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방법론 검증

문서에서 발 간 사 (페이지 169-172)

이 있음을 고려할 때 구축된 모형의 유출량은 적절한 수준이라 판단되었다.

표 4-13 남양주시 대상지의 유출량 검증 결과 강우강도

(mm/hr) 유출계수 유역면적

(km2)

하천 첨두유출량(m3/sec) HEC-RAS 적용 합리식 적용

96.4 0.71 29.4 527 559

<그림 4-32>는 남양주시 대상지의 침수해석 결과와 과거 침수가 발생했던 위치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금곡동 지역에서 홍유룽 주위 주거지가 침수될 수 있다 는 결과는 남양주시의 풍수해보고서 및 언론매체 기록상의 과거 침수피해 위치와 일치 하였다. 양정동 일대에도 일패천 외수위 증가로 인해 침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결과 또한 국토교통부 침수흔적도나 언론보도 기록과 동일하였다. 양정동 일대에도 이패천 외수위 증가로 인해 침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는데, 이 또한 풍수 해보고서와 언론매체 기록상의 과거 침수피해 위치와도 일치하였다.

그림 4-32 남양주시 대상지 침수해석 결과와 과거 주요 침수발생 위치 비교

(2) 창원시 대상지의 방법론 검증

<표 4-14>는 대상지 말단 유출구 지점에 대해 HEC-RAS를 모의하여 얻은 첨두유 량을 합리식으로 얻은 결과를 비교하고 있다. 검증을 위해 과거 재현빈도 100년에 해 당되는 102.7mm/hr의 강우강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합리식 적용을 위해, 유출계수 (C)는 마찬가지로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출계수 범위 가운데 대상지의 토 지이용현황을 고려해 주거지역의 개략적인 평균값을 적용하였으며, 유출면적은 대상지 의 총 유역면적인 35.4km2를 적용하였다.

삼호천 하류부에서, 합리식을 적용한 결과는 505m3/s였으며 동일한 강우 조건에서 HEC-RAS 모의 결과 첨두유출량은 477m3/s로 산정되었다. 두 방법 간의 첨두유출량 의 차이는 6% 수준인 데, 마찬가지로 합리식이 상류 자연녹지의 저류현상을 반영하지 못해 과대추정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모형의 유출량은 적절한 수준이라 판 단되었다.

표 4-14 창원시 대상지의 유출량 검증 결과 강우강도

(mm/hr) 유출계수 유역면적

(km2)

하천 첨두유출량(m3/sec) HEC-RAS 적용 합리식 적용

102.7 0.5 35.4 477 505

<그림 4-33>은 창원시 대상지의 침수해석 결과와 과거 침수가 발생했던 위치를 비 교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석전동 일대 삼호천 주위 주거지 및 대로가 침수될 수 있 다는 결과는 창원시의 풍수해보고서 및 언론매체 기록상의 침수이력과 동일하였다. 양 덕동 내 양덕천 중심의 외수위 증가로 하천을 따라 넓은 범위에 걸쳐 침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결과 또한 국토교통부 침수흔적도의 기록과 동일하였다. 양덕동 일대 양덕 천의 산호천 합류 직후, 산호천의 삼호천과의 합류 직후에 외수위 증가로 침수가 발생 될 수 있고 봉암동의 경사가 완만한 대로를 따라 침수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결과 역시 풍수해보고서와 국토교통부 침수흔적도의 기록으로부터 예상할 수 있었다.

그림 4-33 창원시 대상지 침수해석 결과와 과거 주요 침수발생 위치 비교

4) 재해지도 개발 결과

문서에서 발 간 사 (페이지 169-172)