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사회적 불안 연관어 분석 결과

뉴스와 블로그‧카페의 불안, 불안+사회, 불안+스트레스 연관어를 순위 별로 검토하였다. 높은 순위의 연관어가 불안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된 것 으로 사회적 불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시사한다고 이해해도 무방하다 고 판단하였다. 연관어 분석에서 뉴스와 블로그‧카페는 구분하였다. 이유 는 뉴스의 경우 사회적 관심사를 반영하지만 한편 주도적으로 이슈를 발 굴하여 기사화하는 경향도 있기 때문이다. 뉴스는 댓글도 연관어 검색에 서 포괄하고 있지만 이미 언론사의 기사로부터 댓글도 영향을 받을 수 있 으므로 뉴스와 사회 구성원 개인들의 온라인 활동인 블로그‧카페를 구분 하여 연관어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검색 원천을 고려하여 결과를 해석 하고자 노력하였다.

1. 2007년 연관어 분석 결과

2007년 불안 연관어를 불안과 불안+사회, 불안+스트레스로 구분하여 보자면 뉴스의 경우 연관어가 주로 경제, 시장, 금융 그리고 정부로 구성 된다. 주택, 유가도 주요 연관어로 나타났다. 불안+사회 연관어는 경제 중심의 단어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불안의 연관어와 유사하다. 그러나 비 정규직, 교육 등은 중간 즈음에 위치하여 불안 연관어와 비교하여 중요성 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스트레스에서는 주로 건강, 교육 등이 주 요 연관어로 상위에 위치한다. 영어도 중요한 연관어였다.

<표 4-4> 2007년 뉴스의 주요 연관어 분석 결과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불안과 연관된 주제의 순위를 보아도 뉴스에서는 경제/금융, 정치/사 회가 주요한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이러한 현상 은 불안, 불안+사회, 불안+스트레스에서 유사하였다. 상이점은 불안+스 트레스에서는 다른 검색어와 비교하여 건강 주제에서 연관 기사 비율이 높았다는 것이다.

[그림 4-1] 불안 키워드의 2007년 뉴스 기사 주제 분석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블로그와 카페를 중심으로 한 연관어 분석 결과에서는 불안 연관어로 주택, 부동산, 투자, 교육과 건강이 주요 위치를 점하였고, 불안+사회, 불 안+스트레스 연관어도 유사하였다. 카페와 블로그의 연관어에서도 큰 차 이는 없었다. 이러한 주요 연관어는 앞서 살펴본 뉴스의 연관어 순위와는 상이하다.

<표 4-5> 2007년 블로그와 카페의 단어 빈도 분석 결과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불안과 관련해 2007년 블로그와 카페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 ‘불안+사회’, ‘불안+스트레스’ 검색어에 따라 주제 분포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불안’으로 분석한 결과 정치/사회 주 제가 가장 높은 비율의 분포를 보였고, ‘불안+사회’ 검색어로 분석한 결 과 정치/사회 주제가 가장 높은 비율의 분포를 나타냈다. 그리고 ‘불안+

스트레스’ 검색어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건강/다이어트/의료 주제가 가장 높은 수준의 분포를 보였다.

[그림 4-2] 불안 키워드의 2007년 블로그와 카페의 주제 분석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2. 2015년 연관어 분석

2015년 연관어 분석에서는 메르스가 연관어 검색에 매우 큰 영향을 주 고 있다. 당해 연도에 메르스가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었으므로 자연스 러운 결과라 할 수 있다. 다만 메르스가 다른 연관어의 위치나 연관어 관 계를 심각하게 변화시켜 메르스가 없는 일상적 상황의 불안과 연관된 주제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메르스를 제거하고 연관어를 분석하 였다.

불안 관련 연관어 중 시장, 경제 관련 단어가 중요한 연관어였으며 북 한, 대통령, 주택도 주요 연관어였다. 고용과 관련된 연관어는 불안+스트 레스에서는 낮은 빈도의 연관어였다. 그러나 불안, 그리고 불안+사회와 는 높은 수준의 연관성을 보였다. 불안+사회 연관어는 불안 연관어와 유 사하지만 청년이 비교적 높은 수준의 빈도를 갖는 주요 연관어로 포함되 었다. 불안+스트레스에서는 불안, 그리고 불안+사회 연관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건강 관련 단어가 빈도가 높은 연관어였다. 메르스를 포함할 경우 병원, 환자, 격리와 같은 주제가 불안, 불안+사회와 높은 수준의 빈 도로 연관되는 주제였다. 기타 연관어 구성은 메르스를 제거한 연관어 순 위와 유사하였다.

<표 4-6> 2015년 뉴스 기사의 단어 빈도 분석 결과(메르스 제외)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검색어와 관련된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과 ‘불안+스트레스’

를 검색어로 한 경우 정치/사회가 가장 높은 연관어 주제로 나타났고, 경 제/금융/증권/부동산, 건강/다이어트/의료가 그 뒤를 이었다. ‘불안+스 트레스’ 검색어로 한 경우, ‘불안’, ‘불안+사회’ 검색어로 분석했을 때보 다 건강/다이어트/의료 주제의 연관 비율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4-3] 불안 키워드의 2015년 뉴스 기사 주제 분석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불안 관련 블로그·카페의 연관어는 주로 건강과 관련된 개념들이 상위 에 위치하고 있다. 10위권 내에는 북한 외 모두 건강 관련 연관어이다. 불 안+사회 연관어는 가족, 건강과 정신건강, 교육, 그리고 북한과 경제 관 련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안+스트레스 연관어는 10위권 내가 모두 건강 연관어였다. 블로그·카페의 불안 관련 연관어가 극히 증가하였던 시 기인 4월 말에는 불안장애 극복 방법에 대한 댓글이 71개나 되었다.

<표 4-7> 2015년 블로그·카페의 단어 빈도 분석 결과(메르스 제외)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연관어를 출현 빈도 주제 중심으로 보자면 ‘불안’ 검색어로 분석한 결 과 정치/사회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불안+사회’ 검색어로 분석한 결과 정치/사회 주제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불안+스트레스’ 검 색어로 분석한 결과 건강/다이어트/의료 주제가 가장 높은 비율의 연관 어 분포를 보였다.

[그림 4-4] 불안 키워드의 2015년 블로그와 카페의 주제 분석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3. 2018년 연관어 분석 결과

뉴스 기사의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한 불안 연관어를 보면 2018년 경 제, 금리와 대통령, 정부가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불안+사회, 불안 +스트레스 연관어도 유사하다. 그러나 불안과 비교하여 이 두 검색어에 서는 노후소득, 여성, 정신건강 연관어가 높은 빈도로 등장하고 있다. 블 로그와 카페의 연관어 빈도 분석에서는 불안 연관어로 투자, 건강, 정부, 대통령이, 불안+사회 연관어에서는 건강과 더불어 가족과 북한 그리고 대통령이, 불안+스트레스 연관어로는 건강, 노인 연관어가 상위에 위치 하고 있다.

<표 4-8> 2018년 뉴스 기사의 단어 빈도 분석 결과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뉴스 기사의 연관어를 주제를 중심으로 보자면 불안과 관련된 2018년 뉴스 기사 본문을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 안’과 ‘불안+스트레스’를 검색어로 한 분석에서 정치/사회가 가장 높은 수준의 연관어 분포를 보였고, 경제/금융/증권/부동산, 건강/다이어트/

의료 주제가 그 뒤를 이었다. ‘불안+스트레스’ 검색어의 경우, ‘불안’, ‘불 안+사회’ 검색어로 분석했을 때보다 건강/다이어트/의료 주제의 분포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4-5] 불안 키워드의 2018년 뉴스 기사 주제 분석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블로그·카페의 출현 빈도 100위 내 연관어 주제를 분석하면, ‘불안’ 검 색어에서는 정치/사회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불안+사회’를 검색어 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치/사회 주제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그 리고 ‘불안+스트레스’ 검색어에서는 건강/다이어트/의료 주제가 가장 높 은 연관어 비율을 보였다.

[그림 4-6] 불안 키워드의 2018년 블로그와 카페 주제 분석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표 4-9> 2018년 블로그와 카페의 단어 빈도 분석 결과

자료: 네이버. https://www.naver.com/; 다음. https://www.daum.net/.

4. 연관어 변화 분석 결과

비교하는 3개 연도의 불안 연관어는 뉴스의 경우 주로 경제, 시장 그리 고 정부 중심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언론의 경우 불안과 관련 하여 주로 시장경제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언론에서는 정부, 주택도 주요 기사로 다루어 역시 높은 빈도로 출현하는 연관어로 나타났 다. 2015년 이후 뉴스에서는 불안과 관련하여 안전, 노동‧고용, 북한이 연관어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사회 구성원의 불안 인식에도 영향 을 주었을 것이며 국민의 관심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존재한 다. 반면 뉴스에서도 불안+사회, 그리고 불안+스트레스 연관어는 상이하 다. 불안+사회 연관어로 교육과 고용 문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차 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청년이 상위 연관어로 등장하고 있다. 2018년에 는 시장보다 소득, 국민연금이 더 상위에 위치한다. 경제와 더불어 소득, 국민연금 등이 연관어 순위 높다. 불안+스트레스에서는 상대적으로 직 장, 교육, 영어, 수면 등 건강 이슈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고, 여성 문제도 상위의 연관어로 등장하였다.

블로그·카페의 경우 불안과 관련하여 건강, 공부와 교육, 가족이 중요 한 연관어로 순위를 유지하고 주택과 부동산은 2007년 이후에도 주요 연

블로그·카페의 경우 불안과 관련하여 건강, 공부와 교육, 가족이 중요 한 연관어로 순위를 유지하고 주택과 부동산은 2007년 이후에도 주요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