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제결혼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하여 외국으로 가서 사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 으며, 노동력을 팔기 위해 외국으로 가는 이민결혼, 외국 군인과의 결혼 등 대 체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많이 갖고 있었으며, 아픈 상처로 우리 마음에 자리잡 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변화순‧조은희(2003)는 국제결혼은 언어와 종교, 관습 이 다른 남녀간의 결합으로 우리사회에서 오랜 기간 동안 환영받지 못하였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혈연 중심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혈통에 대한 집착과 현대사의 어두운 측면이라고 하였다.

국제결혼의 동기와 관련한 연구에 의하면, 과거에는 외국인에 대한 호기심, 경제적 안정 및 정서적 안정,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송성자, 1975), 최근에는 국적취득이나 취업, 현실탈출로서 동기가 변화되고 있 음을 지적하였다(임경혜, 2004).

4. 생활양식 측면의 다양한 가족에 대한 선행연구 가. 맞벌이가족

맞벌이가족에 대한 선행연구는 자녀양육, 부부관계 및 결혼안정성, 가사분담, 그리고 사회적 지지망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자녀양육과 관련해서 맞벌이 부부는 부모역할에 대해 갈등이 많으며,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로 어려 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취업부인의 부모역할 갈등을 다룬 연구에 서도 전문직 취업부인들은 다른 역할 보다 부모역할에 가장 많은 갈등을 느끼 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영자, 1992).

부인의 취업은 부부간 가사역할 분담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젊은 부부의 경우 부인의 취업은 남편이 자녀양육에 관여하는 계기가 되 어 부인의 취업 이전보다 자녀양육에 참여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연 구결과가 있다(이재경, 1994).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여성이 가사노동을 전담하 고 있어 이중역할 부담을 느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유가효 외, 1992). 또한 여 성들의 경우 출산과 양육문제로 직장생활의 중단여부를 고려해 보았으며, 상당 수는 직장생활을 위하여 자녀출산 횟수나 시기를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장지연 외, 2003).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특히 부모역할갈등이 나 스트레스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김혜신 외(2003)주13) 에 의하면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갈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 며, 부인의 부모역할갈등이 남편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직업변인에서는 직업만 족도와 직무적응도가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 갈등과 심리적 복지에 차이를 가 져오며, 업무중요도와 직무능력도는 부모역할갈등에서는 남편에게만, 심리적 복 지에서는 부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녀양육 관련변인에서는 보육

주13)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로서 거주지역의 유치원 과 어린이 집 종일반 아동의 부모 중 맞벌이인 부모 120쌍과 각 직장의 맞벌이 부부 중 임의 표집한 180쌍 등 총 300쌍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분석 대상은 이 중 224쌍(448 명)에 대해 최종 분석이 이루어짐.

방법 만족도, 남편의 자녀양육 참여도, 모 취업영향 인지가 맞벌이 부부 부모역 할갈등과 심리적 복지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이이었다.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긍정적 측면에서는 직업만족도, 부정 적 측면에서는 부모역할갈등이었다.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현 상황에서 가족역할에 대한 정의와 분담은 가족구성원의 만족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의 연구는 취업여부보다 는 취업조건, 취업동기, 부인의 취업에 대한 남편의 태도, 남편과 부인의 성역 할 태도, 가사역할 분담 및 공평성 인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부부관계에 미치 는 영향이 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부인의 취업동기가 경제적인 필 요에 의한 경우보다 자아실현 등 비경제적인 동기에 의해 취업한 경우 결혼만 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박미령, 1988; 최규련, 1988). 또한 남편이 부인의 취 업을 지지할 경우, 남편의 가사역할 분담정도가 많을수록 부인과 남편의 결혼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다(김양희 외, 1992; 한경미, 1995).

역할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는 개인의 정신건강이나 만족도가 자신의 역할갈 등이나 역할정체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배우자간에 역할 형평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에 부부간 형평성의 개념 이 확산되어 형평성이 만족도와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이여봉, 1999).

이기숙 외(2000)는 맞벌이주말가족주14)의 사회적 지지망의 유형과 특징을 밝 혀내기 위해 맞벌이가족과 맞벌이 주말가족의 가족구조상의 차이, 즉 부부의 비동거가 이러한 사회적 지지망의 형성과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이들 맞벌이주말가족의 사회적 지지망 형성에 기여하는 요인을 밝히 고자 하였다.

주14) 맞벌이주말가족의 정의는 거스텔과 그로쓰(Gerstel and Gross, 1984, 1987)의 정의를 참고로 하여 직업 때문에 다른 지역에 거주하면서 각자의 근무지에 각각의 주거를 두고 일주일에 최소한 3일은 떨어져서 지내는 부부이면서 비동거 생활을 1년 이상 한 전문직, 관리직 및 사무직 종사자 부부(130쌍)와 맞벌이가족(130쌍)을 대상으로 자기기재식으로 응답토록 함.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조사대상자는 맞벌이 주말부부 93쌍과 맞벌이 부부 104쌍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