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보건의료정책 평가 방향 설정에 관한 전문가 인식

3) 보건의료정책 평가의 주체

보건의료정책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주체에 대해서는 의료 정책, 공중보건정책, 건강보장정책, 건강증진정책 영역에서 학계와 정부출 연 연구기관이 가장 적절한 평가 주체라고 응답하였다. 보건산업과 연구개 발정책 영역에 대해서도 학계가 가장 적절한 평가 주체라는 응답이 많았지 만 정부출연 연구기관, 관련 부처, 외부감사기구를 선택한 의견도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적절한 평가 주체를 묻는 질문에 대한 결과는 보건의

184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Ⅰ) - 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료정책에 대한 평가는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독립성과 객 관성을 지닌 주체가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4-18〉 보건의료정책 영역에 따른 가장 적절한 평가 주체

의료정책 공중보건정책 건강보장정책 건강증진정책 보건산업과 연구개발 정책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빈도 %

예산출연처 6 3.9 1 0.7 9 5.9 4 2.6 19 12.4 외부감사기구 20 13.1 21 13.7 23 15.0 17 11.1 27 17.7 국회 15 9.8 10 6.5 16 10.5 6 3.9 7 4.6 관련 부처 18 11.8 23 15.0 21 13.7 23 15.0 28 18.3 정부출연연구기관 30 19.6 34 22.2 27 17.7 26 17.0 29 19.0 학계 56 36.6 49 32.0 45 29.4 57 37.3 35 22.9 시민사회단체 7 4.6 15 9.8 12 7.8 19 12.4 8 5.2

기타 1 0.7 - - - - 1 0.7 -

-〔그림 4-11〕 보건의료정책 영역에 따른 가장 적절한 평가 주체

제4장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과 방향 설정

185

다. 보건의료정책 평가 방향성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향후 보건의료정책의 평가 방향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 보 건의료정책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적 혹은 과정 중 심의 평가(49.0%), 성과관리 중심의 평가(46.4%), 이론(모형)이 없는 경험 적 평가(44.4%)가 가장 큰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성과지표 관 리 위주의 정책 평가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이론 (모형)이 없이 체계적이지 못한 방식으로 정책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고 있 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정책에 대한 평가가 체계적으로 설계 단 계에서부터 고려되지 않아서 제대로 된 평가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있었 고, 전문성과 독립성이 결여된 평가 주체, 객관성과 지속성이 확보되지 못 한 평가, 평가 결과에 대한 DB 부재 등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지적된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향후 바람직한 정책 평가의 방식은 정책 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평가를 고려하여 평가를 위한 적절한 데이터를 수 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전문성과 객관성을 갖춘 평가 주체를 통하여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이러한 평가가 정책에 대한 개선으로 이어 지는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표 4-19〉 기존 보건의료정책 평가 방식의 문제점

문제점 %

실적 혹은 과정 중심 평가 75 49.0

성과관리 중심의 평가 71 46.4

이론(모형)이 없는 경험적 평가 68 44.4

동일 정책에 대한 중복평가 45 29.4

기타 10 6.5

*최대 2개 중복응답 가능.

186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Ⅰ) - 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그림 4-12〕 기존 보건의료정책 평가 방식의 문제점

다음은 보건의료정책을 평가할 때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준에 대 한 조사 결과이다. 응답자 중 45.1%가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정책의 파 급력을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이어서 정책의 지속성(43.1%), 정책 의 비용효과성(37.3%)도 많은 응답자가 선택하였다. 정책의 실현 가능성 은 31.4%, 정책의 형평성은 29.4%의 응답자가 선택하였다. 기타 정책 간 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평가의 환류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향후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정책이 국민의 건강에 미치는 파급력에 대 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정책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집행 되고 있는지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사 결과는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정책의 파급력과 정책의 지속성이 정책의 비용효 과성보다 우선순위가 더 높은 고려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제4장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과 방향 설정

187

〈표 4-20〉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준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고려해야 할 기준 %

정책의 파급력 69 45.1

정책의 비용효과성 57 37.3

정책의 형평성 45 29.4

정책의 실현가능성 48 31.4

정책의 지속성 66 43.1

기타 4 2.6

*최대 2개 중복응답 가능.

〔그림 4-13〕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준

정부산하 연구기관(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특성을 고려할 때, 수행 해야 할 정책 평가의 방향성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 다. 정책의 환경과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연구, 기존 정책 평가가 얼 마나 적합하게 수행되었는지 적합성 검토,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이론이 나 모형 개발,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독립적인 정책 평가 수행 중 가장 많

188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Ⅰ) - 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은 응답자가 선택한 것은 정책 환경이나 문제점 진단에 관한 연구였고, 다음으로 정책 평가 이론 및 모형 개발, 기존 정책 평가의 적합성 검토, 독립적 정책 평가 수행의 순이었다.

〈표 4-21〉 정부산하 연구기관이 수행해야 할 정책 평가의 방향성

정책 평가의 방향성 %

정책 환경 및 문제점 진단 58 37.9

기존 정책 평가의 적합성 검토 31 20.3

정책 평가 이론 및 모형 개발 39 25.5

독립적 정책 평가 수행 24 15.7

기타 1 0.7

〔그림 4-14〕 정부산하 연구기관이 수행해야 할 정책 평가의 방향성

정책 환경 및 문제점 진단, 정책 평가 이론 및 모형 개발은 모두 정책 평가를 위한 이론적, 환경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지금까지

제4장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과 방향 설정

189

보건의료정책 평가가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앞서 언급 된 문제의식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향후 체계적인 보건의료 정책 평가를 위한 이론적, 환경적 기반을 마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기존 정책 평가의 적합성 검토는 정책 평가의 현황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함께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론 적, 환경적 기반이 조성된 이후 전문성과 객관성을 가지고 독립적인 정책 평가 수행을 진행하는 것이 정부산하 연구기관에서 수행해야 할 바람직 한 정책 평가의 방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