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토도시 정책에서의 유휴공간과 충진개발의 함의

2 유휴공간과 충진개발의 개념

3. 국토도시 정책에서의 유휴공간과 충진개발의 함의

세계 각국은 산업화 시대를 지나면서 도시발전 패러다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도시발전에 있어서 대도시와 대도시 생활은 전후 포디즘(Fordism) 시기의 도시발전의 주요한 특징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시화와 도시성장은 대량생산 대량소비체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평면적 도시 확장과 표준적 공간설계, 부동산 개발주의 등을 기반으 로 하였으며, 북미적 전통으로는 저밀도, 배제적 용도지역제와 자동차 중심의 개발방 식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금융, 소비, 생산 및 고용부문에서 세계경제위기와 함께 포디즘적 도시개발의 한계도 노출되고 있다. 현대 도시위기는 주로 대량생산, 대량소 비 체제에 토대를 두고 있는 도시개발 패러다임의 위기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대안적 도시발전 패러다임으로 뉴어바니즘(new urbanism), 스마트성장 (smart growth), 컴팩트시티(compact city), 네트워크도시(network city), 창조도시, 건강도시, 슬로우 시티 등 다양한 도시발전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논의들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체제에 의한 대규모 신규개발을 지양하고 유휴공간의 활용을 통한 충진개발로 각종 사회경제적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계획이론 및 국토도시정책 관점에서는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하여 스마트 성장, 신도시주의, 압축 도시, 순환적 토지이용(circular landuse management) 등이 주요한 어젠다로 대두되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유휴공간과 충진개발의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McConell and Wiley 2010).

(1)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성장관리 이론자들은 충진개발을 통하여 오픈스페이스의 감소를 줄이고, 교통 규모를 줄일 수 있고 교외확장에 따른 고비용 소요를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Burchell et al. 2000; Cooper 2004; Young 1995).

기존 도시지역에 내부 또는 이에 인접한 유휴공간을 고밀도로 개발할 경우 교통정체 를 줄이고 대기오염을 막는 등 지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충진개발은 압축개발, 대중교통지향 등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2) 신도시주의(New urbanism)

건축가, 도시계획가, 개발자 등의 뉴어바니스트들은 도시성장관리 측면에서 충진개발을 지지하고 있으나 이에 부가하여 충진개발이 도시 및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제고할 수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Duany 2002; Judd and Swanstrom 2006; Myers and Kitsuse 1999).

(3) 압축 도시(Compact city)

전후 무분별한 외연적 팽창형 도시개발 모델에 대한 반작용으로 공간의 집약적 이용과 이를 토대로 한 사회경제활동의 증대 및 공간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유휴공간 등을 활용한 도시중심부의 재활성화, 고밀도 개발, 복합용도 개발, 서비스와 공공시설 접근성 강화 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4) 순환적 토지이용(Circular land use management)

순환적 토지이용이란 현행 용도로 이용이 미흡한 토지를 타 용도로 이용을 도모하여 토지자원의 선순환 이용구조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미개발지에 대한 신규개발을 감소시키고 기존 도시지역의 잠재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그림 2-1>).

<그림 2-1> 충진개발과 순환적 토지이용

자료: Preuß, Thomas, and Maic Verbücheln(2013)

종합하여 보면 충진개발은 교외지역으로 확장되는 주거지로 인하여 상승하는 주택가격과 기반시설공급에 따른 세금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근린을 활성화시키고 교외확장을 더디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충진개발 대상지는 각종 토지이 용규제, 토지수용문제 등과 같은 제약요인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과 중재에 의해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