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부권역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시범사업과 문제점

Ⅴ. 가뭄에 대비한 농업용수 공급 및 통합물관리 방안

1. 제주도 농업용수 공급방안

1.1 농업용수 통합광역화사업을 통한 용수공급

1.1.1 동부권역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시범사업과 문제점

제주특별자치도는 농업용수광역화사업의 통합용수공급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동부권역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동부권역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시범사업은 종달리와 덕천리에 대형 저수조(1,500

∼3,000㎥) 4개소를 설치하여 급수관로 41.4km(D 100∼350mm)를 통해 종달리, 하 도리, 상도리, 송당리, 덕천리, 평대리, 한동리, 김녕리, 동복리에 농업용수를 공급하 는 계획이다(제주특별자치도, 2014). 이러한 시범사업은 가뭄피해 정도, 농업용 관정 분포도, 함덕지구 다목적 농촌용수개발사업과의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행하였다. 표 5.1은 동부권역 시범사업과 통합광역화사업을 비교한 표이다.

Table 5.1 Main contents of agricultural water wide area in Jeju-do(한국농어촌공사)

구 분 동부권역 시범사업 통합광역화사업

사업위치 제주시 구좌읍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제외)

사업기간 2014∼2018년 2017∼2024년

사 업 비 165억원 1,375억원(국비 80%, 도비 20%) 사업목적 통합용수공급 모델 제시 균등한 용수배분 및 항구적 가뭄극복

주요공사

저수조 4개소 급수관로 41.4km 관정 7개소

물관리 자동화 시설

광역저수조 54개소 용수관로 470㎞

신규관정 58개소 용천수 취수장 6개소 용수관리 자동화 시스템 사업시행자 제주특별자치도(위탁시행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그림 5.2는 동부권역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시범사업 사업계획도 이다(제주특별자 치도, 2014).

Fig. 5.2 The demonstration project of east area agricultural water(제주특별자치도, 2014) 동부권역 농업용수 통합광역화 시범사업 시행시 문제점은 세 가지였다. 첫 번째 는 최근 지가상승에 따른 공사 편입부지 용지매수 지연과 이에 따른 문화재지표조 사, 도로점용, 농지전용, 산지전용, 초지전용 등 인허가 기간 연장이었던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지보상을 위한 감정평가시 향후 개 발계획 및 지가상승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여 적정한 보상비를 책정하고, 착공 전 공

사편입부지 용지 매수를 완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두 번째는 대용량 신설 저수조에서 기설관로에 급수관을 연결 할 경우에는, 높은 수압으로 인하여 노후화된 기설관로에 심각한 누수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수압을 크게 받는 위치에 감압정을 설치하고, 급 수관로 말단부에는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수두압을 줄일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 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는 저수조 공사 중 집중호우로 인하여 시설물이 손실되는 사례가 있었으 므로, 광역화사업 시행시 대용량 신설 저수조가 설치되는 중산간지역(E.L. 200∼

600m)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 또는 임시 저류지 등도 병행하여 설치해야 호우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