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배우자 유형별 출산력 이론

결혼의 이론적 배경 <<

2. 배우자 유형별 출산력 이론

Becker(1993)는 결혼과 출산으로 대표되는 가족의 형성과 확장에 있 어 성역할에 기반한 효용성 극대화의 선택과정을 가족의 경제이론 (economic theory of family)으로 지칭하며 성역할과 자원, 가족의 형 성의 관계를 설명한다. Becker(1973)는 성역할 전문화 이론(gender role specialization theory)으로 경제학적 관점에 근거해 성역할 간 효 용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에서 결혼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출산의 경우

에도 전통적 성역할의 유지가 출산율 증진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오던 역할로, 남성은 노동시장 안에서 생계부 양자로 활동을 하고 여성은 육아와 가사노동을 분담하는 것이 각자의 성 역할 효용을 높이는 선택으로, 남성 생계부양자 유형을 가진 가족 유형의 경우 그 외 유형의 가족과 비교하여 출산의 선택이 더 쉽게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전통적 성역할 관점에서 경제적 자원을 끌어오는 역할은 남성으로, 돌봄 노동은 여성의 역할로 규정화된 몫을 수행함으로써 한 명 은 지속적으로 자원을 끌어오고 다른 한 명은 가사노동을 전담함에 따라 정해진 역할의 숙련을 통해 효율성이 증진된다고 보아,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의 강점을 주장한다. 베이커(1993)의 이론은 본 연구가 주목하는 부 부의 유형(남-녀 교육수준 격차)과 출산율의 관계를 설명하지는 못하지 만, 근본적으로 부부 유형별 차이에 근거한 출산율 차이를 설명한다는 점 에서 후기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반면 oppenheimer(1997)는 becker(1993)와 상반되는 논리로, 가 정으로 자원을 끌어오는 역할이 가구 내 한 사람의 역할로만 수행되는 것 이 아니라 자원을 끌어오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가구의 경제적 여유가 증 진된다고 설명한다. 즉 전통적인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은 남성 1인만 가 구 내 경제적 자원 확보에 기여하는 반면, 맞벌이 부부의 경우 가구로 자 원을 끌어오는 사람이 두 사람으로 늘어남에 따라 가구의 경제자원 확보 가 좀 더 수월하다. 결과적으로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과 비교해 맞벌이 부부의 보다 용이한 경제적 상황은 출산율 증진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oppenheimer(1997)는 여성의 교육수준 및 노동시장 지위 확장이라는 변화된 사회양상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남성 생계부양자 중심의 가구유형에서 벗어나 맞벌이 부부의 일과 가정생활, 출산선택의 관계를 점검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도 시사점이 크다.

Van Bavel(2012)은 과거 남성의 교육수준이 여성보다 높았으나 현대 로 오면서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남-녀 교육수준에 전이가 나 타나, 여성의 교육수준이 남성보다 더 높게 된 현상을 교육수준의 양성 격차의 전이(RGIE: Reversal of the Gender Imbalance in Education)라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전이에 따라 적절한 배우자 찾기의 어려움이 증가하여 가장 전형적인 부부 유형으로 남녀 서로가 비슷한 유 형의 배우자를 찾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한다. 또한 서로 비슷한 유 형의 배우자를 찾는 데서 갖게 된 어려움은 결혼할 확률, 결혼 시기, 결혼 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경향은 결과적으로 출산율에 영향 을 주게 되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논거에 근거하여 Van Bavel (2012)은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향상에 따라 변화하는 부부 혼인유형이 출산 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추론하였다.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향상은 고학력 사람들 중에서 교육수준이 높은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보다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 을 더 높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협상력을 남성에게 더 유리한 쪽으로 이끌게 할 수 있다. 즉 특정한 결혼시장에서 여성의 숫 자가 남성의 숫자보다 상대적으로 많을 경우 남성이 현재 배우자 관계에 서 만족하지 않는다면 더 많은 대안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기 때 문이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상황에서 더 까다롭게 굴고 현재 파트너를 떠나서 새로운 파트너를 쉽게 만날 수 있는 사람은 남성이기 때문이다. 즉 적합한 남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여성은 파트너를 보다 빨리 이상적인 사 람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갖게 되며, 이로써 더 빨리 결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성과 비교 하여 남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는 혼외출산이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혼외출산은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학력이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의 혼외출산은 적절한 파트너를 구 하지 못한 상황을 가정할 때,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과 이전 배우자와 헤 어진 여성 두 가지 그룹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이 적절한 파트너를 구하지 못한 이유로 무자녀도 증가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Van Bavel(2012)은 여성의 교육수준이 남성보다 더 높아진 현대사회에서 부부간의 출산 의사 결정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자신의 의 지를 강요할 여지가 더 크다고 바라본다. 따라서 남성의 선호와 특성이 향후 출산 패턴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추론을 기반으로 하여 Van Bavel(2012)은 부부의 혼인유형 변 화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가설로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적으로 동질적인 부부가 이질적인 부부보다 더 많은 수의 자 녀를 갖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여성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교육적 동질혼 이 증가하게 된다면 출산율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여성 승혼에서 여성 강혼으로의 변화는 전통적으로 기대되는 성 역할에 배척되는 현상이다. 여성 강혼 부부에서 남편은 자녀 돌봄에 대한 아버지 역할을 더 많이 할 것이며 여성 승혼 부부 사이에서 새로운 부성 의 개념이 정립될 것이다. 만일 가정 내에서 평등한 노동분업이 이루어진 다면 출산율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둘째 아이 출산은 여성이 모든 집안 일을 하며 집 밖에서 근로하지 않는 전통적인 부부와 남성이 많은 집안일 을 하는 비전통적인 노동분업 부부 사이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둘째 아 이 출산이 가장 낮은 그룹은 집 밖에서 노동을 하는 동시에 대부분의 집 안일과 양육을 도맡아서 하는 이중 부담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다.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이 여성 강혼 현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출산 율에 미치는 영향은 가사와 육아에 대한 남성의 역할이 매개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남성이 상당한 가사와 육아를

하는 경우 안정적인 부부관계와 이에 따라 출산율이 상승하는 것을 기대 해 볼 수 있다. 남성이 가사와 육아에 참여하지 않을 때 강혼 부부에게서 불안정한 부부관계를 가져와 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에 따라 지역적·인종적 이질혼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부관계는 더 불안해질 수 있고,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넷째, 연령적 이질혼의 경우, 나이 많은 남성이 젊은 여성과 결혼했을 때 남성의 재생산 기간을 더 길게 할 수 있어 출산율이 높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여성의 측면에서 볼 때 연령적 이질혼은 중립적인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출산에 줄 수 있다. 연령적 격차가 큰 부부의 경우 결혼 안정성이 약하고 이에 따른 이혼은 여성의 낮은 출산율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 문이다.

다섯째, 독신으로 남아 있는 사람들의 증가는 더 낮은 출산율을 가져올 수 있다. 독신자의 증가에 따라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들이 점점 더 많이 무자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들이 독신으 로 남아 있길 원하는 반면에 자녀 출산을 원한다면 혼외출산이 증가할 가 능성이 크다. 아직까지 혼외출산과 동거는 교육수준이 낮은 여성들에게 서 많이 나타나지만 향후 혼외출산은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들에게서 현 저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여섯째,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에 따라 결혼시장에서 남성이 보다 많은 협상 능력을 갖게 되는 경우 남성의 선호와 특성이 출산유형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일곱째,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으로 말미암아 사회 체제가 일과 가정생 활 양립을 더 많이 받아들이게 되면 이는 출산율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가 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