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관계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 <<

2.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관계

개인의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여기에서는 행복과 우울의 정서적 행복, 삶의 만족도, 유데모닉 행복 등 행복 의 다차원을 다루었다. 우선 전반적인 사회통합 인식은 행복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 그 외 사회통합 인식의 하위 요소인 주관적 소득 계층이 긍정적일수록, 긍 정적인 사회이동을 경험한 경우, 선택과 통제가 자유로울수록, 사회적 관계가 적극적 일수록, 사회를 신뢰할수록, 관용적일수록 모든 차원의 행복은 긍정적인 신호를 보인 다. 반면, 소득 격차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행복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는데, 이러한 경향성은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직관적인 관계와 일치하며, 김미곤 등(2014), Delhey, J., & Dragolov, G.(2015), Adams, R. E., & Serpe, R. T.(2000), Mathieson, A., & Koller, T.(2008) 등의 선행 연구 결과와도 유사한 것이다.

사회통합 인식의 요소별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사회적 관계의 영향력이 삶의 만족도에 대해 0.676, 우울에 대해 –0.664, 유데모닉 행

복에 대해 0.637, 정서적 행복에 대해 0.566의 순으로 다른 사회통합 인식 요소 중에

여성 0.110 0.069 0.124 0.103 0.073 0.097 0.137* 0.088 0.119 0.111

(0.067) (0.066) (0.066) (0.066) (0.064) (0.067) (0.066) (0.065) (0.067) (0.067) 연령 -0.042** -0.036* -0.037** -0.040** -0.024 -0.036* -0.026 -0.031* -0.041** -0.042**

(0.014) (0.014) (0.014) (0.014) (0.014) (0.014) (0.014) (0.014) (0.014) (0.014) 연령제곱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로그 균등화

가구 총소득

0.180* 0.164* -0.024 0.096 0.101 0.177* 0.087 0.160* 0.162* 0.179*

(0.071) (0.070) (0.072) (0.071) (0.067) (0.070) (0.070) (0.069) (0.071) (0.071) 로그 균등화

자산

0.099*** 0.085*** 0.020 0.078** 0.062* 0.090*** 0.072** 0.082** 0.093*** 0.099***

(0.026) (0.026) (0.026) (0.026) (0.025) (0.026) (0.026) (0.025) (0.026) (0.026) 주관적 건강

상태

0.711*** 0.648*** 0.654*** 0.688*** 0.553*** 0.699*** 0.657*** 0.582*** 0.679*** 0.711***

(0.042) (0.041) (0.041) (0.041) (0.040) (0.042) (0.041) (0.041) (0.042) (0.042) 대졸 0.272*** 0.281*** 0.200** 0.271*** 0.273*** 0.266*** 0.211** 0.291*** 0.277*** 0.270***

(0.072) (0.071) (0.071) (0.072) (0.069) (0.072) (0.072) (0.070) (0.072) (0.072) 임금근로자 -0.349*** -0.350*** -0.248** -0.345*** -0.286*** -0.350*** -0.338*** -0.382*** -0.333*** -0.348***

(0.083) (0.081) (0.082) (0.082) (0.079) (0.082) (0.082) (0.080) (0.082) (0.083) 자영업자/

고용주

-0.175 -0.167 -0.112 -0.199* -0.234* -0.170 -0.233* -0.174 -0.162 -0.175 (0.098) (0.097) (0.097) (0.097) (0.093) (0.098) (0.097) (0.095) (0.098) (0.098) 실업자 -1.185*** -1.164*** -1.070*** -1.119*** -1.059*** -1.217*** -1.141*** -1.037*** -1.154*** -1.187***

(0.201) (0.198) (0.197) (0.199) (0.191) (0.200) (0.198) (0.195) (0.200) (0.201) 상수 2.968*** 2.565*** 3.510*** 2.502*** 1.932*** 4.011*** 2.239*** 2.375*** 2.354*** 2.824***

(0.447) (0.442) (0.441) (0.446) (0.428) (0.479) (0.447) (0.435) (0.463) (0.466) N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adj. R-sq 0.127 0.153 0.159 0.144 0.212 0.135 0.150 0.180 0.132 0.127 주: * p<0.05 ** p<0.01 *** p<0.001

그 외 주관적 소득 계층의 영향력도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 만족도

여성 0.196* 0.209** 0.187* 0.202* 0.230** 0.198* 0.164* 0.209** 0.190* 0.196*

(0.079) (0.079) (0.079) (0.079) (0.077) (0.079) (0.078) (0.079) (0.079) (0.079)

연령 0.029 0.027 0.027 0.028 0.013 0.028 0.011 0.023 0.029 0.029

(0.017) (0.017) (0.017) (0.017) (0.017) (0.017) (0.017) (0.017) (0.017) (0.017) 연령제곱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로그 균등화

가구 총소득

-0.264** -0.258** -0.135 -0.192* -0.190* -0.263** -0.155 -0.252** -0.253** -0.264**

(0.084) (0.084) (0.086) (0.084) (0.081) (0.084) (0.083) (0.083) (0.084) (0.084) 로그 균등화

자산

-0.004 0.000 0.045 0.014 0.030 -0.003 0.026 0.006 -0.001 -0.004 (0.031) (0.031) (0.032) (0.031) (0.030) (0.031) (0.031) (0.031) (0.031) (0.031) 주관적 건강

상태

-0.633*** -0.612*** -0.597*** -0.613*** -0.485*** -0.631*** -0.569*** -0.556*** -0.614*** -0.633***

(0.049) (0.050) (0.049) (0.049) (0.049) (0.049) (0.049) (0.050) (0.050) (0.049) 대졸 -0.041 -0.044 0.005 -0.040 -0.041 -0.040 0.031 -0.052 -0.044 -0.041 (0.085) (0.085) (0.085) (0.085) (0.083) (0.085) (0.085) (0.085) (0.085) (0.085) 임금근로자 0.386*** 0.386*** 0.322** 0.382*** 0.326*** 0.386*** 0.373*** 0.406*** 0.377*** 0.386***

(0.098) (0.098) (0.098) (0.097) (0.095) (0.098) (0.096) (0.097) (0.098) (0.098) 자영업자/

고용주

0.162 0.159 0.122 0.182 0.218 0.161 0.230* 0.162 0.154 0.162 (0.116) (0.116) (0.116) (0.116) (0.113) (0.116) (0.115) (0.115) (0.116) (0.116) 실업자 0.792*** 0.785*** 0.719** 0.735** 0.673** 0.798*** 0.740** 0.704** 0.773** 0.792***

(0.237) (0.237) (0.236) (0.236) (0.230) (0.238) (0.234) (0.236) (0.237) (0.237) 상수 5.991*** 6.125*** 5.647*** 6.391*** 6.964*** 5.810*** 6.846*** 6.345*** 6.357*** 5.995***

(0.529) (0.530) (0.529) (0.530) (0.516) (0.569) (0.529) (0.526) (0.549) (0.551) N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adj. R-sq 0.066 0.068 0.076 0.076 0.124 0.066 0.091 0.081 0.068 0.066 주: * p<0.05 ** p<0.01 *** p<0.001

선택과 통제의 자유는 유데모닉 행복을 가장 크게 증진하고, 그 외 영향력의 크기는 여성 0.129* 0.086 0.144* 0.120 0.082 0.114 0.161** 0.102 0.139* 0.129*

(0.062) (0.061) (0.061) (0.062) (0.057) (0.062) (0.061) (0.059) (0.062) (0.062) 연령 -0.038** -0.032* -0.033* -0.036** -0.016 -0.032* -0.019 -0.024 -0.037** -0.038**

(0.013) (0.013) (0.013) (0.013) (0.012) (0.013) (0.013) (0.013) (0.013) (0.013) 연령제곱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로그 균등화

가구 총소득

0.317*** 0.300*** 0.094 0.224*** 0.218*** 0.314*** 0.206** 0.293*** 0.295*** 0.316***

(0.066) (0.065) (0.066) (0.066) (0.060) (0.065) (0.065) (0.062) (0.066) (0.066) 로그 균등화

자산

0.150*** 0.135*** 0.064** 0.127*** 0.105*** 0.140*** 0.118*** 0.129*** 0.143*** 0.150***

(0.024) (0.024) (0.024) (0.024) (0.022) (0.024) (0.024) (0.023) (0.024) (0.024) 주관적 건강

상태

0.673*** 0.606*** 0.610*** 0.646*** 0.475*** 0.659*** 0.608*** 0.517*** 0.635*** 0.672***

(0.039) (0.038) (0.038) (0.038) (0.036) (0.039) (0.038) (0.038) (0.039) (0.039) 대졸 0.183** 0.192** 0.103 0.182** 0.184** 0.177** 0.110 0.205** 0.189** 0.180**

(0.067) (0.066) (0.066) (0.066) (0.061) (0.067) (0.066) (0.064) (0.067) (0.067) 임금근로자 -0.313*** -0.315*** -0.202** -0.308*** -0.234*** -0.314*** -0.300*** -0.353*** -0.295*** -0.312***

(0.077) (0.075) (0.075) (0.076) (0.070) (0.076) (0.075) (0.073) (0.077) (0.077) 자영업자/

고용주

-0.174 -0.165 -0.105 -0.200* -0.249** -0.169 -0.243** -0.173* -0.158 -0.175 (0.091) (0.090) (0.089) (0.090) (0.083) (0.091) (0.090) (0.087) (0.091) (0.091) 실업자 -1.326*** -1.304*** -1.200*** -1.252*** -1.168*** -1.362*** -1.273*** -1.148*** -1.289*** -1.328***

(0.187) (0.183) (0.182) (0.184) (0.170) (0.186) (0.183) (0.177) (0.186) (0.187) 상수 1.438***(0.416) (0.410)1.017* 2.032***(0.407) (0.413)0.921* (0.380)0.141 2.594***(0.445) (0.412)0.567 (0.395)0.724 (0.430)0.712 1.279**(0.434) N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adj. R-sq 0.148 0.180 0.191 0.172 0.299 0.159 0.186 0.236 0.156 0.148 주: * p<0.05 ** p<0.01 *** p<0.001

지난 10년 동안의 사회이동 경험은 삶의 만족도(0.400)를 가장 크게 증진하고, 정서

여성 0.069 0.047 0.081 0.063 0.022 0.064 0.100 0.049 0.073 0.069

(0.061) (0.061) (0.060) (0.060) (0.055) (0.061) (0.060) (0.059) (0.061) (0.061) 연령 -0.002 0.001 0.002 -0.001 0.020 -0.000 0.015 0.008 -0.002 -0.002 (0.013) (0.013) (0.013) (0.013) (0.012) (0.013) (0.013) (0.013) (0.013) (0.013) 연령제곱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로그 균등화

가구 총소득

0.254*** 0.245*** 0.079 0.184** 0.154** 0.253*** 0.150* 0.236*** 0.246*** 0.253***

(0.064) (0.064) (0.065) (0.064) (0.058) (0.064) (0.063) (0.062) (0.064) (0.064) 로그 균등화

자산

0.088*** 0.080*** 0.021 0.070** 0.042* 0.085*** 0.058* 0.073** 0.085*** 0.088***

(0.024) (0.024) (0.024) (0.024) (0.021) (0.024) (0.023) (0.023) (0.024) (0.024) 주관적 건강

상태

0.572*** 0.537*** 0.523*** 0.552*** 0.371*** 0.567*** 0.510*** 0.458*** 0.558*** 0.571***

(0.038) (0.038) (0.037) (0.038) (0.035) (0.038) (0.037) (0.037) (0.038) (0.038) 대졸 0.269*** 0.274*** 0.206** 0.268*** 0.270*** 0.267*** 0.200** 0.285*** 0.271*** 0.265***

(0.065) (0.065) (0.065) (0.065) (0.059) (0.065) (0.064) (0.064) (0.065) (0.065) 임금근로자 -0.035 -0.036 0.052 -0.031 0.045 -0.036 -0.023 -0.065 -0.029 -0.033 (0.075) (0.074) (0.074) (0.074) (0.067) (0.075) (0.073) (0.073) (0.075) (0.075) 자영업자/

고용주

0.232** 0.236** 0.286** 0.212* 0.156 0.233** 0.167 0.232** 0.237** 0.231**

(0.089) (0.089) (0.088) (0.088) (0.080) (0.089) (0.087) (0.086) (0.089) (0.089) 실업자 -1.510*** -1.499*** -1.411*** -1.454*** -1.350*** -1.521*** -1.461*** -1.380*** -1.496*** -1.512***

(0.182) (0.181) (0.179) (0.181) (0.164) (0.182) (0.178) (0.177) (0.182) (0.182) 상수 2.272*** 2.054*** 2.737*** 1.880*** 0.960** 2.629*** 1.451*** 1.749*** 2.003*** 2.084***

(0.405) (0.404) (0.400) (0.405) (0.367) (0.436) (0.402) (0.395) (0.421) (0.422) N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3595 adj. R-sq 0.134 0.143 0.162 0.148 0.299 0.135 0.170 0.184 0.135 0.134 주: * p<0.05 ** p<0.01 *** p<0.001

그 외 사회 신뢰, 관용은 삶의 만족도, 정서적 행복인 행복을 비교적 크게 증진하고, 상대적으로 유데모닉 행복과 우울에 대한 영향력은 크지 않게 나타났다. 소득 격차 인 식은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행복, 유데모닉 행복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데에 비해, 우울에 대한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상대적으로 유데모닉 행복(0.083) 에 비해 삶의 만족도(0.268)와 정서적 행복(0.242)에 대한 영향력이 비교적 크다. 마 지막으로 이념적 경향이 행복을 증진하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지 않다.

제4절 소결

높은 사회통합 수준이 국민 개개인의 높은 행복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합된 사회기반은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합된 사회는 행복한 국민의 필요조건이라기보다 충분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장의 분석 결과는 이와 같이 사회통합이 개개인의 행복을 증진한다는 영향 경로에 대하여 실증적 인 근거가 된다. 즉, 긍정적인 사회통합 인식은 개인의 행복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며, 사회통합 인식의 하위 구성 요소 또한 개인의 행복을 유의하게 증진시킨다. 결국, 사회 정책의 궁극적 목적으로서 사회 구성원의 행복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의 사회통합 정책을 도입, 강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사회적 관계망을 지원해야 한다. OECD에서 발표한 더 나은 삶의 질 지표 (Better Life Index)에 따르면, 한국의 사회적 관계 수준은 2013년 이후 멕시코와 함 께 OECD 가입국 중 최하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21)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사 회적 관계의 질이 사회통합을 실현하고 행복 수준을 증진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간 과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따라서 어려운 상황에서 정서적인 지지를 나누고, 아플 때에 간병을 도우며,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통합정책의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개인의 선택과 통제의 자유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21) OECD Better Life Index(stat.oecd.org에서 2016.10.18. 인출).

인도인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은 개개인이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사 회가 사회 발전의 최종 목적이라고 주장하며, 경제발전은 이를 위한 수단인 것으로 보 았다(Sen, 1999, p.3). 획일적인 방식의 삶을 강요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식의 삶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통합된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셋째, 사회 구성원이 행복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고, 나와 다른 타인을 수용할 수 있 는 관용적인 사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우슬래너(Uslaner, 2002; Rothstein and Uslaner, 2005)는 자신의 연구와 동료의 연구에서 미국의 경험을 들어 다른 사회 구 성원과 외부 사회에서 온 낯선 사람들에 대한 높은 신뢰가 사회를 단단하게 통합하게 하고, 개인의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부패 수준을 줄이고, 사회 구조의 공평성을 담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계는 비단 미국의 것 만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신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사회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소득 계층과 사회이동 경험, 소득 격차 인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객관적 소득 계층과 같이 주관적 소득 계층 또한 필연적으로 구분될 수밖에 없다.

모두가 고소득자라고 인식할 수는 없고,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소득이라고 인식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이동 가능성을 통해 주관적 소득 계층의 차이나 소득 격차 인 식이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결국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는 있다.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