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업별 정책개선 사안

문서에서 지방분산 (페이지 188-197)

1) 울산 산업단지혁신클러스터 추진단의 사업영역의 공간적 확대

울산추진단의 업무영역을 주대상지인 국가산업단지를 포함해서 울산지역 및 인근지역의 지방산업단지 및 농공단지로 확대함으로써 광역권 자동차 클러스터 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관련 지자체들이 울산추진단의 사업에 더욱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림 VI-2> 울산추진단 사업영역 확대

2) 대덕 연구개발 특구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출연연 관련 제도개선

현재의 대덕 연구개발특구 사업은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성과의 발굴과 창 업지원, 국제 네트워크 사업 등에 국한되고 있다. 대덕 R&D 성과의 산업화에 있 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ETRI, 생명공학연구원 등 대덕에 입지한 출연연으로부 터의 창업 및 기술이전의 활성화이며, 대덕의 출연연으로부터 창업 및 기술이전 이 활성화되려면 정부조달 시장의 활성화를 통한 연구개발 성과의 시장 조성, 출 연연의 조직 및 운영 체계 개편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혁신 체제에서 출연연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과 국가적 합의의 과정이 필요하다.

3) 오송 생명공학연구단지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광역자치단체 및 부처간 협력체계 구축

오송 사업은 BT 산업의 육성이라는 국가적 목표와 균형발전을 동시에 추구하 고 있으며 현재 단지기반 조성, 우수 기업 및 연구소 유치, 국책기관 이전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바이오산업 가치사슬의 공간적 분포와 바이오 연구개발

학연구원에서 창업한 대전의 바이오기업이 성장하면서 수도권으로 이전하고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 등의 지원을 받는 것이 인근 지역에서 나타 나고 있다. 오송 사업이 바이오 관련 국책기관을 지리적으로 집적시켜 국가적 바 이오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바이오산업의 지리적 메커니즘을 적절히 활용하고 촉진시킬 수 있도록 관련 지자체와 부처를 포함하 는 추진체계와 협조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R ․ E ․ F ․ E ․ R ․ E ․ N ․ C ․ E

참 고 문 헌

강병수. 2004. 대덕밸리 R&D특구 지정에 따른 대전 3․4산업단지의 발전방향,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 15권

고영구. 2001. “충북지역 산업단지개발사업의 추진실태 및 평가연구(오창 및 오송단지를 중심으로)”, 충북개발연구원, 「충북연」, Vol.2000, No.9 과학기술부. 2005. 「대덕특구 육성을 위한 정책발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5. 「연구개발특구육성종합계획(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산업자원부. 2004. 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화 추진방안(제 45회 국정과제 보고회의)

김주한 외. 2003. 「바이오클러스터의 성공조건과 발전방안」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05. 「지구단위계획변경」

문화관광부. 2003.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 향후 추진계획」

문화관광부. 2004. 「지방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현황 및 기본운영계획」

문화관광부. 2005. 「2005년도 지방문화산업클러스터 운영계획 보고(안)」

문화관광부. 2005. 「문화관광자원개발 활용관련 문화산업클러스터 추진현황」

문화관광부. 2006. 「문화산업백서」

보건복지부 기술협력관. 1999. 보건의료과학단지 조성 추진 계획 :

‘98정부업무심사평가결과 검토

보건복지부. 2006. 2006년도 주요업무 시행계획

보건복지부. 2006.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사업 중간점검 및 향후 추진계획」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2005.1.17. 7개 시범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사업 본격 추진 삼성경제연구원. 2002. 부천시 만화산업 클러스터 중장기발전전략

오송생명과학단지. 2004. 오송단지현황보고자료 울산광역시. 2006. 2006년 울산지역 제조업체 현황

울산산업단지혁신클러스터추진단. 2005. “울산단지혁신클러스터 Master Plan 타당성 분석”

이경기․황희연. 2002. “충북 오송생명과학 시범도시 추진방안”, 충북개발 연구원,

「충북연」, Vol.2002, No.9

이경민 외. 2003. “보건과학기술원 설립을 위한 실행방안 수립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경민 외. 2004. “오송생명과학단지의 효율적 관리운영 및 해외투자 유치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병민. 2003. “국토논단 : 지역 문화산업의 발전방향과 정책과제 -지역 문화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클러스터 육성전략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국토」, Vol.261, No.0

이승철. 2003. 대덕밸리의 지식생산 네트워크 기반의 혁신체제 구축, 대한지리학회지 제 38권 제 2호

이종열․박광국․주효진, “문화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전망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1, No.0

이종열 외. 2005. “한국의 혁신클러스터 발전방안: 산업단지 클러스터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 15권 제 2호 임덕순. 2004. “대덕혁신클러스터의 위상 및 발전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2004년 9․10월호

임학순. 2004.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사전평가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 15권 제 2호

장임원 외. 2000. “보건의료과학단지 조성지원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장임원 외. 2001. “보건의료과학단지 조성지원연구II”,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조영석. 2005. “산업단지 중심의 혁신클러스터 형성전망과 사례: 서울디지털

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7권 제 1호

조욱현. 1997. “오송보건의료과학단지 개발방향 ; 오송 보건의료과학단지 건설과 충북의 발전”, 충북개발 연구원, 「충북리포트」, Vol.4, No.3,

최윤희 외. 2004. 「의료산업육성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2006. 상반기 울산지역 수출입동향 통계자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문화산업클러스터 지형도 작성을 통한 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6.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발전단계 및 정책과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한국산업단지공단. 2006. 「산업단지 산업동향」

황혜란. 2004. “대덕 R&D특구 육성의 방향과 추진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2004년 11․12월호

OECD. 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aris.

Raines P. 2002. Clusters and prisms, Raines P (ed), Cluster Development and Policy, Ashgate, pp. 159-177.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홈페이지(www.balance.go.kr)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원본부 홈페이지(www.ddinnopolis.or.kr) 산업자원부 홈페이지(http://www.mocie.go.kr/)

오송생명과학단지 홈페이지(http://bio-osong.mohw.go.kr) 충청북도 홈페이지 (http://cb21.net)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홈페이지(www.itep.re.kr)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 산학연 정보통합망(www.e-cluster.net)

제 2편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지방화 진단과 대응과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 구 진

연구책임 김현호 균형발전센터 소장

1

C ․ H ․ A ․ P ․ T ․ E ․ R ․ 1

연구의 개요

문서에서 지방분산 (페이지 188-19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