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틀로서의 혁신클러스터 1) 산업클러스터

산업으로서 생물의약품의 경우 부가가치의 비중이 60%를 넘는 제품8)도 있다. 또한 이 종기술(IT․ET)과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집적화 산업이며, 전자정보 기술을 확보한 기 업이 진입하기에 유리한 것도 바이오산업의 특성 중 하나이다. 바이오산업에 적용되는 생명공학 기술은 IT산업과 마찬가지로 기반기술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화학, 기계, 전 자, 소재기술 등을 통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소모품, 서비스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 하여 기술․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편이다.

또한 바이오산업은 새로운 물질의 창출과 같은 기초기술의 성과가 곧 특허권의 형 태로 나타나 곧 산업화에 직결되기 쉽기 때문에 기초기술과 산업기술 간의 경계가 없 다. 이로 인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도출되는 기초연구의 성과를 사업화로 연결시키 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9).

한편 바이오 제품은 실험에서 임상단계를 거쳐 상품화하기까지 오랜 시간과 비용 이 필요하므로 투자자본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부존자원이 아닌 고급인력 및 지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연구 전문인력과 자금조달 환경이 뛰어난 기존의 산업지역에 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바이오산업이 서울과 같이 고급 인력풀과 금융시장이 발달한 지역에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 분석틀로서의 혁신클러스터

1) 산업클러스터

최근 지역경제의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속에서 지리적 근접의 중요성이 오히려 커지고 있다. 특히 기업이 특정한 국가나 지역에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경 향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적 관점에서의 산업클러스터 개념은 알프레드 마샬(1890)로부 터 시작되어, 산업지구(industrial district) 및 신산업지구(new industrial district)의 개 념을 거쳐, 포터(1990)의 국가 경쟁력과 산업클러스터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을

8) 대표적인 생물산업 제품으로 항암제 인터페론은 1g당 가격이 5,000달러로서 금의 357배, 반도체 (256M DRAM)의 14배이며, 부가가치비중도 60%로 매우 높은 제품이다.

9) 대학의 기초연구 성과가 직접 사업화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학의 실험실 창업에 큰 기대를 걸 수 있다. 가령 미국 바이오산업 클러스터의 핵심은 대학 실험실 출신의 벤처이며, 과학 자 창업이나 바이오업계 창업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통해서 정립되었다. 이러한 산업클러스터는 ‘상호 연관된 기업 및 기업지원 집단들의

13

2) 혁신클러스터

‘혁신클러스터’는 독립적 경제활동 주체들의 단순한 집중이 아니라, 상호 관련된 업 체들의 왕성한 협력 네트워크가 산업의 혁신으로 연결되는 경제활동의 집적 및 네트워 크를 지칭한다. 또한 산업 군집을 주축으로 금융 및 제도적 환경, 지식 하부구조, 생산 의 특화, 수요 등을 바탕으로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지역의 생산과정이나 새로운 기술, 지식의 창출, 교류, 확산에 상호협력 함으로써 혁신을 가능케 하는 집합적 시스템을 의 미한다. 혁신클러스터는 종래의 생산 및 거래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단순한 산업집적 지가 아니라, 기술혁신 및 지식창출의 근원지이므로, 지역 및 산업 경쟁력 향상의 원천 으로서 혁신에 기반한 클러스터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네트워크나 클러스터가 중요해지는 이유는 혁신의 원천이 되는 지식 중에 맥락 제 한적이며 지역 및 기업 특수성을 지닌 경우10)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식들을 산업 혁신으로 연결시키려 할 경우에는 반드시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의 과정이 있 어야 한다. 결국 지식을 혁신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자동적이지 않고, 반드시 학습이라 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혁신에 있어서 학습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학습 은 개별기업의 범위를 벗어나 혁신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공통된 지식을 창출하고 이전 하는 기제(Capello, 1999)로서 클러스터 내에 형성된 지식이나 기술 등의 성과가 관련 주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재가 되어 혁신 과정의 성과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 와 같은 학습을 통한 혁신의 가능성은 가치사슬 내의 전후단계에서 선형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가치사슬의 여러 단계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발생하게 된다. 혁신클러스터는 지식 학습의 외부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스터 의 주체,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 및 연계, 이들과 관련된 지원조직이나 기관, 제도 등의 혁신환경으로 구성된다.

혁신클러스터의 구성주체는 기업, 공급자, 고객, 경쟁자, 관련 산업의 기업들, 직업 훈련기관, 제도, 협회 등이며 이들은 기업군, 공급자 기업군, 경제 하부구조 지원군(인

10) 지식은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가능하지만, 문서화 또는 코드화 될 수 있느냐에 따라서 명 시지(codified knowledge)와 암묵지(tacit knowledge)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는 신문 등이라면, 후자의 경우는 know-how등을 들 수 있다. 맥락 의존적이면서도 기업 및 지역 특수성을 갖는 지식은 일반적으로 후자의 경우가 많으며, 산업적으로도 여전히 이러한 지식은 혁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력, 행정, 정보, 금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혁신 클러스터 내 주체들의 양적 현 황(클러스터 깊이) 및 클러스터 내 관련 주체들의 다양성(클러스터 너비)은 외부경제 및 상호협력의 토대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 및 연계는 기업간, 기업․공공․민간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되며, 상호작용의 강도와 질이 클러스터 의 성격규정과 산업발전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집적경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 산업클러스터에서 혁신클러스터 로 발전할 경우, 집단학습 등을 통한 혁신시너지 창출로 인해서 혁신 수행력이 높아져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혁신클러스터가 형성될 경우 지역 내 경제주체의 기술 인력의 이전 등이 원활히 이뤄지면서 새로운 기술과 혁신에 대한 집단학습이 용 이해진다. 또한 집단적 학습을 통해 형성된 잠재적 혁신능력을 실질적인 수익으로 전 환할 수 있는 각종 혁신지원체제가 구축된다면 혁신시너지를 창출하여 혁신 수행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바이오산업이 지닌 산업적 특성 곧 연구개발의 성과가 사업화로 직결되는 특 성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바이오산업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될 경우 앞서 지적한 집단적 학습 및 혁신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연구기관과 벤처기업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사업 성 공가능성이 높은 기술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연구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성공률도 높아져 혁신 수행력이 한층 더 높아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1).

3) 연구의 분석틀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그림과 같이 서울지역 바이오산업들의 클러스터 형성과 지 속적인 혁신환경 창출을 위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있으므로 산업클러스터와 지역혁신 체계를 아우르는 혁신클러스터를 분석의 틀로 채택하고자 한다.

산업클러스터의 형성을 통한 지역혁신환경의 조성을 위해서는 공공/민간연구소, 대 학연구소, 병원시설 등 바이오산업 핵심의 연구개발기능을 중심으로 바이오벤처와 관

11) 이와 관련하여서 Fabiani and Pellegrini(1998)는 혁신클러스터에 소속된 바이오기업이 그렇지 못 한 기업에 비해 40%이상 수익이 높다는 사실을, Bergman and Feser(1999)는 혁신클러스터 형 성이 잘된 지역이 그렇지 못한 지역에 비해 혁신수행력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 바이오산업에서 혁신 클러스터 조성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15

또한 바이오산업은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의 중요성이 큰 산업이므로 직접 적인 사회적 접촉과 구체적인 행위를 통한 학습이 중요하다. 즉 부가가치 가치사슬 내 의 네트워크 참여 주체들간 긴밀한 접촉이 가능한 네트워크와 클러스터의 형성이 부가 가치 창출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부가가치 사슬상의 네트워크는 기업간 관계뿐만 아니 라 공공부문의 역할(지원인프라의 제공), 자본 부문(벤처캐피탈, 엔젤)의 제도적 지원, R&D기관의 네트워크 모두 핵심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서울지역이 바이오산업의 혁신클러스터를 창출해 낸다면 스스로를 강화하는 누적적 선순환(virtuous circle)이 작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신창호, 2001). 특히 특정산업의 유치를 둘러싸고 지방정부 사이의 경쟁이 첨예해져 공공정책 이 이러한 선순환 과정에 본격적으로 개입할 경우, 클러스터는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

성장의 경로에 들어선 클러스터가 제공할 수 있는 풍부한 기회와 경제적 이익이 관련 기업들에게 대외적으로 알려지고, 기업가들과 기술 인력들의 주목이 집중됨으로써 아 이디어와 숙련을 가진 산업 주체들을 유인할 것이다.

제 1 절 바이오산업 관련 법률

제 2 절 국내 주요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

第 Ⅱ 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