. 전년도 비육돈 산지 가격과 사료 가격이 당해연도 모돈 수를 결정 하는데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모돈 수는 전년도 산지 가격이 1% 상 승하면 0.19% 증가하고, 사료 가격이 1% 상승할 경우 0.46% 감소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도 모돈 수가 1% 증가할 경우 1.3% 증가하고, 도축두수는 사육두수가 1% 증가할 경우 0.9%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표 2-10).

문서에서 축산농가의 소득안정 방안 (페이지 3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