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징적 상호작용’이라는 용어는 1937년 대표적 학자인 Herbert Blumer에 의

해 처음 사용되었다. 동 이론은 상징, 즉, 공유된 의미와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언어적 및 비언어적 행동과 의사소통 간의 연결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가족연 구에서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은 가족을 사회적 집단인 동시에 상호작용 하는 자아와 정체성의 집합으로 개념화함으로써 가족원간의 관계가 형성‧유지‧변화 되는 양식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요인들, 그리고 그것이 개개인의 자 아인식 및 행위양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에 대한 문제를 주요 연구대상으 로 한다.주5)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의 개념적 틀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는 크게 정체성, 역 할, 그리고 상호작용 등으로 구분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체성'(identities)은 역할에 대한 자기의미 또는 자신의 가치부여를 뜻 한다. 예를 들면, 자녀에 대한 공동양육이 더욱 강조되는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 도 자녀양육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어머니에게 있으며, 이는 부부 모두가 인정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어머니들은 주로 부모 됨을 ‘자신이 누구인가'(who they are)와 연관시켜 생각하고, 아버지들은 부모 됨에 대해 주로 ‘자신이 행하 는 어떤 것'(something you do)’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동 이론에 근거한 가족연구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자아개념의 측면은 ‘자존감’ 또는 ‘자아 존중감’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자아에 대한 평가정도를 뜻한다. 긍정적 자아 존중감의 소유와 그것을 유지하려고 하는 욕구는 행동의 강력한 동기가 되며, 역으로 행동 역시 자존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역할’은 사회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공유된 규범으 로서 그 역할에 요구되는 지식, 능력, 동기뿐만 아니라 행위의 적절한 방향, 그

주5)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의 기초는 7 가지 유형의 가정으로 요약할 수 있음. ① 비환원주의적 인간관으로서 인간은 그들이 부여하는 사물의 의미에 근거하여 행동함; ②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인간행동의 이해는 그 행위의 동기 및 의미를 통해 파 악됨; ③ 개인이 사물을 다루면서 사용하는 해석적 과정을 통해 조직되고 수정됨; ④ 개인 들은 자아개념을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시킴; ⑤ 일단 발달된 자아개념은 행동에 중요한 동기를 부여함; ⑥ 개인과 소집단은 문화적 및 사회적 과정의 영향을 받음; ⑦ 개인들은 일상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구조의 미세한 부분들을 이루어감.

리고 느낌과 감정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를 가능케 하여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미래의 행동을 예측 가능한 것으로 만든다. 역할은 항상 관계 속에서 규정되므 로 이를테면 아버지 역할은 어머니의 역할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역할은 개인의 사회적 위치뿐 아니라 시간에 따라서도 변화하며, 한 개인에게 있어 역 할은 ‘경험’이 되고, 그 경험이 또한 다음 단계에서의 역할을 규정하는데 영향 을 준다. 무엇보다 역할수용과 역할창조는 사회화과정의 주요 요소로서 적응과 순응을 강조하는 구조기능주의에서의 그것과 달리 상징적 상호작용론에서의

‘사회화’는 개인이 능동적으로 역할을 배우고 소화하여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 시켜 나가는 복합적 과정을 중시한다.

셋째, ‘상호작용’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널리 공유되는 상징을 적용하 고 자신과 타인 및 상황이 지니는 특별한 의미들을 능동적으로 만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의 상황에서 개인은 자신의 정당한 정체성이 지니는 권리와 의무를 따르도록 기대되며, 타인들은 또 그러한 정체성을 존중 할 의무가 있다는 도덕적 특성을 내재한다는 것이다. 타인의 행동, 반응, 그리 고 주관적 의미 역시 사회적 상호작용의 또 다른 특징이며, 자신과 타인이 부 여하는 의미 외에도 상황에 귀속되는 의미들도 있다. 상황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공유할 수 있는 정의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 집단이나 사회의 성패를 가름하는 수단이며, 이는 가족연구학자들이 특히 가족 내 의사소통과정에 가장 큰 관심 을 기울이는 이유이다.

가족연구에 있어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은 가족관계, 가족역할을 중심으로 다 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가족의 역할구조는 가족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 하며, 이것이 모든 가족원의 행동 및 외부 사회체계와의 상호작용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가족구성원이나 사회의 변화에 따라 수정되며 그 과정 에서 가족의 안정성이나 갈등도 분석될 수 있다.주6)

주6) 이 외에도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은 가족 내 의사소통 연구 및 가족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되 고 있음. 즉, 역할의 기대와 인지, 수행 등의 과정에서 준거집단과 개인이 상호영향을 주므 로 가족 내에서 개인의 사회화 과정이 부각됨. 이는 특정 가족원의 일탈행동을 설명하고 그 예방 또는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데 많은 도움을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