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인구학적 특성

농어촌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의 고령화,그리고 인구의 감소를 들 수 있다.농어촌은 아동 및 청‧장년층 인구가 감소하고 노령화3)가 급속하게 진행되 고 있다.통계청의 인구주택 총조사 자료를 보면 읍‧면 거주 인력은 계속 감소하여 왔 다.전체인구 중 도시에 거주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도시화율은 1960년 28.0%에서 지속 적으로 증가하여 1990년 74.4%,2000년에는 79.7%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표 Ⅱ-1-1〉 도시화율 변화추이(1960~2000년)

단위:%

연도 1960 1970 1980 1990 2000

도시화율 28.0 41.1 57.2 74.4 79.7 자료: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연도별 자료.

〈표 Ⅱ-1-2〉 연도별 0~5세아 거주지역 비율

단위:명,%

구분

1970 아동수 484,675 2,743,556 1,945,685 5,173,916 (비율) (9.4) (53.0) (37.6) (100.0) 1980 아동수 583,562 1,291,663 2,719,528 4,594,753

(비율) (12.7) (28.1) (59.2) (100.0) 1990 아동수 321,195 470,986 3,152,970 3,945,151

(비율) (8.1) (11.9) (79.9) (100.0) 2000 아동수 356,105 351,659 3,108,714 3,816,478

(비율) (9.3) (9.2) (81.5) (100.0) 자료: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보고 ,각 연도.

농어촌에 거주하는 아동의 비율도 점차 감소하였다.2000년도 인구 및 주택 총조사 결과에 의하면 0~5세 인구의 지역별 분포는 동부 81.5%이고,읍 9.3%,면 9.2%로 읍‧

면이 18.5%이다.즉,보육대상 영유아의 18% 정도가 농어촌에 살고 있고 나머지는 모두 도시에 살고 있다.이는 1980년 40.8%,1990년 20.0%에서 계속 감소하는 추세임을 나타 3)고령화에는 출산율 저하 및 보건의료기술의 발전도 요인으로 작용함.

낸다(표 Ⅱ-1-2참조).

〈표 Ⅱ-1-3〉 도시와 농촌의 연령별 인구의 변동추이

단위:%

구분 1960 2000

도시 농촌 도시 농촌

0~ 9세 28.0 29.9 14.7 12.8

10~19세 22.2 20.3 15.2 12.8

20~29세 17.9 16.4 18.1 13.9

30~39세 13.5 11.3 18.8 15.0

40~49세 9.0 8.8 15.6 13.0

50~59세 5.3 6.6 8.9 11.1

60~69세 2.7 4.3 5.5 12.4

70세 이상 1.4 2.4 3.2 8.9

100.0 100.0 100.0 100.0

자료:장세훈,「도시화」,김두섭‧박상태‧은기수 편, 한국의 인구 ,통계청,2002,pp.231~262.의 <표 14-5>와 <표 14-6>재편집.

<표 Ⅱ-1-3>은 도시와 농촌의 연령별 인구구조로 인구의 고령화 추세를 나타낸다.

농어촌은 9세 이하 인구가 1960년 29.9%에서 2000년에 12.8%로 낮아졌으며 반면에 60 세 이상은 1960년 6.7%에서 2000년 21.3%로 증가되었다.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도 시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도시와 농촌간의 차이는 매우 크다.

도시화는 농어촌 지역의 상대적 낙후성에서 비롯되었고,낙후성의 가속화가 이러한 현상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었다.수십년간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산업화,도시 화,핵가족화로 대변되는 사회적 현상 속에서 농촌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현상을 초래 하면서,도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전수준이 크게 뒤떨어지게 되었다.농촌지역은 도 시에 비하여 소득수준이 낮을 뿐 아니라 사회기반 및 사회복지부문에 있어서도 도시에 비해 크게 뒤쳐지게 되었다.이러한 농촌지역의 상대적인 낙후성은 산업화에 따르는 농 촌지역 청‧장년층의 도시로의 이탈 현상을 더욱 부추기게 되어 농촌사회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 및 인구감소에 직면하게 되었다.

나. 경제적 특성

<표 Ⅱ-1-4>는 국내총소득(GNI)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 및 농‧어업부분 GDP 성 장률을 나타내는데 국내총소득(GNI)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8.0%에서 2005년에는 3.0%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농업의 성장률은 1990년 -6.0%의 성장 률을 보인 이후 1995년에는 5.3%의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나 이후 경제성장률과 는 달리 매우 불안정적임을 볼 수 있다.

연도 국민총소득

〈표 Ⅱ-1-5〉 도시근로자소득 기준 농가소득 비율

단위:천원,%

연도 도시근로자 소득 농 가 소 득 비율

1970 338 256 75.7

1975 786 873 111.1

1980 2,809 2,693 95.9

1985 5,085 5,736 112.8

1990 11,319 11,026 97.4

1995 22,933 21,803 95.1

1996 25,832 23,298 90.2

1997 27,448 23,488 85.6

1998 25,597 20,494 80.1

1999 26,697 22,323 83.6

2000 28,643 23,072 80.6

2001 31,501 23,907 75.9

2002 33,509 24,475 73.0

2003 35,280 26,878 76.2

2004 37,360 29,001 77.6

2005 39,010 30,503 78.2

자료:통계청 고용복지통계과

근로자 소득을 기준으로 한 농가소득 비중은 1980년 95.9% 수준에서 1990년에는 97.4% 수준까지 상승하였다가 2001년에는 75.9% 수준까지 감소하였다(표 3-1-5참조). 대외적으로 세계농업은 우루과이라운드 농업협상이 타결된 이후 무역자유화와 시장개 방이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농업부문의 무역자유화는 1995년 WTO체제의 출범,2001년 11월 카타르의 도하에서 새로이 출범시킨 다자간무역협상인 도하개발아젠다(DDA), FTA의 추진 등으로 진행속도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무역자유화와 시 장개방은 농산물 가격을 하락시켜 우리의 농가경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고,이러한 경 제적 악화는 농가에 농촌사회의 인구고령화 현상을 더욱 더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종 외,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