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증 연구

1) 방치 공간

방치 공간에 해당되는 유휴공간의 유형으로는 이전부지, 폐교, 폐공가 등이 있다.

이전부지의 목록과 위치 등은 부산시의 방문 면담조사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유류저장 및 송유 설비, 초등학교, 대학교 등 약 6개 부지가 여기에 해당된다(조사자료 예시는

<부록 2> 참조). 폐교의 목록과 위치도 부산시의 방문 면담조사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1개의 폐교를 파악하였다. 폐공가의 경우 부산시에서 2012년 현장조사를 통해 구축한 자료를 구득하여 파악하였다. 구득한 자료에 의하면 부산시에는 약 4,000여 개의 폐공가가 존재하고 있다(조사자료 예시는 <부록 2> 참조).

방치 공간에 해당되는 유휴공간은 해당 지자체의 관련 업무 담당자에 대한 설문 및 면담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부지, 폐교 등은 지자체에서도 비교적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폐공가의 경우 해당 지자체에서 현장조 사 등을 기 시행하여 목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일괄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그리고 폐공가를 확인하고 분류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도 부재한 상황이다.

부산시의 경우 공무원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단을 구성한 뒤 가옥의 물리적 상태, 쓰레기 방치 상태 등을 기준으로 폐공가 여부를 판단하고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목록의 정확성 등에 한계가 있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도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한 자료의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지오코딩을 수행하여 대상지의 필지 데이터와 결합하고 공간정 보로 변환하였다. 방치 공간의 분포는 <그림 5-7>, <그림 5-9>, <그림 5-11>,

<그림 5-13>과 같으며, 행정구역별 방치공간 현황은 <표 5-2>와 같다.

❏ 이전부지

○ 원시 자료: 부산광역시 텍스트 자료

○ 구축 방법: 이전부지 주소를 지적 필지 데이터의 주소코드(PNU)와 매칭하여 지오 코딩

<그림 5-7> 이전부지 도출 결과

<그림 5-8> 이전부지 속성 정보

❏ 폐교

○ 원시 자료: 부산광역시 텍스트 자료

○ 구축 방법: 폐교 주소를 지적 필지 데이터의 주소코드(PNU)와 매칭하여 지오 코딩

<그림 5-9> 폐교 도출 결과

<그림 5-10> 폐교 속성 정보

❏ 폐공가

○ 원시 자료: 부산광역시 텍스트 자료

○ 구축 방법: 폐공가 주소를 지적 필지 데이터주소코드(PNU)와 매칭하여 지오 코딩

<그림 5-11> 폐공가 도출 결과

<그림 5-12> 폐공가 속성 정보

❏ 결과 종합

<그림 5-13> 방치 공간 분석결과 종합

이전부지: 부산외대 이전부지(남구) 폐공가(사하구)

구분 이전부지 폐교 폐공가

개소 면적(㎡) 개소 면적(㎡) 개소 면적(㎡)

5 137,898 1 2,680 3,101 2,327,330

중구 - - - - 47 45,709

서구 - - - - 225 120,098

동구 - - - - 384 148,366

영도구 2 16,431 - - 422 494,301

부산진구 - - - - 684 512,496

동래구 - - - - 73 14,077

남구 - - 1 2,680 494 168,533

북구 - - - - 32 23,752

해운대구 - - - - 108 187,336

사하구 - - - - 273 147,943

금정구 1 111,853 - - 135 155,342

강서구 - - - - 79 125,246

연제구 - - - 59 128,481

수영구 1 3,109 - - 36 33,329

사상구 1 6,505 - 50 22,318

기장군* - - -

-*) 기장군의 이전부지, 폐교, 폐공가 데이터 미 취득으로 분석에서 제외하였음

<표 5-2> 행정구역별 방치 공간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