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가뭄에 대비한 농업용수 공급 및 통합물관리 방안

1. 제주도 농업용수 공급방안

1.3. 상시하천수를 이용한 용수공급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지방하천과 소하천을 포함하여 총 143개의 하천이 분포하고 있으나, 기저유출 형태로 상시 흐르는 하천은 9개이며, 제주시에 위치한 외도천, 옹 포천과 서귀포시에 위치한 창고천, 중문천, 예래천, 강정천, 악근천, 연외천, 동흥천 이 있다. 이 중 외도천과 강정천은 1970년대부터 상수원으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 으며, 이외 상시 하천수는 바다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 5.9는 제주도 상시 하천과 하천분포를 나타내었다.

Fig. 5.9 The map of regular stream in Jeju-do(제주대학교, 2017)

제주도내 하천에서 유출되는 기저유출량은 전체 용천수의 용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며, 지점별 수량도 많아서 농업용수로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형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기반 구축연구(제주수자원연구단, 2015)에서 제주시 지역에 위치하는 외도천은 연구기간동안 0.11∼0.62㎥/sec의 유량이 산출되 고, 외도 수원지의 생활용수로 활용되고 있으며, 옹포천의 유량은 0.01∼0.124㎥/sec 로 조사되었다. 또한, 서귀포시 지역은 창고천이 0.03∼0.74㎥/sec, 예래천이 0.03∼

0.55㎥/sec, 중문천이 0.17∼0.68㎥/sec, 강정천이 0.10∼2.13㎥/sec, 악근천이 0.16∼

0.52㎥/sec, 연외천이 0.10∼2.43㎥/sec, 동홍천이 0.03∼2.00㎥/sec로 관측되었고,

창고천을 제외한 나머지 6개 하천의 경우에는 강우량이 많은 7∼9월에 유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10∼2월까지 유량이 감소하다가 3월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1.3.2 상시하천수를 이용한 농업용수 공급

제주도의 9개 상시하천 중 제주시 외도천은 외도수원지의 생활용수로 활용되고 있으며, 옹포천은 2005∼2018년까지 농촌용수개발사업이 시행되었다. 서귀포시 연외 천과 동홍천은 시가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문천과 창고천은 유출수위 하강에 따 른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불가능 하다.

용천수를 활용한 농업용수 공급방안 연구(제주대학교, 2017)에 따르면, 강정천은 상류부 강정 수원지에서 상수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하류부에는 은어보호구역으 로 농업용수로 공급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제외하고, 악근천과 예래천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악근천은 상류부의 소왕물(아끈내)을 비롯하여 미확인된 용천 수 등이 유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관측지점은 해안 출구 지점으로 부터 약 16m지점으로 하상이 고르고 정확한 용출량 산정이 가능한 악근교 하류 부 분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한편, 예래천 관측지점은 해안 출구 지점으로부터 약 270m지점으로 상류부에서 용출되는 조명물, 남바치물 및 확인되지 않은 용천수 등 이 유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색달하수처리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주대학교는 2017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15회 현장관측을 통해, 악근천 하류지 점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한 결과, 최대유출량은 113,389.2㎥

/day, 최소유출량은 1,043.6㎥/day, 평균유출량은 8,130.5㎥/day으로 산정되었고,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예래천 색달정수장 관측 결과는 최대유출량은 3,001.6㎥

/day, 최소유출량은 2,114.4㎥/day, 평균유출량은 2,583.1㎥/day으로 나타났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표 5.8과 같다.

Table 5.8 Result about outflow of regular stream in Jeju-do(제주대학교, 2017)

구 분 관측기간 유출량(㎥/day)

maximum minimum average 악근천 2017.5.∼2017.10. 113,389.2 1,043.6 8,130.5 예래천 2017.6.∼2017.8. 3,001.6 2,114.4 2,583.1

또한, 농업용수로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7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14회 수질을 측정한 결과, 전기전도도(EC), 용존산소량(DO), 수소이온농도(pH)는 표 5.9와 같이 나타났다.

Table 5.9 Result about water quality of regular stream in Jeju-do(제주대학교, 2017)

구 분 전기전도도(ms/cm) 용존산소량(DO) 수소이온농도(pH)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최소 최대 평균

악근천 67.0 101.0 78.0 8.4 10.0 9.1 7.2 8.0 7.4 예래천 163.0 254.0 218.4 6.5 10.0 8.4 7.2 8.3 7.8 제주대학교는 상시하천을 농업용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집수정, 저수조 등 취수 시설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국토의계획 및 이용에관한 법률, 하천법, 농 지법, 도로법, 문화재보호법 등에 따른 점사용허가 사항 및 지장물, 주변여건, 용지 확보 가능성 등을 고려한 결과, 악근천이 농업용수로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악근천은 지형여건, 유출량, 농업용수 수질기준, 개발여건 등을 분석 한 결과, 통합 광역화사업의 네 번째 D 유형과 같이 하천수를 광역저수조에 임시 저류한 후 농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방안이 적합 한 것으로 판단된다.

1.4 용천수를 활용한 용수공급

Table 5.10 The result of spring water survey in Jeju-do(제주특별자치도, 2016)

구 분 계 위치확인

(개소) 확인불가

(개소) 매립, 멸실 개소 용출량(㎥/day) (개소)

계 1,025 1,013,494 661 94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