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설치 현황

1)시설수 및 보육아동

농어촌 보육시설 설치 현황은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농어촌에 4,149개 보육시설이 설 치되어,보육아동 정원은 228,345명이다.시설 유형은 전국 평균에 비하여 농어촌에는 법 인과 법인외 시설의 비중이 크다.시설수로는 법인보육시설이 13.9%,아동수로는 24.4% 로 전국 평균치의 2배 이상이다.법인 외 보육시설도 시설수는 8.2%,아동수는 10.4%로 전국 평균치보다 높다(표 Ⅲ-1-1참조).

〈표 Ⅲ-1-1〉 보육시설 유형별 보육아동 현황

단위:%,명 구분 국공립 법인 법인 외 민간개인 부모협동 가정 직장 계(수) 보육시설

전체 5.2 5.2 3.5 44.7 0.2 40.2 1.0 100.0(28,761) 농어촌 6.3 13.9 8.2 45.4 0.0 25.4 0.7 100.0( 4,149) 보육정원

전체 9.9 11.8 5.4 55.7 0.1 15.6 1.5 100.0(1,252,877) 농어촌 7.6 24.4 10.4 48.5 0.0 8.1 1.0 100.0(228,345) 자료:여성가족부(2006).보육통계.

농어촌 보육시설 아동정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전국 평균에 비하여 영아의 비율이 낮고 유아의 비율은 높음을 알 수 있다.전국 보육정원 통계는 2세미만아가 14.1%,만2 세아 21.1%인데 비하여 농어촌지역은 각각 11.6%,19.0%로 전국 평균보다 낮은 차이를 나타냈다.이는 도시에 비하여 농어촌에서 영아보육 공급률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의미 한다(표 Ⅲ-1-2참조).

〈표 Ⅲ-1-2〉 연령별 보육시설 아동 정원 분포

지역별로 경상북도가 107개 면에 보육시설이 없다.이들 지역에 주민등록상 아동 수 는 7,600여명에 이른다.다음으로 경상남도 90개 면에 6,277여명,전라남도 86개 면에 7,000여명,전라북도 65개 면 4,600여명,충남 45개명 4,200여명,충북 35개 면에 2,200명 정도의 순으로 면 지역 및 아동의 수가 많다(표 Ⅲ-1-4참조).

〈표 Ⅲ-1-4〉 보육시설 미설치 지역 현황 1

단위:개소,명

구분 시‧군‧구 소계

아동수 아동수 아동수 아동수

서울 2 2 821 - - - - 2 821

부산 4 6 777 - - - - 6 777

대구 2 6 1,135 - - 1 179 5 956

인천 4 11 1,028 - - 9 703 2 325

광주 1 2 154 - - - - 2 154

대전 1 2 341 - - - - 2 341

울산 1 2 161 - - 2 161 -

-경기 9 14 1,402 - - 9 712 5 690

강원 12 26 2,130 1 58 23 1,652 2 420

충북 8 35 2,251 - - 35 2,251 -

-충남 13 45 4,226 - - 45 4,226 -

-전북 13 68 4,891 - - 65 4,605 3 286

전남 20 91 7,836 1 147 86 7,053 4 576

경북 24 113 8,397 - 107 7,651 6 746

경남 18 92 6,925 - - 90 6,277 2 570

제주 1 1 179 - - - - 1 179

총계 134 516 42,654 2 205 472 35,470 42 6,841 자료:여성가족부(2006).보육통계 및 내부자료

〈표 Ⅲ-1-5〉 보육시설 이용시 불편한 점(복수응답)

단위:개소,%

구분 비율

보육료 지원의 부족 21 24.4

보육시설이 너무 멀어 등하원 어려움 30 34.9

보육시설의 부적절한 운영시간 10 11.6

시설환경 열악 25 29.1

프로그램 취약 14 16.3

질 높은 교사 부족 26 30.2

기타(군인 자녀 잦은 전출입) 1 1.2

별 불편 없을 것임 15 17.4

142

-자료: 본 「군 지역 보육현황 조사」결과임.

28)주민등록상 아동수에 비하여 실제 거주하는 아동수가 적을 것으로 추정됨.

보육시설 미설치 면 지역 아동을 거의 면 마다 설치되어 있는 병설유치원을 이용하기 도 하지만 보육시설이 필요한 아동은 오랜 시간 차를 타고 먼 곳에 위치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불편을 감수하게 된다.

군 보육담당공무원들은 주민들의 보육시설 이용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보육시설이 너 무 멀어 등하원 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었다.다음으로는 보육시설의 질 높은 보육교사 의 부족을 지적하였다.다음으로는 시설환경의 취약,보육료 지원의 부족이다(표 Ⅲ-1-5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