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패널분석(장기확률효과모형, Longitudinal random effect model) 가) 의료공급자 요인에 따른 효과 변이 분석

의원 단위 자료의 패널 특성을 이용한 확률효과모형 분석의 패널분석 결과, 월별 시계열 트랜드의 경우 주사제 처방률에서 다른 조건을 통제하였을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감지급사업 도입 전후의 처방률의 평균적 차이를 보면, 정책 도입 전에 비해 도입 후 전체 처방률항목의 평균은 각각 항생제 처방률 0.69%p, 주사제 처방률 0.40%p, 6품목이 상 처방률 1.1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의료기관의 상대적 처방규모는 지역 내 ‘75분위이상’의 의원에 비해 이외 범주의 의원 에서 각각의 지표 처방률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처방 규모가 큰 범위에 속할수록 항생제, 주사제, 6품목이상의 처방률의 감소가 적게 나타났다.

의원 진료과목에 있어서는 항생제지표 평가대상의 경우, 이비인후과에 비해 다른 진료 과목(소아청소년과, 내과, 일반의,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신경 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에서 모두 처방률이 낮게 나왔으며 산부인과, 흉부외과, 재활의학과를 제외한 과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13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주사제지표 평가대상의 경우, 이비인후과에 비해 소아청소년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 학과, 안과에서 주사제 처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이비인후과에 비해 내과, 일반의,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피부과, 비뇨기과에 서 주사제 처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6품목이상 지표 평가대상의 경우, 이비인후과에 비해 일반의, 산부인과, 외과, 흉부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안과, 피부과, 비뇨기과, 정신 건강의학과, 성형외과에서 6품목이상 처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이비인후과에 비해 소아청소년과, 내과에서 처방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 타났다.

Specification: Yit01Timeit2Interventiont3Volume_classit4codeiti+eit

항생제 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품목이상 처방률 의원

월별

처방률 시계열 트렌드

가감지급사업 시행 전후 년 월 기준 의료기관의 상대적 처방규모

진료과목

μ 의료기관 월별로 변동되지 않는 특성 에러항

<표 62> Longitudinal random effect model: 의료공급자 요인에 따른 효과 변이 분석

www.hira.or.kr 135

intervention(가감 후) -0.69** (0.23) -0.40** (0.08) -1.15** (0.06)

intervention(가감 전)†            

13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나) 가감지급사업 이후 의원 처방행태의 월별 시계열 트렌드 변화 분석

의원 단위 자료의 패널 특성에 따라 처방률이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정책변수와 시계열 트랜드의 상호작용(interaction term)을 추가한 모델을 분석하였다.

의원 처방행태에 대한 월별 시계열 트렌드와 가감지급사업(정책요인)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주사제 처방률과 6품목이상 처방률에서 정책 도입 전에 비해 다른 조건을 통제하였 을 경우 각각 0.05%p와 0.13%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생제 처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월별 변화가 없었다.

패널분석에 정책변수와 시계열 트랜드의 상호작용을 추가한 결과, 월별 항생제 처방률 의 추세방향이 상호작용의 영향으로 인해 가)의 패널분석(의료공급자 요인에 따른 효과 변 이 분석) 결과와 상이하게 바뀌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월별 주사 제 처방률은 0.06%p 감소, 6품목이상 처방률은 0.19%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감지급사업 전‧후의 차이는 도입 후 항생제 처방률이 1.36%p 유 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사제 처방률과 6품목이상 처방률은 가)의 패널분석 결과와 상이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외 의료기관의 상대적 처방규모와 진료 과목의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가)의 패널분석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Specification: Yit=β0+β1Timeit+β2Interventiont+β3Timet(Interventiont)+β4Volume_classit+β5codeiii+eit

항생제 처방률 주사제 처방률 품목이상 처방률 의원

월별

처방률 시계열 트렌드

가감지급사업 시행 전후 년 월 기준

시계열 트렌드와 가감지급사업 상호 작용 의료기관의 상대적 처방규모

진료과목

μ 의료기관 월별로 변동되지 않는 특성 에러항

<표 64> Longitudinal random effect model: 가감지급사업 이후 의원 처방행태의 월별 시계열 트렌드 변화 분석

www.hira.or.kr 137 constant 50.98** (1.29) 18.13** (0.80) 15.95** (0.50)

time‡ -0.02 (0.04) -0.06** (0.01) 0.19** (0.01)

13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 가감지급사업 이후 의원 처방행태가 진료과목과 진료규모에 따른 변화 분석 의원단위 자료의 패널특성에 따라 처방률이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정책변수와 의원 진료과목 및 진료규모에 대한 상호작용(interaction term)을 분석에 추가 하였다.

의원 처방행태에 대한 가감지급사업(정책요인)과 의료기관의 상대적 처방규모(지역 내 명세서건수 규모의 분포 위치) 및 진료과목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의료기관의 상대적 처 방규모와 가감지급사업의 상호작용은 항생제 처방률의 경우 ‘75분위이상’에 비해 ‘25분위 미만’과 ‘50분위이상 75분위미만’에서 다른 조건을 통제하였을 때 정책 도입 전에 비해 도 입 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주사제 처방률은 ‘75분위이상’에 비해

‘25분위이상 50분위미만’, ‘50분위이상 75분위미만’에서 다른 조건을 통제하였을 경우 가 감지급사업 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진료과목과 가감지급사업의 상호작용은 항생제 처방률의 경우 정책 도입 전에 비해 도입 후(이비인후과 대비) 소아청 소년과 0.82%p 상승, 일반의 0.87%p 감소, 신경외과 3.76%p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사제 처방률의 경우, 이비인후과에 비해 내과, 일반의, 가정의학과, 산부인과, 외과, 신경 외과,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안과, 피부과, 비뇨기과에서 정책 도입 후 처방률이 감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품목이상 처방률의 경우, 이비인후과에 비해 소아청소년과, 내과, 일반의, 가정의학과,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정책 도입 후 처방률이 감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패널분석에 정책변수와 진료과목 및 진료규모에 따른 상호작용을 추가한 결과로 월별 주사제 처방률의 경우 0.09%p 감소, 6품목이상 처방률의 경우 0.12%p 상승하였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기본 패널분석 및 의원 처방행태의 월별 시계열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와 비슷한 추이였다. 진료과목의 경우 주사제 처방률의 마취통증의학과, 6 품목이상 처방률의 가정의학과와 흉부외과에서 상호작용의 영향으로 가)의 패널분석 결과 와 통계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전반적인 항목에서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www.hira.or.kr 139

14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intervention(가감 후) -0.28 (0.36) 0.88** (0.15) -0.68** (0.12)

intervention(가감 전)†    

www.hira.or.kr 141

소결 및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