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기후변화에 의한 제주도 가뭄특성 분석

3. 가뭄발생 현황

우리나라와 같은 벼농사 위주의 농업에서는 농업용수 부족은 심각한 상태에 직면 하고 있으며, 특히 관개기인 봄(3∼6월) 가뭄에 매우 취약하다. 농업용수 공급은 생 활용수, 공업용수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그 전체 용량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단위 면적 대비 관개량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물이 풍부하더라도 관개시기 인 봄과 여름에 가뭄으로 인해 물을 제대로 공급해주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농업적 가뭄 현황은 표 4.3과 같으며, 2000년 2∼5월, 영남과 호남지역 58,000ha에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2001년 3∼6월, 경기, 충청, 경북지역 19,000ha에 평년강수량 10∼68% 수준으로 3월이후 강우량은 평년보다 228mm나 부족하였다.

2006년 9∼10월, 광주, 전남지역에 평년강우량은 9월 36%, 10월 2.7%수준으로 가뭄 이 극심하였으며, 2007년 4월에는 전국의 10년대비 평년강우량이 38%수준이었다.

2012년 5∼6월, 서울, 인천, 경기, 충남지역 11,300ha에 가뭄이 들었으며, 5월 강우량 이 36.2mm로 예년 평균 36.4%이었으며, 2014년 4∼6∼월, 경기, 강원, 경북지역 5,200ha에 가뭄이 발생하였고, 1∼3월 강수량이 평년대비 37%수준인 32.2mm이었 다. 2015년 6∼7월,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북지역과 2016년 8~9월, 제주, 충남, 전남, 전북, 경북지역에 전국 평균 강수량대비 62%로 가뭄이 매우 심각하였 고, 2017년 5~6월, ’73년 기상관측이래 강수량이 최저 수준으로 경기, 충남, 전남지 역에 가뭄이 극심하였다(한국농어촌공사, 2018).

제주도의 농업용수 공급은 논관개가 아닌 밭관개로서, 기상변화에 직접 노출된 밭작물들에서 가뭄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1997년 8∼9월, 강수량이 평년대비 22%수준으로 273mm가 부족하여 3,000ha에 가뭄이 발생하였다. 또한, 2013년 6∼7월, 기상관측사상 최악의 가뭄으로 기록되었으며, 강수량이 평년대비 25%수준으로 농작물 피해액은 약 1,700억원으로 추정하였고, 2016년 8~9월에는 강 수량이 평년대비 62%수준으로 가뭄이 극심하였다. 특히, 제주도는 중산간 지역(해 발 200∼600m)에 용수공급 불균형으로 급수량이 부족한 실정이며, 지하수위 저하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염지하수 유입으로 매년 염해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Table 4.3 The damage of agricultural drought from 1967 to 2017

제주연구원의 제주지역의 가뭄발생 특성과 중장기 대응방안(2017, 박원배 등) 연 구에 의하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제주도의 1일 1mm이하의 강수량 20일 이상 연속되는 기간의 무강수 일수를 조사하여 가뭄특성을 분석한 결과,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이 급증하게 되어 서부 해안지역의 경우 지하수위가 낮아져서 해수침투 문제 가 발생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2013년에는 강수량이 673mm로 평년대비 471mm가 부족하였으며, 9월 강수량은 9mm로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한경, 대정지역 공공 농업용 지하수 15개소에서 염분 이 검출되어, 이 중 3개소는 폐쇄 후 대체 관정을 개발하는 상황까지 발생한 것으 로 조사되었고, 2016년 동부지역의 경우에는 강수량이 2,256mm이고, 7. 14. ∼ 8.

26.까지 46일 동안 60mm의 강우가 있었지만, 간헐적인 소나기로 유효강우량이 부 족하여 작물 생육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7년의 제주도 평균면적 강수량은 1,396mm이었으나, 어승생 수원지의 장기가뭄 발생으로 중산간지역에 1개월 넘게 제한급수를 실시하였다(제주연구원, 2017).

표 4.4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1년간 제주기상대, 서귀포기상대, 성산기상대, 고산기상대의 기상 관측결과 20일 이상 무강수일수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 무강수 일 현황을 분석해 보면, 가장 장기간 무강수 일수는 42일로 2011년 12월 9일부터 2012년 1월 19일까지로 서귀포에서 발생했으며, 30일 이상의 무강수일은 2007년, 2009년, 2011∼2012년, 2012년, 2013년에 나타났으며, 4개 기상대에서 비슷한 기간에 20일 이상의 무강수일이 발생한 해는 2007년, 2008년, 2010년, 2012년, 2013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수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 제3장의 표 3.9와 비교해 보면, 4개 기상대 평균 강수량이 1,001.7mm인 2013년에 무강우 일수 30일 이상이 발생하 였으며, 강수량이 1,400~1,600mm에 분포하는 2008년, 2009년에 무강우 일수 20일 이상이 나타났고, 강수량이 2,000mm 이상인 2007년, 2012년에도 무강우 일수가 30 일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강수량과 무강우 일수는 비례하지 않 는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제주도 전역의 20일 이상 무강우 일 수가 주로 10월~ 2월까지로 늦가을과 겨울 기간에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4 Number of days of without rain in Jeju-do from 2007 to 2017

연도 제 주 서귀포 성 산 고 산

시작 종료 기간 시작 종료 기간 시작 종료 기간 시작 종료 기간 2007 11.2 12.01 30 10.27 12.01 36 10.27 12.01 36 11.09 12.09 38

2008 2.03 2.24 22 2.03 2.24 22 2.03 2.24 22 1.29 2.24 27 2010 11.11 12.01 21 11.11 12.01 21 11.11 12.01 21 11.09 12.01 23

2011 9.18 10.21 34 9.18 10.21 34 9.18 10.21 34 9.18 10.21 34

’12~’13 12.31 1.20 21 12.31 1.19 20 - - - 12.31 1.20 21

2013

1.01 1.20 20 - - - - - - 1.01 1.20 20 7.05 7.25 21 7.07 8.03 28 - - - 7.07 8.03 28 10.10 11.08 30 10.09 11.08 34 10.09 11.08 34 10.09 11.08 34

’13~’14 - - - - - - - - - 12.18 1.07 21

SPI value Classifications

2.00 < Extreme wet

1.50 ~ 1.99 Very wet

1.00 ~ 1.49 Moderately wet -0.99 ~ 0.99 Near normal -1.00 ~ -1.49 Moderate drought -1.50 ~ -1.99 Severe drought

-2.00 > Extreme dr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